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heilognathus yamatsutae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5초

큰줄납자루(Acheilognathus majusculus)와 줄납자루(Acheilognathus yamatsutae) 잡종의 초기생활사 특징 (Early Life History Characteristics of an Induced Hybrid Between Acheilognathus majusculus and Acheilognathus yamatsutae)

  • 박재민;유동재;한경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70-179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axonomic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Acheilognathus majusculus and A. yamatsutae during their initial life history via an interspecific hybridization experiment. Hatching time required 36 h for MY and 49 h for YM at 21.5℃,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of 13 h between the hybrids. The hatching rates of the cross-bred eggs were 30% for cross MY (A. majusculus♀×A. yamatsutae♂) and 40% for cross YM (A. yamatsutae♀×A. majusculus♂). The hatching larvae size was total length 3.13-3.43 mm in MY and total length 3.89-4.22 mm in YM, which was larger in YM. The hybridization test between A. yamatsutae and A. majusculus that live in the same water stream confirmed that no interspecific reproductive isolation occurred.

흰줄납줄개(Rhodeus ocellatus)와 줄납자루(Acheilognathus yamatsutae) 잡종의 초기생활사 특징 (Early Life History Characteristics of an Induced Hybrid of Rhodeus ocellatus and Acheilognathus yamatsutae)

  • 박재민;한경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37-145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taxonomic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Rhodeus ocellatus and Acheilognathus yamatsutae during their early life history via an interspecific hybridization experiment. Results showed that the hatching rates of the cross-bred eggs were 60% for cross OY (R. ocellatus ♀×A. yamatsutae ♂) and 70% for cross YO (A. yamatsutae ♀×R. ocellatus ♂). The dorsal fin rays of YO were similar to those of R. ocellatus. The hybridization test of A. yamatsutae and R. ocellatus living in the same water stream revealed that no interspecies reproductive isolation occurred. OY and YO showed similar maternal and paternal characteristic. The juvenile of OY did not resemble both paternal and maternal fin rays, indicating a difference. The hatching larvae of the hybrids showe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ir parents but varied in terms of the shapes of their parts.

줄납자루,Acheilognathus yamatsutae Mori(Cyprinidae)의 산란 조건 (Spawning Conditions of the Bitterling, Acheilognathus yamatsutae Mori(Cyprinidae))

  • 송호복;권오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8-24
    • /
    • 1995
  • 줄납자루, Acheilognathus yamatsutae Mori의 산란 조건에 관하여 실험실의 수조에서 조사,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종은 암, 수컷 모두 이성의 존재 보다 조개의 유, 무에 더욱 민감한 성적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암컷, 수컷, 조개의 3가지 조건이 모두 갖추어 져야만 산란조건이 충족되어 산란행동이 유발되었다. 또한 살아있는 조개와의 직접적인 접촉 이외의 다른 조건에는 전혀 성적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다.

  • PDF

한국산 줄납자루 (Acheilognathus yamatsutae) 정자의 미세해부학적 구조 (Anatomical Ultrastructure of Spermatozoa of a Korean Bitterling, Acheilognathus yamatsutae (Pisces, Cyprinidae))

  • 김구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63-166
    • /
    • 2008
  • 줄납자루 A. yamatsutae 정자의 미세해부학적 구조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칼납자루 정자의 미세해부학적 구조는 경골어류 및 잉어과 어류의 일반적인 구조와 유사하였다. 즉, 둥근 두부와 긴 미부의 tangent한 연결, 비대칭적인 짧은 중편의 구조를 하고 있었다. 중편의 미토콘드리아는 핵과 유사한 크기로 하나로 융합되어 핵이 기울어진 방향에 위치해 있었다. 잉어과 중편에서 관찰되는 불규칙한 모양의 vesicle과는 달리 줄납자루에서는 vesicle이 미토콘드리아의 주위를 규칙적으로 둘러싸고 있었다. 이와 같은 융합된 미토콘드리아와 소포(vesicle)의 규칙적인 배열은 bittering에 속하는 Acheilognathus와 Rodeus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다. 두 중심립의 각도는 해부학적 단면상에서 약 $125^{\circ}C$로 나타나며 기부중심립의 위치는 핵이 기울어진 방향에 위치한 것과 핵이 기울어지지 않은 곳 2가지 type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줄납자루, Acheilognathus yamatsutae (Cyprinidae)의 패류 체내 산란 (Spawning of the Bitterling, Acheilognathus yamatsutae (Cyprinidae) into the Mussel)

  • 송호복;권오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9-50
    • /
    • 1994
  • 줄납자루, Acheilognathus yamatsutae의 패류 체내 산란에 관하여 1990년부터 1992년까지 강원도 춘천시에 위치한 의암호에서 조사 연구하였다. 본 종은 패류 체내 산란시 조개의 크기에 관계없이 산란숙주로 선호하는 종이 있었으며 선호하는 종내에서는 큰 개체를 선택하였다. 산란숙주로는 석패과의 말조개, 작은말조개, 곳체두드럭조개, 작은대칭이 등의 순으로 선호하였으며 석패과의 도끼조개, 재첩과, 산골과의 패류에는 산란을 하지 않았다. 조개 안의 어란과 자어는 대부분 내반새에 위치하였고 말조개에서 발견되는 어란과 자어의 수는 1-35개(마리) 사이였으며 한 개체당 평균 3.6개(마리)를 보유하고 있었다. 본 종은 비교적 부화가 빠르고 부화 직후에 이미 표피상돌기와 익상돌기가 생성되어 있었으며 꼬리운동이 활발하였는데 이는 조개의 반새안에서 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한 방편으로 생각된다.

  • PDF

탐진강의 어류상 (On the lchthyofauna of the Tam-jin River, Korea)

  • 나창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44-250
    • /
    • 1994
  • 1990년 9월 10일부터 1993년 10월 20일까지 탐진강 일대의 9개 지점을 중심으로 어류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는 투망과 족대 뜰망, 낚시 등을 이용하여 채집한 어류는 총 13과 26속 34종이었으며, 이중에 최(崔)(1989)의 18과 41속 55종과 비교한바 대부분 유사한 종이나 정보에 따른 종중 Acanthogobius hasta, Macropodus chinensis, Channa argus가 출현하였고, 한국산 특산 어종으로는 Rhodeus uyekii, Acheilognathus yamatsutae, Acanthorhodeus gracilis, Sarcocheilichthys variegatus wakiyae,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Sualidus gracilis magimae, Microphysogobio yaluensig, Cobitis longicorpus, Psewdobagrus koreanus, Liobagrus mediadiposalis, Odontobutis platycephala 12종이며, 우세종은 Zaccoplatypus, Z. temmincki, Acheilognathus yamatsutae 순이고, Cyprinus의 19종이 가장 많은 종수로 밝혀졌다.

  • PDF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Eggs and Yolk Sac Larvae of Korean Striped Bitterling, Acheilognathus yamatsutae (Cyprinidae), Spawning in Mussels

  • Song, Ho-Bok;Son, Yeong-Mok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4호
    • /
    • pp.193-198
    • /
    • 200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ggs and yolk sac larvae of Korean striped bitterling, Acheilognathus yamatsutae, spawned and grown In mussels. The number of eggs in the ovary was small ($358{\pm}108$ SD). The eggs were oval and large, and the formation of the perivitelline space was narrow. The eggs were hatched at only 41 hours after fertilization but the hatched larvae were underdeveloped. The development of yolk projection and minute tubercles on the skin surface was notable, along with the vividly moving tail in the hatched larvae. The yolk projection and minute tubercles were disappeared upon enhancement of the motor ability of the larvae was enhanced. The formation of eyes and body pigments of the larvae was relatively delayed in comparison with that of other cyprinid larvae. After completely consuming the yolks the larvae escaped from the mussel for free swimming and exogenous feeding.

금강에서 발견된 Acheilognathus sp. (Cyprinidae)의 분류학적 위치 (Taxonomic Status of Acheilognathus sp. (Cyprinidae) found in the Geum River, Korea)

  • 채병수;김상기;이진희;황의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49-258
    • /
    • 2014
  • 금강에서 채집된 Acheilognathus sp.의 분류학적 위치를 밝히기 위하여 이들의 형태적 및 유전학적 특성을 검토하고 속 내의 유사종인 줄납자루 및 큰줄납자루와 비교하였다. 이들은 많은 형태적인 특징에서 거의 비슷하였으나 수컷의 혼인색인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가장자리에 붉은 띠가 있고, 배지느러미 가장자리에 흰 띠가 있으며, 최대 체장이 줄납자루보다 큰 점, 계수형질에서는 척추골수가 다소 많은 점과 새파수는 적은 점 등의 특징에서 A. sp.가 다른 두 종과 차이가 있었다. 계통 분석에 의하면 A. sp.는 큰줄납자루 및 A. cyanostigma와 단계통을 형성하였으며 줄납자루와는 Acheilognathus속 내의 다른 종들보다도 더 먼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금강의 A. sp.는 줄납자루, 큰줄납자루 및 일본의 A. cyanostigma와 형태, 분포 및 유전적 특성에 의하여 구별되는 다른 종의 수준에 있다고 생각된다.

Acheilognathus majusculus, a New Bitterling (Pisces, Cyprinidae) from Korea, with Revised Key to Species of the Genus Acheilognathus of Korea

  • 김익수;양현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2권1호
    • /
    • pp.27-31
    • /
    • 1998
  • A new bitterling, Acheilognathus majusculus is described from 20 specimens collected from the Somjin and Nakdong River, Korea. The new species is similar to Acheilognathus yamatsutae, but distinguished from the latter and congeners by the combination of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15-21 gill rakers, 37-40 vertebrae, longer barbel, greenish body coloration, nuptial color of males and slightly protrusive snout. A key to species of Acheilognathus from Korea is included.

  • PDF

줄납자루, Acheilognathus yamatsutae (잉어과)의 골격 발달 (Osteological Development of Korean Striped Bitterling, Acheilognathus yamatsutae (Cyprinidae))

  • 송호복;손영목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9-28
    • /
    • 2005
  • 줄납자루, Acheilognathus yamatsutae (Cyprinidae)의 골격형성과 연골의 골화 과정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장 $6.82{\pm}0.08mm$ 에 부설골 (parasphenoid), 치골 (dentary), 익상골 (pterygoid), 각설골 (ceratohyal), 새궁(branchial arch) 등과 미골 (caudal skeleton)의 일부 등이 생성되었다. $7.76{\pm}0.09mm$에는 전두골 (frontal)과 두정골 (parietal)의 발달이 현저하였고, 주상악골 (maxillary)이 나타났으며, 흉대 (pectoral girdle)의 방사기골(proximal), 견갑골 (scapula), 오훼골 (coracoid)이 형성되었다. 또한 신경극 (neural spine)과 혈관극 (hemal spine)이 미추(caudal vertebrae)에 생성되기 시작하였다. $9.68{\pm}0.14mm$에 내장골 (vesceral skeleton)의 주새개골(opercle)과 새조골 (branchiostegals)이 나타났으며, 12.94 mm에는 흉대의 후측두골 (post temporal)이 생성되었다. 골격의 골화는 $9.68{\pm}0.14mm$를 전후하여 일어났으며, 부설골, 인두골 (pharyngeal bone), 치골, 전상악골(premaxillary), 주상악골, 주새개골 등과 늑골 (pleural rib), 신경극, 혈관극이 골화되었으며, 흉대의 의쇄골(cleithrum)과 상의쇄골 (supracleithrum) 그리고 미골의 미부봉상골 (urostyle)과 꼬리지느러미 (caudal fin)가 골화되었다. $11.52{\pm}0.13mm$에는 척추골이 생성되면서 골화되었고, $15.30{\pm}0.68mm$에 두부의 전두골, 전새개골(preopercle), 하새개골 (subopercle), 설악골 (hyomandibular)등이 경골화되었다. 본 종의 골격 형성과 골화는 다른 어종에 비하여 비교적 늦게 발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