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hyranthes japonica Nakai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7초

파종기별(播種期別) 흑색(黑色)비닐피복(被覆)이 쇠무릎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Sowing Dates and Black P.E. Film Mulching on the Growth and Yield in Achyranthes japonica N.)

  • 김명석;박규철;정병준;박태동;김상철;심재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91-94
    • /
    • 1997
  • 본(本) 연구(硏究)는 1994년(年)부터 1995년(年)까지 전남농촌진흥원(全南農村振興院) 특용작물(特用作物) 시험포장(試驗圃場)에서 지방종(地方種)을 수집(蒐集), 공시(供試)하여 쇠무릎의 파종기(播種期) 및 흑색(黑色)비닐피복(被覆)효과를 구명(究明)하기 위해 실시(實施)하였으며 시험결과(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입모율(立毛率)은 4월(月) 1일(日) 파종(播種)에서 가장 높았고 지상부(地上部) 생육(生育)은 4월(月) 1일(日) 파종(播種)과 흑색(黑色)비닐 피복재배(被覆栽培)에서 많았으며 흑색(黑色)비닐 피복재배(波覆栽培)가 무피복재배(無被覆栽培)에 비해 경장(莖長)은 14cm 길었고 분기수(分技數)는 2.4개(個) 많아 주근장(主根長) 및 주근경(主根徑)은 각각(各各) 2.8cm, 1.8mm 더 길고 굵었다. 2. 건근수량(乾根收量)은 4월(月) 1일(日) 파종(播種), 흑색(黑色)비닐 피복재배(被覆栽培)에서 3,190kg/ha로 가장 높았고, 흑색(黑色)비닐 피복재배(被覆栽培)가 토양적습(土壤適濕) 유지(維持)와 제초(除草) 노력(勞力)의 성력효과(省力效果)가 높아 무피복(無被覆) 재배(栽培)(2,660kg/ha))에 비하여 20% 증수(增收)되었다. 3. 파종기별(潘種期別), 흑색(黑色) P.E. 피복재배하(被覆栽培下)에 따른 생육특성(生育特性),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 및 수량간(收量間)에 유의적(有意的)인 정(正)의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었다.

  • PDF

Three Different Viruses Isolated from Typical Weed Plants that Grown Adjacent to Common Crop Fields

  • Kwon, Sun-Jung;Choi, Hong-Soo;Han, Jung-Heon;La, Yong-Joon;Kim, Kook-Hyu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6권6호
    • /
    • pp.297-305
    • /
    • 2000
  • Weeds are widely grown in the field and are infected by many viruses. A survey was conducted to identify viruses infecting weeds in Korea. Virus-infected weed samples including Rorippa indica (L.) Hiern, R. islandica (Oed.) Bord, Crepidiastrum denticulatum (Houtt.) Pak & Kawanno, Achyranthes japonica (Miq.) Nakai, and Chrysanthemum boreale (Makino) Makino were collected in Kyonggi Province. These weeds were grown in the greenhouse and were isolated on 10 test plants. Several virus isolates were isolated fron infected tissues and were further studied by host range assay, serological test, electron microscopy (EM),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 sequencing. Each isolated virus strain was mechanically transmitted to weeds and various hosts including Nicotiana spp., Brassica spp., Vigna unguiculata, Capsicum annuum, and Cucumis sativus and showed systemic mosaic, vein clearing, necrosis, mottle, malformation, chlorosis, and/or death of host plants in some cases. Each virus was then purified using infected leaves and observed by EM. From these results three viruse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as Turnip mosaic virus (TuMV), Broad bean wilt virus (BBWV), and Cucumber mosaic virus (CMV). RT-PCR using virus-specific oligonucleotide primers and the cloning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nucleotide sequences of coat proteins of the three viruses their amino acid sequence were deduced. The amino acid sequence homologies were about 92.7 to 99.7%, 96.2 to 97.7%, and 93.9 to 98.6% to other reported TuMV, BBWV, and CMV strains,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many weeds may serve as primary inoculum source of diseases caused by TuMV, BBWV, CMV and that the management of these viral diseases can be achieved through weed control.

  • PDF

약초중의 일반성분 및 무기질 함량조사 (Survey for Approximate Composition and Mineral Content of Medicinal Herbs)

  • 황진봉;양미옥;신현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71-679
    • /
    • 1997
  • 국내에서 재배, 유통되고 있는 약초 일반성분 및 무기질 함량을 분석하였다. 건물기준으로 조회분은 오가피, 쇠비름, 사상자가 각각 22.4, 20.6, 15.0%로 다량 함유하고 있었고, 조단백은 산조인, 택사, 정력자, 결명자가 각각 39.9, 30.6, 28.8, 27.5%로 다량 함유하고 있었다. 조지방은 산조인, 창이자, 소자, 동과자 순으로 각각 27.9, 24.0, 22.8, 22.4%, 조섬유는 만형자, 영지, 송절, 접골목 순으로 각각 59.5, 53.9, 46.4, 41.2% 그리고 가용성 무질소물은 복령, 천마, 초용담, 지황이 각각 91.2, 87.9, 86.3, 86.0%로 다량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은 상기생, 동규자, 연자육이 각각 100 g당 1,485.9, 1,149.5, 985.0 mg로 다량 함유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마그네슘은 삼백초, 단삼, 칡이 각각 728.0, 582.0, 464.9 mg로 다량 함유하였다. 칼슘은 승마, 오가피, 건칠이 각각 8,506.6, 7,106.5, 3,010.2 mg로 측정되었으며, 칼륨은 송이, 어성초, 우슬이 각각 5,613.5, 5,353.5, 4,665.7 mg였다. 또한 나트륨의 경우 육종용, 두충, 매실이 각각 2,064.5, 595.3, 291.4 mg, 철은 대계근, 초용담, 속단이 각각 307.4, 233.0, 207.6 mg로 나타났다.

  • PDF

울릉도산 산채류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s produced in Ullung Island)

  • 이승욱;이효정;유미희;임효권;이인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33-24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산채식물들을 이용한 새로운 기능성 소재의 개발에 우선하여 생산량과 소비량이 비교적 양호한 산채류 7종 즉, 물엉겅퀴, 쇠무릅, 울릉미역취, 섬고사리, 서덜취, 눈개승마 및 쇠비름을 선정하여 각 부위별 메탄올추출물을 제조한 후 이들의 항산화 활성을 검색하였다. 총 폴리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16.74-130.20{\mu}g/mg$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섬고사리 잎과 울릉미역취 뿌리는 DPPH 와 ABTS+ 소거활성에서 각각 13.20과 $14.91{\mu}g/mL$. 43.93과 $29.08{\mu}g/mL$$RC_{50}$ 값을 보여 가장 높은 소거활성을 나타냈으며 또한 폴리페놀의 함량에 비례하여 소거활성이 증가하여 폴리페놀 함량과 free radical 소거활성은 깊은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H_{2}O_{2}$에 대한 소거활성은 섬고사리 잎과 뿌리 및 울릉미역취 뿌리에서 각각 72.83, 89, 99.62%로 높은 활성을 나타냈고 이러한 결과 역시 폴리페놀 함량과의 연관성을 나타냈다. 산채나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linoleic acid에 대한 과산화 억제 효과를 ferric thiocyanate법으로 살펴본 결과, $100{\mu}g/mL$의 처리농도에서 모두 90% 이상의 산화억제 효과를 보였고, $10{\mu}g/mL$ 처리 농도에서는 울릉미역취 뿌리와 씨 그리고 서덜취 잎에서 각각 83.4, 87.4, 79.8%의 산학억제 효과를 보였다. Hydroxy radical에 의한 2-deoxy-D-ribose의 산화억제 효과는 $100{\mu}g/mL$의 처리농도에서 쇠무릎 잎과 씨, 물엉겅퀴 씨, 울릉미역취 씨는 116.9, 84.8, 94.3, 93.9%로 높은 저해율을 보였다.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감마선 조사 및 저온저장($10^{\circ}C$)은 김밥재료 뿐만 아니라 김밥의 미생물 제어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와 비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FA-swelling mica의 중금속 이온의 선택성은 Pb>Cu>Cd$\geq$Zn 순으로 나타났다.지 않았다.l years and a new type of transfer crane has been developed. Design concepts and control methods of a new crane will be introduced in this paper.and momentum balance was applied to the fluid field of bundle. while the movement of′ individual material was taken into account. The constitutive model relating the surface force and the deformation of bundle was introduced by considering a representative prodedure that stands for the bundle movement. Then a fundamental equations system could be simplified considering a steady state of the process. On the basis of the simplified model, the simulation was performed and the results could be confirmed by the experiments under various conditions.뢰, 결속 등 다차원의 개념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와 최근 제기되고 있는 이론의 확대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신뢰와 결속에 영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