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hromobacter xylosoxidans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1초

진공분만으로 출생한 신생아에서 발생한 Achromobacter xylosoxidans에 의한 두피 농양 1례 (A case of scalp abscess caused by Achromobacter xylosoxidans after vacuum delivery)

  • 박은영;권문경;민선정;황형식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4호
    • /
    • pp.451-454
    • /
    • 2006
  • Achromobacter xylosoxidans는 호기성 그람음성균으로 면역 저하자와 신생아에서 기회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신생아에서 두피 농양은 주로 태아 감시의 합병증으로 발생하고 대개 여러 균감염이 된다. 저자들은 진공분만으로 출생 후 두피 농양이 발생하였고 Achromobacter xylosoxidans가 배양된 1례를 경험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Community-acquired Achromobacter xylosoxidans infection presenting as a cavitary lung disease in an immunocompetent patient

  • Hwang, Chan Hee;Kim, Woo Jin;Jwa, Hye Young;Song, Sung Heon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7권1호
    • /
    • pp.54-58
    • /
    • 2020
  • Achromobacter xylosoxidans is a gram-negative bacterium that can oxidize xylose. It is commonly found in contaminated soil and water but does not normally infect immunocompetent humans. We report a case of a cavitary lung lesion associated with community-acquired A. xylosoxidans infection, which mimicked pulmonary tuberculosis or lung cancer in an immunocompetent man. The patient was hospitalized due to hemoptysis, and chest computed tomography (CT) revealed a cavitary lesion in the superior segment of the left lower lobe. We performed bronchoscopy and bronchial washing, and subsequent bacterial cultures excluded pulmonary tuberculosis and identified A. xylosoxidans. We performed antibiotic sensitivity testing and treated the patient with a 6-week course of amoxicillin/clavulanate. After 2 months, follow-up chest CT revealed complete resolution of the cavitary lesion.

약초 복용 후 Ochrobactrum anthropi에 감염 1예 (A Case of Ochrobactrum anthropi Infection after Using Medicinal Plants)

  • 조성식;천재우;전춘배;박상묵;장숙진;문대수;박영진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2-25
    • /
    • 2006
  • Ochrobactrum anthropi, previously known as Achromobacter species biotypes 1 and 2 (CDC groups Vd-1, Vd-2), belong to the groups of non-Enterobacteriaceae- nonfermentative Gram negative bacilli. Achromobacter is not presently a recognized genus. Achromobacter xylosoxidans has been transferred to genus Alcaligenes as A. xylosoxidans subsp. xylosoxidans, and "Achromobacter" sp. group Vd has been named Ochrobactrum anthropi. O. anthropi was isolated from a blood culture. Organisms were identified as O. anthropi by use of the biochemical test and the VITEK 2(bioMerieux, USA). The Organism was susceptible only to colistin, imipenem, meropenem, and tetracycline, but were resistant to amikacin, aztreonam, cefepime, ceftazidime, cefpirome, ciprofloxacin, gentamicin, isepamcin, netilmicin, pefloxacin, piperacillin, piperacillin/tazobactam, ticarcillin, ticarcillin/clavulanic acid, tobramycin, and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We report the clinical and microbiologic characteristics of O. anthropi infection in the patient. This is the first case of O. anthropi infection after using a plant as medicine at Chosun University Hospital.

  • PDF

공공 화장실에서 사용하는 액체 손세정제의 세균 오염도 조사 (Investigation of Bacterial Contamination of Liquid Soaps Used in Public Restroom)

  • 홍승복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14-220
    • /
    • 2020
  • 세정제로 손을 씻는 것은 감염의 가능성이 있는 미생물을 줄이는 중요한 방법이지만 재사용하는 액체 형 세정제는 외부의 오염에 취약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화장실에서 사용하고 있는 액체 세정제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저자는 6개 건물에 있는 58개의 공공 화장실에서 액체 형 손 세정제를 조사하였다. 균의 동정은 전통적인 생화학적 검사와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였으며 항균제 감수성 검사는 Vitek II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58개의 화장실 중 27개(46.55%)의 화장실에서 세정제를 다시 채워 재사용하고 있었으며, 이들 중 25개(92.59%) 화장실의 세정제가 세균에 오염되어 있었다. 오염된 균은 1.6×103 to 2.7×105 CFU/mL의 범위였으며, Serratia liquefaciens (12 균주), Achromobacter xylosoxidans (9 균주), Serratia marcescens (4 균주), Staphylococcus pastueri (1 균주), Achrombacter spanius (1 균주) 순으로 분리되었다. A. xylosoxidans 1 균주를 제외하고 같은 건물에서 분리된 같은 균 종은 동일한 감수성 양상이었다. 결론적으로 오염된 손 세정제로 손을 씻는 것은 공공보건 시설에서 세균의 전파가능성이 높일 수 있으므로 면역이 감소한 환자들이 이용하는 병원의 화장실은 손 세정제를 재사용하는 것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Metallo-${\beta}$-lactamase를 생성하여 Imipenem에 내성인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한 항균제 병합요법의 효과 (Effect of Antibiotic Combination Therapy on Metallo-${\beta}$-Lactamase Producing Imipenem 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 홍승복;김홍철;이장원;손승렬
    • 미생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39-345
    • /
    • 2008
  • 국내 대학병원에서 분리되어 imipenem 에 대한 최소억제농도가 $8{\mu}g/ml$ 이상인 51개의 포도당비발효 그람음성 간균들 중 metallo-${\beta}$-lactamase (MBL)을 생성하는 균주들을 분리하고, 그들 중에서 내성이 강한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한 항균제 병합요법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승효과를 보이는 항균제 조합을 찾아보았다. 9개의 균주(Pseudomonas aeruginosa 2주 및 Achromobacter xylosoxidans subsp. xylosoxidans 7주)가 MBL 양성을 나타냈으며, PCR 결과 9주 모두에서 $bla_{VIM-2}$ 유전자가 관찰되었다. 이들 중에서 P. aeruginosa DK569는 aztreonam (MIC; $8{\mu}g/ml$)을 제외하고 실험한 모든 ${\beta}$-lactam 항균제, aminoglycoside, ciprofloxacin에 내성을 보여 aztreonam 함유 배지를 이용하여 상승효과률 보이는 항균제를 찾고자 하였다. One disk synergy test 에서 선별된 항균제 조합을 이용하여 생존률 검사 실험을 한 결과, aztreonam (AZT)와 piperacillin-tazobactam (TZP)의 병합은 항균제 노출 6시간 후에 AZT 또는 TZP의 단독 항균제 노출시 보다 균수가 1/18.7로 감소하였다. 그리고 AZT와 amikacin (AN)의 병합에서도 항균제 노출 6 시간 후에 AZT 또는 AN의 단독항균제의 투여보다 균수가 1/17.1 로 감소하였다. 결국 위 두 조합은 의미있는 상승효과를 보이지 못하여 위 세 항균제를 조합하여 실험하였다. 위의 세 항균제를 병합하였을 때 항균제 노출 8시간 후에 AZT, TZP 및 AN의 단독 투여에 비하여 병합요법에 의해 균수가 1/183.3 로 감소하여 의미있는 상승효과를 보였다. 이 결과는 치료가 쉽지 앓은 MBL 생성균에 의한 감염에 대한 치료에 AZT, TZP 및 AN의 세 가지 항균제 병합요법이 유용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순천만 갈대근권 토양으로부터 얻은 PAH 분해세균의 특성 분석 (Characterization of PAH-Degrading Bacteria from Soils of Reed Rhizosphere in Sunchon Bay Using PAH Consortia)

  • 김성현;강성미;오계현;김승일;윤병준;강형일
    • 미생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08-215
    • /
    • 2005
  • 본 연구는 농업과 어업, 그리고 생태체험과 같은 인간들의 활동으로 인하여 상당히 영향을 받는 갯벌환경 중의 하나인 순천만을 모델장소로 갈대의 환경정화 기능에 있어 근권에 분포하는 미생물의 역할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우선, 순천만의 갈대근권 토양을 시료로하고 anthracene, naphthalene, phenanthrene, pyrene 등이 첨가된 다환성 방향족 화합물(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을 탄소원 및 에너지원으로 하는 농화 배양을 통하여 두 개의 consortium을 획득하였다. 두 consortium으로부터 순수 분리된 우수한 PAH분해능을 갖는 4개의 균주(SCB1, SCB2, SCB6,그리고 SCB7)를 형태 및 생리학적 특성과 16S rRNA유전자서열을 기초로 분석한 결과 각 균주는 $99{\%}$ 이상의 신뢰도로 Burkholderia sp., Aicaligenes sp., Achromobacter sp., and Pseudomonas sp.로 동정되었다. 주목할 만한 점은 Burkholderia sp. SCB1과 Alcaligenes sp. SCB2는 naphthalene이나 phenanthrene보다 훨씬 안정되어 있는 구조의 anthracene이나 pyrene에서 더 빠른 성장률과 기질 분해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Achromobacter sp. SCB6와 Pseudomonas sp. SCB7은 pyrene을 제외한 다른 시험기질에 대하여 유사한 성장 및 분해패턴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주요한 염습지 식물중의 하나인 갈대의 근권에서 살아가는 이들 PAH 분해 균주들이 PAH와 같은 물질로 오염된 근권 환경의 정화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제시해 주었다.

Biodegradation Kinetics of Diesel in a Wind-driven Bioventing System

  • Liu, Min-Hsin;Tsai, Cyuan-Fu;Chen, Bo-Yan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1권5호
    • /
    • pp.8-15
    • /
    • 2016
  • Bioremediation, which uses microbes to degrade most organic pollutants in soil and groundwater, can be used in solving environmental issues in various polluted sites. In this research, a wind-driven bioventing system is built to degrade about 20,000 mg/kg of high concentration diesel pollutants in soil-pollution mode. The wind-driven bioventing test was proceeded by the bioaugmentation method, and the indigenous microbes used were Bacillus cereus, Achromobacter xylosoxidans, and Pseudomonas putida. The phenomenon of two-stage diesel degradation of different rates was noted in the test. In order to interpret the results of the mode test, three microbes were used to degrade diesel pollutants of same high concentration in separated aerated batch-mixing vessels. The data derived thereof was input into the Haldane equation and calculated by non-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trial-and-error methods to establish the kinetic parameters of these three microbes in bioventing diesel degradation. The results show that in the derivation of μm (maximum specific growth rate) in biodegradation kinetics parameters, Ks (half-saturation constant) for diesel substance affinity, and Ki (inhibition coefficient) for the adaptability of high concentration diesel degradation. The Ks is the lowest in the trend of the first stage degradation of Bacillus cereus in a high diesel concentration, whereas Ki is the highest, denoting that Bacillus cereus has the best adaptability in a high diesel concentration and is the most efficient in diesel substance affinity. All three microbes have a degradation rate of over 50% with regards to Pristane and Phytane, which are branched alkanes and the most important biological markers.

Molecular Cloning and M13 Subcloning of Genes Encoding Catechol Dioxygenases

  • Kim, Young-Soo;Choi, Bong-Soo;Min, Kyung-Rak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5권1호
    • /
    • pp.48-51
    • /
    • 1992
  • Achromobacter xylosoxidans KF701 and Pseudomonas putida (NAH7)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degradative capability of aromatic compounds including benzoates, biphenyls, and naphthalene. However, both of the bacterial strains can grown on catechol as the sole carbon and energy source. Catechol 2, 3-dioxygenase gene for naphthalene oxidation or biphenyl oxidation was cloned into Escherichia coli HB 701. A E. coli HB 101 clone containing catechol 2, 3-dioxygenase gene from P. putida (NAH7) contains a recombinant plasmid with 3.60kb pBR322 and 6-kb insert DNA. Another E. coli HB101 clone containing catechol 2, 3-dioxygenase gene from A. xylosoxidans KF 701 has a recombinant plasmid with 4.4kb pBR322 and 10-kb insert DNA. Physical maps of the recombinant plasmids were constructed, and catechol 2, 3-dioxygenase gene in the recombinant plasmide was further localized and subcloned int M13. The cloned-catechol 2, 3-dioxygenase game products were identified as yellow bands on nondenaturaing polyacrylamide gel after electrophoresis followed by activity staining with catechol solution.

  • PDF

Pseudomonas putida의 Catechol 2,3-dioxygenase 유전자의 클로닝 (Cloning of Catechol 2,3-dioxygenase Gene from Pseudomonas putida)

  • 김영수;최봉수;민경락;김치경
    • 미생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55-159
    • /
    • 1991
  • Four strains of Pseudomonas putida (NAH), Pseudomonas sp.(TOL), Achromobacter xylosoxidans, and Alcaligenes sp. were compared with their degradative capability of aromatic compounds. All of the bacterial strains were utilized catechol as a sole carbon source for growth, but signigicantly different in degradative properties for 5 other aromatic compounds. Catechol 2, 3-dioxygenase gene from P. putida (NAH) has been cloned and expressed in E. coli. The DNA clone designated pCNU101 contains NAH-derived 6 Kb insert and its physical map was characterized. A subclone (pCNU106) for the catechol dioxygenase gene in pCNU101 contained 2.0kb-DNA insery fragmented by HpaI and ClaI.

  • PDF

토양 서식 미생물을 이용한 가축사체 매몰지 토양유래 용존 유기물 분해 (Biodegradation of Dissolved Organic Matter Derived from Animal Carcass Disposal Soils Using Soil Inhabited Bacteria)

  • 박정안;강진규;김재현;김성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5권12호
    • /
    • pp.861-866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축사체 매몰지 토양에서 추출된 미생물을 이용하여, 가축사체 매몰지 오염 토양 유래 유기탄소의 분해 효과를 분석하고, 분해에 관여하는 미생물의 종을 규명하는 것이다. 경기도 안성에 위치한 가축 매몰지 토양 유래 용존 유기탄소를 대상으로 토양 서식 미생물의 생분해율을 평가한 결과(56일 동안), 1번 용액(초기 용존 유기탄소 농도 = 19.88 mg C/L)에서는 13일 이내에 48%의 용존 유기탄소가 감소하였으며, 56일째 용존 유기탄소는 $8.8{\pm}0.4$ mg C/L로 56% 분해되었다. 2번 용액(초기 용존 유기탄소 농도 = 19.80 mg C/L)에서도 초기 13일 이내에 용존 유기탄소 농도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56일째 용존 유기탄소는 $6.0{\pm}1.6$ mg C/L로 70%가 분해되었다. 생분해 실험과정에서, 전체 유기탄소 물질에서 방향족 탄소구조의 비율을 나타낸 지표인 $SUVA_{254}$값은 용존 유기탄소와는 다르게, 일정기간(21일) 동안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SUVA_{254}$값은 1번 용액과 2번 용액 모두, 21일째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생분해 실험 14일째 미생물 분석 결과, 토양에서 쉽게 발견되는 Pseudomonas fluorescens, Achromobacter xylosoxidans, Nocardioides simplex, Pseudomonas mandelii, Bosea sp. 등 미생물이 검출되었다. 그리고, 56일째 미생물 분석 결과, Pseudomonas veronii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