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heilognathus majusculus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5초

큰줄납자루(Acheilognathus majusculus)와 줄납자루(Acheilognathus yamatsutae) 잡종의 초기생활사 특징 (Early Life History Characteristics of an Induced Hybrid Between Acheilognathus majusculus and Acheilognathus yamatsutae)

  • 박재민;유동재;한경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70-179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axonomic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Acheilognathus majusculus and A. yamatsutae during their initial life history via an interspecific hybridization experiment. Hatching time required 36 h for MY and 49 h for YM at 21.5℃,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of 13 h between the hybrids. The hatching rates of the cross-bred eggs were 30% for cross MY (A. majusculus♀×A. yamatsutae♂) and 40% for cross YM (A. yamatsutae♀×A. majusculus♂). The hatching larvae size was total length 3.13-3.43 mm in MY and total length 3.89-4.22 mm in YM, which was larger in YM. The hybridization test between A. yamatsutae and A. majusculus that live in the same water stream confirmed that no interspecific reproductive isolation occurred.

Acheilognathus majusculus, a New Bitterling (Pisces, Cyprinidae) from Korea, with Revised Key to Species of the Genus Acheilognathus of Korea

  • 김익수;양현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2권1호
    • /
    • pp.27-31
    • /
    • 1998
  • A new bitterling, Acheilognathus majusculus is described from 20 specimens collected from the Somjin and Nakdong River, Korea. The new species is similar to Acheilognathus yamatsutae, but distinguished from the latter and congeners by the combination of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15-21 gill rakers, 37-40 vertebrae, longer barbel, greenish body coloration, nuptial color of males and slightly protrusive snout. A key to species of Acheilognathus from Korea is included.

  • PDF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Acheilognathus majusculus, a Korean Endemic Species

  • Lim, Jin-Yeong;Lee, Won-Kyo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1권3호
    • /
    • pp.297-305
    • /
    • 2017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a Korean endemic species, Acheilognathus majusculus, from Jeokseong-myeon located in Seomjin River. The reproductive cycle is examined histologically regarding water temperature and day length of the habitat, the gonadosomatic index (GSI), the female ovipositor length index (OLI), monthly variation in egg diameter distribution, an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female and male gonads. The maximum GSI was found in $19.21{\pm}2.32$ and $6.90{\pm}0.53$ for female and male respectively when water temperature ($14^{\circ}C$) and day length (11.1hr) began to rise. On the other hand, the minimum level was reached during August ($1.87{\pm}0.67$ for female and $0.88{\pm}0.50$ for male). No samples represent with measurable ovipositor between September and November, while the longest ovipositor length index was in April ($79.68{\pm}4.69%$). We compared and calculated the stages of testis and ovary development process in order to determine the germ cell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nd the reproductive cycle. According to the result, we classified the female Acheilognathus majusculus reproductive cycle into four stages: Ripe (April) and spawning phase (May to June), degenerative phase (July), growing phase (August to December), and mature phase (January to March). The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male Acheilognathus majusculus was categorized into five stages viz. Ripe and spawning phase (May to June), degenerative phase (July to August), resting phase (September to November), growing phase (December to February), and mature phase (March to April).

고유종 큰줄납자루, Acheilognathus majusculus의 난 발생과 초기생활사 (Egg Development and Early Life History of Korean Endemic Species, Acheilognathus majusculus (Acheilognathinae))

  • 김치홍;최웅선;김대희;백재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7-24
    • /
    • 2014
  • 한국 고유종인 큰줄납자루 Acheilognathus majusculus의 종 보존을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난 발생과 자어의 성장을 관찰하고 초기생활사 특성을 논의하였다. 수정란은 둥근 타원형으로 평균 장경이 2.12mm(2.08~2.18 mm), 단경이 1.86mm(1.80~1.98 mm)이며 담황색 난황을 가진 분리침성란이다. 개체 당 산란 수는 40~112개(평균 72개)였고 수정란은 수온 $18.0{\pm}1.0^{\circ}C$에서 수정 후 43시간 만에 부화하였다. 부화 직후 자어의 크기는 4.23mm이고 형태적으로 납자루속의 자어 특성을 공유하고 있으며 자어 시기의 S자 운동은 없었다. 부화 후 25일 경에 소화기관이 완성되고 외부 먹이를 먹을 수 있어 자연에서 조개로부터 부출하는 시기로 추정된다. 만 1년 후에는 재생산이 가능한 크기로 성장한다.

금강에서 발견된 Acheilognathus sp. (Cyprinidae)의 분류학적 위치 (Taxonomic Status of Acheilognathus sp. (Cyprinidae) found in the Geum River, Korea)

  • 채병수;김상기;이진희;황의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49-258
    • /
    • 2014
  • 금강에서 채집된 Acheilognathus sp.의 분류학적 위치를 밝히기 위하여 이들의 형태적 및 유전학적 특성을 검토하고 속 내의 유사종인 줄납자루 및 큰줄납자루와 비교하였다. 이들은 많은 형태적인 특징에서 거의 비슷하였으나 수컷의 혼인색인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가장자리에 붉은 띠가 있고, 배지느러미 가장자리에 흰 띠가 있으며, 최대 체장이 줄납자루보다 큰 점, 계수형질에서는 척추골수가 다소 많은 점과 새파수는 적은 점 등의 특징에서 A. sp.가 다른 두 종과 차이가 있었다. 계통 분석에 의하면 A. sp.는 큰줄납자루 및 A. cyanostigma와 단계통을 형성하였으며 줄납자루와는 Acheilognathus속 내의 다른 종들보다도 더 먼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금강의 A. sp.는 줄납자루, 큰줄납자루 및 일본의 A. cyanostigma와 형태, 분포 및 유전적 특성에 의하여 구별되는 다른 종의 수준에 있다고 생각된다.

섬진강 하구 어류상과 주요 종의 개체군 생태 (Characteristics of Fish Fauna Collected from Near Estuary of Seomjin River and Population Ecology)

  • 김치홍;강언종;양현;김광석;최웅선
    • 환경생물
    • /
    • 제30권4호
    • /
    • pp.319-327
    • /
    • 2012
  • 하구둑이 형성되지 않은 자연 하천을 유지하고 있는 섬진강 하구의 어류상을 조사하고 주요 어종의 개체군 생태를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섬진강 하구에서 출현한 어류는 13목 26과 68종이었으며 전체 우점종은 큰줄납자루 (37.4%), 아우점종은 황어 (10.5%)였고 피라미(8.4%), 주둥치(5.1%)순으로 개체수가 많았다. 회유성 어종은 뱀장어, 황어, 은어, 연어, 숭어, 점농어, 민물검정망둑 7종이 출현하였고 한국고유종은 임실납자루와 칼납자루 등 20종이었다. 상류 담수역에서는 8과 35종이 채집되었고 우점종은 큰줄납자루 (38.2%), 아우점종은 참중고기 (11.5%)였으며, 하류 담수역은 13과 37종이 출현하였고 우점종은 큰줄납자루 (48.5%), 아우점종은 피라미 (13.0%)였다. 하구의 기수역은 19과 34종이 확인되었고 우점종은 황어 (42.6%), 아우점종은 주둥치 (13.2%)로 나타났다. 누치 등 주요 종에 대한 개체군 건강도 지수는 하구둑이 설치된 낙동강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나 하구둑 조성이 없는 섬진강 어류 집단이 안정적인 성장을 하고 있다고 본다.

국내 남부권역 주요 수계 농수로의 어류 군집 특성 (Fish distribution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waterways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n watersheds)

  • 지성민;성무성;김정훈;박준휘;김현구;안광국
    • 환경생물
    • /
    • 제38권1호
    • /
    • pp.146-159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 주요 수계 중 만경강, 섬진강, 남해권 수계, 탐진강, 영산강, 동진강과 연결된 농수로 어류의 종 조성과 어류 길드 특성, 군집 특성을 분석하였다. 2017년 9월부터 2018년 8월까지 4회에 걸쳐 현지 조사를 시행한 결과, 어류는 농수로에서 6목 11과 53종 3,633개체가 출현하였고 본류에서 9목 15과 57종 7,108개체가 출현했다. 농수로의 우점종과 아우점종은 칼납자루(Tanakia koreensis)와 납자루(T. lanceolata)로 나타났으며, 납자루아과의 어종이 우점하는 지점이 10지점 중 6지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담수성 이매패류의 서식에 기인한다고 사료된다. 그리고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 임실납자루(T. somjinensis)가 섬진강 수계의 농수로에서 출현했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큰줄납자루(Acheilognathus majusculus)와 꺽저기(Coreoperca kawamebari)가 각각 섬진강 수계, 섬진강과 탐진강 수계의 농수로에서 출현했다. 지점별로 어류 길드 분석 결과, 대체로 농수로가 본류보다 낮은 민감종의 비율을 나타냈다. 군집 분석 결과 하상 구조가 복잡하게 나타난 지점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군집을 보였으며, 환경적 변수에 따른 분석 결과 하상 구조가 복잡한 농수로 그룹이 높은 다양도 지수와 낮은 우점도 지수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농수로의 어류 서식 특성을 나타내고, 향후 연구와 관리의 필요성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