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id Conversion Rate

검색결과 225건 처리시간 0.024초

침지형 정밀여과시스템을 결합한 이상 혐기성 시스템에 의한 유기물 제거율의 향상 (Improved Organic Removal Efficiency in Two-phase Anaerobic Reactor with Submerged Microfiltration System)

  • 정진영;정윤철;이상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29-637
    • /
    • 2000
  • 고형물 함유 유기폐수의 효율적인 메탄에너지 회수를 위해서 이상소화 반응시스템에 정밀여과시스템을 결합하여 시험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막분리 시스템은 산발효조내에 침지시켜 압축공기로 주기적으로 역세척하였고 셀룰로오스재질의 $0.5{\mu}m$ 크기의 막공경을 가진 카트릿지 형태의 정밀여과막을 사용하였다. 메탄발효조는 플라스틱 충진물을 반응기부피의 반 정도 채운 AUBF (Anaerobic Upflow Sludge Bed Filter) 를 사용하였다. 합성폐수는 선분 5,000 mg/L을 기질로 사용하였으며 운전부하에 따른 COD 제거특성을 조사하였다. 산발효조의 HRT는 10일에서 4.5일까지 단계적으로 감소시켰고 이때의 유기물 용적부하는 0.5에서 $1.0kg\;COD/m^3-day$ 로 변회되었다. 한편, 메탄발효조의 HRT는 2.8일에서 0.5일까지 단계적으로 감소시켰고 이때의 유기물 용적부하는 0.8에서 $5.8kg\;COD/m^3-day$까지 변화되었다. 산발효조의 경우 체류시간 4~5 일에서 80% 이상의 우수한 산선환율을 나타내었다. 메탄발효조의 경우에는 장기간의 운전을 통한 슬러지의 입상화에 기인하여 유기물 부하의 변동에 크게 관련없이 95% 이상 (처리수 COD 300 mg/L 이하)의 우수한 COD 제거특성을 나타내었다. 막분리형 이상소화공정은 산발효조의 미생물농도를 증가시켜 산전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고, 복합형 염기성 반응기는 우수한 COD 및 SS 제거를 나타내었다.

  • PDF

The Effect of Camphorsulfonic Acid in TEMPO-Mediated Bulk and Dispersion Polymerization of Styrene

  • Oh Sejin;Kim Gijung;Ko Narae;Shim Sang Eun;Choe Soonja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3권3호
    • /
    • pp.187-193
    • /
    • 2005
  • The TEMPO-mediated living free-radical bulk and dispersion polymerization of styrene in the presence of camphorsulfonic acid (CSA) are investigated. In the absence of TEMPO and CSA in the bulk polymerization, a conversion of $93\%$ is achieved within 6 hr of polymerization. When only TEMPO is involved in this polymerization, the pseudo-living free-radical polymerization is well achieved, however, the polymerization rate becomes quite slow. This retardation of the polymerization rate is solved by the addition of a low concentration of CSA. In the TEMPO-mediated dispersion polymerization in the presence of CSA, similar trends in the conversion, kinetics, and PDI are observed as those observed in the case of bulk polymerization. When only TEMPO is used in the dispersion polymerization, the resulting particle size becomes quite broad, due to the prolonged polymerization time. However, when a 1.0 molar ratio of CSA to TEMPO is added to the TEMPO-mediated dispersion polymerization, fairly mono-disperse PS microspheres having an average size of 5.83 $\mu$m and a CV of 3.4$\%$ are successfully obtained, due to the narrow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the intermediate oligomers and shortening of the polymerization time.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addition of CSA to the TEMPO-mediated bulk and the use of dispersion polymerization not only shortens the polymerization time, but also greatly improves the uniformity of the microspheres.

In vivo Methane Production from Formic and Acetic Acid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White Roman Geese

  • Chen, Yieng-How;Wang, Shu-Yin;Hsu, Jenn-Chu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7호
    • /
    • pp.1043-1047
    • /
    • 2009
  •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nversion rate of formic and acetic acids into methane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s of geese. In experiment I, two sets of two 4-month-old male White Roman geese were allocated to one of two treatment groups. Each set of geese was inoculated either with formic acid or with phosphate buffer solution (PBS). After the acid or the PBS was inoculated into the esophagi of the geese, two birds from each treatment were placed in a respiratory chamber as a measurement unit for 4 h in order to determine methane production rate. In experiment II and III, 6- and 7-wk-old male White Roman goslings were used, respectively. Birds were allocated to receive either formic acid or PBS solution injected into the ceca in experiment II. Acetic acid or PBS solution injected into the cecum were used for experiment III. After either the acids or the PBS solution were injected into the cecum, two birds from each treatment were placed in a respiratory chamber as a measurement unit for 3 h; each treatment was repeated 3 tim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formic acid inoculated into the oesophagi of geese was quickly converted into methane. Compared with the PBS-injected group, methane production increased by 5.02 times in the formic acid injected group (4.32 vs. 0.86 mg/kg BW/d; p<0.05). Acetic acid injected into the ceca did not increase methane production; conversely, it tended to decrease methane production.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formic acid may be converted to methane in the ceca, and that acetic acid may not be a precursor of methane in the ceca of geese.

혐기성 발효에 의한 생물학적 수소생산에 관한 연구 (A Study of Biological Hydrogen Gas Production under Anaerobic Fermentation)

  • 윤우현;김현갑;이태진
    • 유기물자원화
    • /
    • 제14권1호
    • /
    • pp.131-138
    • /
    • 2006
  • 본 연구는 혐기성 발효를 이용한 수소생산과정에서 pH를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안정적인 수소를 생산하기 위한 최적 pH를 찾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pH 6이었을 때 최적의 조건이었으며 이때 수소생산량은 1175.87 mL/L 이고, 이론적 수소 전환율은 22.51 %였다. pH 5는 901.77 mL/L의 수소가 발생되었으며, 수소 전환율은 17.48 %, pH 7은 454.26 mL/L의 수소생산량과 8.74 %의 수소 전환율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pH 7과 8에서는 각각 452.08 mL/L와 82.25 mL/L의 저조한 수소 생산량을 나타내었다. 자당의 혐기성 발효를 통한 유기산 생성에 있어서 pH가 7과 8에서는 propionate가 주로 관찰되었으나 pH가 5와 6인 영역 에서는 butyrate의 생성이 두드러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 PDF

혐기성소화조(嫌氣性消和槽)의 고온(高溫)에로의 전환(轉換) (Conversion of an Anaerobic Digester to Thermophilic Range)

  • 장덕;정태학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6권4호
    • /
    • pp.21-28
    • /
    • 1986
  • 인공(人工)슬러지를 이용하여 혐기성중온소화(嫌氣性中溫消和)의 고온소화(高溫消化)에로의 전환방법(轉換方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부하(負荷)를 계속하며 온도증가율(溫度增加率) 2, 1 및 $0.5^{\circ}C/day$로 온도를 상승시킨 결과, 온도증가율(溫度增加率) 이 클수록 메탄발효(醱酵)가 급속하게 악화되었으며, 세경우 모두 고온(高溫)에 도달하였을 때는 메탄발효(醱酵)가 중지되고 산발효(酸醱酵)만이 일어났다. 이러한 산발효상태(酸醱酵狀態)에서 부하(負荷)를 끊고 중화(中和)를 행한 후 6개월간(個月間)의 휴지기간중(休止期間中)에도 메탄발효(醱酵)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로부터 메탄생성균(生成菌) 온도충격(溫度衝擊)의 크기에 비례하여 급속하게 활성(活性)을 잃는 반면 산생성균(酸生性菌)은 영향을 덜 받아 고온하(高溫下)에서 적응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에 무부하상태하(無負荷狀態下)에서 온도(溫度)를 상승시켰을 때, 정상적(正常的)인 고온소화(高溫消化)가, 온도증가율(溫度增加率) $1^{\circ}C/day$의 경우 고온(高溫)에 도달한 후 1일(日)의 휴지기간(休止期間)으로도 가능하였고 일시(一時)에 상승시킨 경우도 20일간(日間) 휴지기간(休止期間)으로 가능하였다. 따라서 고온(高溫)에로의 전환(轉換)은 무부하상태하(無負荷狀態下)에서 용이(容易)함을 알 수 있는 동시에, 온도증가율(溫度增加率)이 작은 경우 고온(高溫)도달 후 짧은 휴지기간(休止期間)으로 전환(轉換)이 가능하며, 온도증가율(溫度增加率)이 매우 커서 급격한 온도충격(溫度衝擊)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메탄생성균(生成菌)이 산생성균(酸生性菌)과 균형을 이루기에 충분한 휴지기간(休止期間)이 주어지면 고온소화(高溫消化)에로의 전환(轉換)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산발효상태(酸醱酵狀態)의 고온소화조(高溫消化槽)에 중온소화(中溫消化)슬러지를 식종(植種)한 결과 신속하게 정상정(正常的)인 고온소화(高溫消化)가 이루어질 수 있었다. 따라서 중온소화(中溫消化)슬러지에 의한 식종(植種)은 고온소화(高溫消化)의 초기운전시(初期運轉時)나 정상정(正常的)인 소화(消化)의 정지시(停止時) 매우 유효(有效)한 전환(轉換) 및 회복방법(回復方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온도상승(溫度上昇) 및 중온(中溫)슬러지식종(植種)에 의한 정상정(正常的)인 고온소화결과(高溫消和結果)로부터 중온하(中溫下)에서도 상당량(相當量)의 고온균(高溫菌)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Production of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y Lactobacillus buchneri Isolated from Kimchi and its Neuroprotective Effect on Neuronal Cells

  • Cho, Yu-Ran;Chang, Ji-Yoon;Chang, Hae-Ch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1호
    • /
    • pp.104-109
    • /
    • 2007
  • Lactic acid bacteria that accumulated ${\gamma}-aminobutyric$ acid (GABA) in culture medium were screened to identify strains with high GAB A-producing ability. One strain, MS, which was isolated from kimchi, showed the highest GABA-producing ability among the screened strains. MS was identified as Lactobacillus buchneri based on Gram-staining, metabolic characteristics, and 16S rDNA sequence determination, Optimum culture conditions for GABA production were determined: MRS broth containing 5% MSG, 1% NaCl, and 1% glucose, at an initial pH of 5.0, the incubation temperature at $30^{\circ}C$ for 36 h. Under these conditions, MS produced GABA at a concentration of 251 mM with a 94% GABA conversion rate. Moreover, culture extracts of Lb. buchneri MS partially or completely protected neuronal cells against neurotoxicantinduced cell death.

Kinetics of Oxidation of Nitrotoluenes by Acidic Hexacyanoferrate (Ⅲ)

  • Bhattacharjee, A. K.;Mahanti, M. K.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4권3호
    • /
    • pp.120-123
    • /
    • 1983
  • The reaction of hexacyanoferrate (Ⅲ) with nitrotoluenes in aqueous acetic acid containing perchloric acid(1.0 M) at $50^{\circ}C$ gave the corresponding aldehyde as the major product. The order with respect to each of the reactants ― substrate, oxidant and acid ― was found to be unity. The Hammett plot yielded a ${\sigma}^+$ value of -1.30, and the kinetic isotope effect gave a $k_H/k_D$ value of 6.2. The pathway for the conversion of the nitrotoluenes to the products has been mechanistically visualized as proceeding through the benzylic radical intermediate, formed in the rate determining step of the reaction.

Modeling and Simulation of the Photocatalytic Treatment of Wastewater using Natural Bauxite and TiO2 doped by Quantum Dots

  • Becheikh, Nidhal;Eladeb, Aboulbaba;Ghazouani, Nejib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6호
    • /
    • pp.91-96
    • /
    • 2022
  • The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salicylic acid takes place in several stages involving coupled phenomena, such as the transport of molecules and the chemical reaction. The systems of transport equations and the photocatalytic reaction are numerically solved using COMSOL Mutiphysics (CM) simulation software. CM will make it possible to couple the phenomena of flow, the transport of pollutants (salicylic acid) by convection and diffusion, and the chemical reaction to the catalytic area (bauxite or TiO2 doped by nanoparticles). The simulation of the conversion rate allows to correctly fit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temporal simulation shows that the reaction reaches equilibrium after a transitional stage lasting over one minute. The outcomes of the study highlight the importance of diffusion in the boundary layer and the usefulness of injecting micro-agitation into the microchannel flow. Under such conditions, salicylic acid degrades completely.

유화중합을 이용한 수분산성접착제의 중합조건에 관한 연구 (Study of Emulsion Polymerization Condition of Aqueous Adhesive)

  • 이행자;박지선;이상록;김종민;장상목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7권4호
    • /
    • pp.470-47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유화중합을 이용한 수분산성 아크릴계접착제의 최적의 합성조건을 구하기 위하여 주단량체로 2-EHA(2-ethylhexyl acrylate), n-BA(n-butyl acrylate), MMA(methyl metacrylate), 기능성단량체로 2-HEMA(2-hydroxylethylmethacrylate), AAc(acrylic acid), 유화제로는 음이온성 유화제인 SLS(Sodium Lauryl Sulfate), 그리고 개시제로 APS(Ammonium persulfate)를 사용하여 전환율, 입자 크기, 박리강도, 유리전이온도에 대한 유화제, 개시제, 단량체 함량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반응온도 $82^{\circ}C$, 유화제(SLS/monomer) 3.75%, 개시제(APS/monomer) 0.612%에서 95% 이상의 전환율을 얻을 수 있었고, 유화제나 개시제의 양이 너무 많을 때는 박리접착강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65% 2-EHA/monomer, 20% BA/monomer, 10% MMA/monomer에서 최대 전환율과 최대 박리접착강도를 얻을 수 있었다.

김치유래 Lactobacillus sakei OPK2-59의 ${\gamma}$-Aminobutyric Acid 생성 및 Glutamate Decarboxylase 활성 (${\gamma}$-Aminobutyric Acid Production and Glutamate Decarboxylase Activity of Lactobacillus sakei OPK2-59 Isolated from Kimchi)

  • 유진주;오석흥
    • 미생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16-322
    • /
    • 2011
  • 김치로부터 분리한 유산균 Lactobacillus sakei OPK2-59는 ${\gamma}$-aminobutyric acid (GABA) 생성능력과 glutamate decarboxylase(GAD) 활성을 보유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Lactobacillus sakei OPK2-59를 59.13 mM과 177.40 mM monosodium glutamate (MSG)가 함유된 MRS 배지에서 배양하면 균주의 성장을 위한 최적 온도범위와 pH는 각각 $25-37^{\circ}C$와 6.5였다. 59.13 mM과 177.40 mM MSG 함유 MRS 배지에서 배양온도 $25^{\circ}C$ 조건에서, 48시간 배양하였을 경우 MSG의 GABA 전환율은 각각 99.58%와 31.00%였다. 또한 Lactobacillus sakei OPK2-59 세포추출액을 이용하여 MSG를 GABA로 전환할 수 있었으며, 추출물에 의한 GABA 전환율은 $30^{\circ}C$, pH 5 조건에서 78.51%로 가장 높았다. 세포추출액에 의한 MSG의 GABA 전환에 미치는 무기염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CaCl_2$, $FeCl_3$, $MgCl_2$를 첨가한 반응액에서 염을 넣지 않고 반응한 control보다 GABA 전환율이 2-3배 증진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김치 유산균 Lactobacillus sakei OPK2-59의 GABA 생성능은 유산균 세포 내에 존재하는 GAD에 의한 것이며, GAD에 의한 GABA 전환율은 무기염에 의하여 증진될 수 있음을 제안해 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