• 제목/요약/키워드: Acid Fermentation

검색결과 3,573건 처리시간 0.035초

Characteristics of Wet and Dried Distillers Grains on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and Effects of Dietary Wet Distillers Grains on Performance of Hanwoo Steers

  • Kim, Ill Young;Ahn, Gyu Chul;Kwak, Hyung Jun;Lee, Yoo Kyung;Oh, Young Kyoon;Lee, Sang Suk;Kim, Jeong Hoon;Park, Keun Ky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5호
    • /
    • pp.632-638
    • /
    • 2015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nutrient composition, in vitro dry matter disappearance (IVDMD) and organic matter disappearance (IVOMD) of three kinds of distillers grains (DG); i) wet distillers grains (WDG, KRW 25/kg), ii) dried distillers grains (DDG, KRW 280/kg), iii) dried distillers grains with solubles (DDGS, KRW 270/kg) produced from tapioca 70% and rice 30%, and to evaluate dietary effects of WDG on the performance of Hanwoo steers. In Exp. 1, twelve-WDG, four-DDG and one-DDGS were collected from seven ethanol plants. Average crude protein, crude fiber, neutral detergent fiber, and acid detergent fiber of WDG, DDG, and DDGS were: 32.6%, 17.8%, 57.5%, and 30.2% for WDG, 36.7%, 13.9%, 51.4%, and 30.5% for DDG, and 31.0%, 11.9%, 40.3%, and 21.2% for DDGS (DM basis), respectively. The DDGS had a higher quantity of water-soluble fraction than WDG and DDG and showed the highest IVDMD (p<0.05) in comparison to others during the whole experimental time. The IVDMD at 0 to 12 h incubation were higher (p<0.05) in DDG than WDG, but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24 to 72 h. The same tendency was observed in IVOMD, showing that DG made from tapioca and rice (7:3) can be used as a feed ingredient for ruminants. Considering the price, WDG is a more useful feed ingredient than DDG and DDGS. In Exp. 2, 36 Hanwoo steers of 21 months ($495.1{\pm}91kg$)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dietary treatments for 85 days; i) Control (total mixed ration, TMR), ii) WDG 10% (TMR containing 10% of WDG, as fed basis), and iii) WDG 20% (TMR containing 20% of WDG, as fed basis). With respect to body weight and average daily gain,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control and WDG treatments during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Dry matter intake of control (9.34 kg), WDG 10% (9.21 kg) and 20% (8.86 kg) and feed conversion ratio of control (13.0), WDG 10% (13.2) and 20% (12.1) did not show differences between control and WDG treatments. Thus, the use of WDG up to 20% in TMR did not show any negative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Hanwoo steers.

막분리한 두부순물 농축분말첨가가 요구르트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ddition of Membrane-Filtered Powder of Sunmul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urt)

  • 정진영;정해정;김우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1579-158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순물의 막분리에 의하여 제조된 농축분말을 사용하여 요구르트를 제조하고 pH, 적정산도, 점도, 생균수, 향기성분, 관능성 등을 분석함으로써 기능성 식품소재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UF 분말 첨가 요구르트의 발효 24시간 후 pH와 적정산도는 모든 시료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도는 대조군보다 UF 분말 첨가군이 낮았고 색도를 측정한 결과 UF분말 첨가 요구르트의 L값과 a값은 대조군과 첨가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b값은 UF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져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생균수는 18시간까지 급격한 증가를 보이다가 그 이후 완만히 증가하여 발효 24시간에는 12.6$\∼$14.3$\times$$10^{8}$ CFU/mL를 나타내었고 대조군보다 UF 분말 첨가군에서 생균수가 높게 측정되었다. 요구르트의 휘발성 향기 성분은 UF분말 첨가군에서 대조군보다 다양한 향미 성분이 검출되었다. 관능검 사결과 냄새와 조직감은 시료간에 차이가 없었고 신맛은 UF분말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높게 평가되었으며 전체적인 바람직성에서는 시료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UF분말을 이용하여 첨가수준을 조절하고 제조방법을 다양화한다면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기능성 요구르트로서 그 이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판 된장을 이용한 식빵 제조: 1. 된장의 이화학적 특성 및 된장을 첨가한 식빵의 물리적 특성 (Development of Yeast Leavened Pan Bread Using Commercial Doenjangs (Korean Soybean Pastes): 1.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oenjang and Physical Properties of Bread Added with Doenjang)

  • 오현주;문혜경;김창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002-1010
    • /
    • 2003
  • 생리활성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된장의 소비확대를 위하여 시판 된장을 이스트 발효 식빵 제조에 이용하고자 식빵 배합비에 7종(A; 재래식 된장, B∼E; 시판 개량식 된장, F;시판 Miso type 된장, G; Japanese Miso)의 동결건조한 된장분말을 2.5∼10.0% 첨가하여 발효력과 오븐팽창력을 관찰하고 빵품질을 물리적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사용된 시판된장 7종의 이화학적 특성치로는 일반성분을 비롯하여 아미노태질소, 총산도, 환원당, 유리당, 염도, 유기산 함량 및 단백질분산지수(PDI)를 제시하였다. 빵 배합비에 된장분말 5.0% 이하의 첨가는 오븐팽창력의 현저한 증가로 모든 된장 첨가식빵 부피가 증가하여 무첨가구에 비하여 최대 13%까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된장첨가로 기계적 조직감 측정치인 경도(hardness), 검성 (gumminess), 씹힘성(chewiness) 등이 감소하여 전반적으로 부드러워졌고, 빵의 색은 어두워졌다. 그러므로 식빵제조에 시판된장의 사용은 빵의 물리적 품질 향상에 매우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이때 식빵의 부피나 조직감은 된장 종류나 첨가수준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이들 처리조합의 상호작용에 의하여도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생물 페니실린 아미다제에 관한 연구 (제 5보) Bacillus megaterium 페니실린 아미다제의 새로운 고정화 방법 (Studies on Microbial Penicillin Amidase (Part 5) Application of Reinforced Calcium-Alginate Gel Entrappment Method for Immobilization of Penicillin Amidase from Bacillus megaterium)

  • Son, Hyeung-Jin;Seong, Baik-Lin;Mheen, Tae-Ick;Han, Moon-Hi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59-164
    • /
    • 1981
  • 부분적 항상성변이주인 Bacillus megaterium (KFCC 10029)가 생산하는 페니실린 아미다제를 예로하여 강화된 $Ca^{++}$-alginate gel에 의한 포괄방법을 이용하는 효소 고정화 방법을 제시하였다. 발효액으로 부터 celite 흡착법에 의해 효소를 분리한 후 alginate의 gellatin용액에 혼합하고 $Ca^{++}$ 용액에서 응고시키고 glutaraldehyde로 처리하여 성형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은 고정화효소의 최적 pH 및 온도는 각각 8.0과 6$0^{\circ}C$였다. Km value 와 6-APA 및 페닐초산에 의한 저해 상수는 각각 2.6mM, 7.4mM, 21.2mM이었다. Gel의 증가된 물리적 강도 때문에 반응조 조작중 흡착효소의 유실을 성공적으로 없앨수 있었다. 관형식 반응조에서의 고정화 효소의 반감기는 4$0^{\circ}C$와 3$0^{\circ}C$에서 각각 6일 및 30일이었으며, 이것은 흡착효소와 비교해 볼 때 6-8배의 증가치이다. 결론적으로 alginate gel 포괄방법에 의한 효소고정화 방법에 있어,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개량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고정화효소의 물리적 강도 및 안정도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었다.

  • PDF

알코올 첨가에 의한 저식염 고추장의 양조 (Trial Manufacture of Low-Salted Kochuzang(Red Pepper Soybean Paste) by the Addition of Alcohol)

  • 이갑상;김동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46-154
    • /
    • 1985
  • 사입시에 고추장 중량에 대해 4%(V/W)의 알코올을 첨가하여 무염 및 저식염의 고추장을 만들고, 그의 품질적 특징을 해석했다. 효소(${\alpha}$, ${\beta}$-amylase 및 protease)의 역가는 알코올 첨가시 식염농도가 낮은구에서 활성이 높았다. 수분은 각 시험구간에 큰차이가 없으며, 식염은 알코올 첨가구에서 숙성후기에 약간 높았다. 총당과 pH의 변화는 알코올 무첨가와 식염농도가 낮을수록 심하였으며, 적정산도는 알코올 무첨가시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식염농포가 낮은구는 담금초기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환원당은 알코올 첨가구에서 현저히 증가하였고 식염농도가 낮을수록 적게 증가하였다. 알코올 함량은 알코올 첨가시 큰변화는 없으나 알코올 무첨가구는 증가하여 2% 내외에 달하며, 식염농도가 낮은구에서 알코올 생성이 많았다. 총질소량은 큰 변화가 없으나, $NH_2$-N와 $NH_3$-N는 알코올 첨가구에 비하여 무첨가구에서 높고 식염량이 낮을수록 많았다. 고추장 숙성후 맛, 향기, 색 모두 알코올 첨가구가 우수하였고, 이때 식염농도는 대조구의 60%(고추장중에 5.1%)이었다. 따라서 감염고추장 제조시 알코올 첨가가 바람직하다고 본다.

  • PDF

Enterococcus faecium KHM-11를 이용한 요구르트 급여가 자돈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Yogurt Using Enterococcus faecium KHM-11 on the Growth in Piglet)

  • 배형철;이조윤;남명수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04-210
    • /
    • 2008
  • 건강한 한국인 30명의 모유 중 유산균배지에서 생육하는 70개의 유산균을 선별하여 그 중 21-3과 22-2 균주를 선발하여 균주동정을 실시한 결과, 분리된 유산균주 21-3과 22-2 균주는 동일한 16S rDNA 염기서열을 가지고 있었으며 E. faecium의 표준균주와 99.9%의 16S rDNA 상 동성을 나타내는 균주로 동정되었다. 분리 동정된 유산균은 E. faecium KHM-11로 명명하였으며, API kit를 이용한 이 균의 생리적 발효특성은 D-arabinose, L-arabinose, galactose, D-glucose, D-fructose, D-mannose 등을 비롯한 19종류의 당 성분을 이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E. faecium KHM-11을 사용하여 제조한 요구르트 특성은 발효 15시간 후 pH는 4.09, 산 생성은 1.10%, 생균수는 $1.30{\times}10^9\;CFU/mL$이었다. 0.5% 요구르트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증체율이 유의성 있게 21.67%증가하였다(p<0.05). 1일 증체량은 대조구에 비해 109 g이 높았다. 따라서 요구르트 첨가 사료첨가제 급여에 따른 사양성적은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혈액성분 중 혈당, 콜레스테롤, 알부민, 글로블린의 양은 전체적으로 대조구와 0.5% 요구르트 급여구가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대조구와 0.5% 요구르트 급여구 모두 조사항목이 정상범위 또는 정상범위 부근에 들어가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 4주간 설사증상을 보이는 자돈은 대조구가 16.6%에 비해 0.5% 요구르트 급여구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전라북도지방(全羅北道地方) 전통(傳統)고추장의 제법조사(製法調査)와 성분(成分) (Brewing Method and Composition of Traditional Kochuzang (Red Pepper Paste) in Junrabook-do Area)

  • 조한옥;김종군;이현자;강주훈;이택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1호
    • /
    • pp.21-28
    • /
    • 1981
  • 전북지방(全北地方)의 전통적(傳統的)인 재래식(在來式) 고추장의 제법(製法)을 조사(調査)하고 15종(15種)의 시료(試料)를 채취(採取)하여 성분분석(成分分析)과 관능시험(官能試驗)으로 품질(品質)을 평가(評價)하였다. 고추장용 메주는 주로 멥쌀과 콩츨 혼합(混合)하여 제조(製造)하고 고추장 담금비는 메주가루에 대한 찹쌀의 비율이 80% 이상(以上)으로 전분질원(澱粉質源)의 배합비(配合比)가 높고 고춧가루의 사용량(使用量)이 많은것이 특징(特徵)이다. 또 고추장의 맛을 좋게 하기 위(爲)하여 부원료(副原料)로 적량(適量)의 간장등(等 )을 첨가(添加)하여 주(主)로 자연숙성방법(自然熟成方法)으로 고추장을 제조(製造)하고 있다. 고추장의 성분(成分)은 식염(食鹽)과 아미노질소(窒素) 함량(含量)이 낮고 총당(總糖), 환원당(還元糖)과 ethyl alcohol 함량(含量)이 대체(大體)로 높으며 효소력(酵素力)은 미약(微弱)한 편이었다. 관능시험결과(官能試驗結果) 선정(選定)된 5종(5種)의 우량(優良)고추장은 달고 매운맛이 강(强)하고 메주취(臭)나 납두취(納豆臭)가 거의 없는 alcohol성(性)의 향긋한 향기(香氣)와 윤기있는 붉은 색상(色相)의 고추장으로 감평(鑑評)되였다.

  • PDF

볏짚에서 분리한 청국장 starter용 Bacillus spp.의 생리적 특성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Bacillus spp. Isolated from Rice Straw as Cheonggukjang Starter)

  • 이신호;백낙민;박나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62-567
    • /
    • 2008
  • 짚에서 60균주를 분리하여 생균제제로서의 기능이 있는 청국장 제조용 starter로 사용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분리한 60균주 중 단백 분해력, 전분 분해력, 대두 분해력을 나타낸 균주는 B-59 등 8균주 이었으며 모두 그람 양성 간균으로 포자를 형성하였다. 선별된 8균주의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Shigella sonni, Pseudomonas fluorescens,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낸 균주는 B-59이었다. 항균활성을 나타낸 분리균주 B-59에 의해 L. monocytogenes, S. aureus, V. parahaemolyticus, P. fluorescens의 성장은 억제되었으며. API 50CHB kit를 이용하여 동정한 결과 99.0%의 유사율로 Bacillus licheniformis로 간이 동정되었다. 분리균주인 B-59는 pH 2.5로 조정된 인공 위액에 초기 생균수 8.33 CFU/mL에서 $37^{circ}C$에서 3시간 배양 후의 6.91 CFU/mL로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며, 인공담즙산에서 초기 균수 6.90 CFU/mL에서, 배양 24시간 후 8.24 CFU/mL로 증가하여 내성을 나타내었다. 분리균주인 B-59는 NaCl 0, 2, 4% 농도에서는 각각 7.63, 7.70, 7.67 CFU/mL로 성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32% 농도에서도 생존하여 NaCl에 대한 내성을 나타내었으며, 알코올농도 32%에서도 4.22 CFU/mL를 나타내어 에탄올에 대한 내성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능으로 측정한 B-59 배양액의 항산화 활성이 균주의 성장에 따라 증가하였다.

원유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zeae RMK354의 생리적 특성 및 ACE 억제능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CE Inhibitory Activity of Lactobacillus zeae RMK354 Isolated from Raw Milk)

  • 임상동;김기성;도청룡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87-595
    • /
    • 2008
  • 본 연구는 국내 각 지역의 목장에서 수거한 원유에서 분리된 젖산균을 대상으로 10% 환원탈지유에 $37^{\circ}C$에서 pH 4.4에 도달할 때까지 배양한 다음 각각에서 얻어진 유청으로 ACE 저해율을 측정한 결과 88.6%인 우수한 균주를 선발하였다. 선정된 균은 Gram 양성, rod형태의 homo균이며, 당 발효실험과 16S rRNA 분석결과 Lactobacillus zeae로 판명되었고, Lactobacillus zeae RMK354로 명명하였다. 발효유에 적합한 starter인지 확인하기 위해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L. zeae RMK354는 배양온도 $40^{\circ}C$에서 빠른 생장을 보였고, pH4.3에 도달하는데 10시간이 소요되었다. 16종의 항생제 중 polymyxin B와 vancomycin에 대해 내성이 높았으며, 효소활성실험에서 esterase와 leucine arylamidase의 활성도가 높았다. 담즙에 대한 내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H 내성 실험결과 pH 2에서 큰 변화가 없음에 따라 내신성이 있었다. 항균력 시험에서는 Escherichia coli와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 억제력이 없었으나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해 60.0%의 항균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ACE 억제활성능이 우수한 기능성 발효유 제품의 스타터로 L. zeae RMK354는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에 대한 흑색 방울토마토 주스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Black Cherry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M.) Juice on LPS-induced RAW 264.7 Cells)

  • 정경임;하나연;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69-57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흑색 방울토마토 주스의 항산화 활성, 아질산염 소거능, 알코올 분해능, 및 RAW 264.7 세포에서의 항염증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흑색 방울토마토 주스의 총 페놀 함량은 $156.83{\mu}g\;TAE/ml$로 나타났다. 토마토주스의 항산화활성은 DPPH 라디칼 소거능과 SOD 유사활성으로 측정하였다. 토마토주스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농도의존적으로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40%의 농도에서의 83.39%로 나타났다. SOD 유사활성은 100% 농도에서의 SOD 유사활성은 22.01%로 나타났다. 흑색 방울토마토 주스의 숙취 해소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체내 알코올 대사의 일차 효소인 ADH 활성 및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하는 ALDH 활성을 알코올 분해와 숙취해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hepos를 대조구로 하여 분석한 결과, ADH 활성 및 ALDH 활성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40% 농도에서의 ADH 활성과 ALDH 활성은 각각 198.87%와 181.89%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 분석에서는 흑색 방울토마토 주스 50% 농도, pH 1.2, 3.0, 6.0에서 각각 85.06, 58.25, 43.68%로 pH가 낮을수록 아질산염 소거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흑색 방울토마토 주스의 항염증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LPS에 의해 유도된 RAW 264.7 대식세포의 NO 합성을 측정한 결과 농도 10%에서의 NO 합성은 1.28%로 LPS 처리군(7.79%)보다 83.57% 현저하게 감소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와 같이 흑색 방울토마토 주스는 항산화 활성과 알코올 분해능 및 항염증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기에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