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etaldehyde

검색결과 550건 처리시간 0.03초

Shock-Tube Study of the Oxidation of Acetaldehyde at High Temperature

  • 원석재;류지철;배준현;김윤도;강준길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1권5호
    • /
    • pp.487-492
    • /
    • 2000
  •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a mixture of acetaldehyde, oxygen and argon behind a reflected shock wave at temperatures ranging from 1320 to 1897 K at 100 torr were studied. The emission from the OH radical at 306.4 nm and the pressure profile behind the reflected shock were measured to monitor ignition delay time. The ignition delay times were computed from a proposed mechanism of 110 elementary reactions involving 34 species. The simulation and sensitivity analysis confirm that the main channel for oxidation of acetaldehyde at high temperature consists of the Rice-herzfeld mechanism, the decomposition and oxidation of HCO, and the reaction of H with $O_2$.

김치의 휘발성(揮發性) 향미성분(香味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Kimchis)

  • 윤진숙;이혜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6-122
    • /
    • 1977
  • 김치의 휘발성(揮發性) 향미성분(香味成分)들에 관해서 확인(確認)하고 염도(鹽度) 및 숙성(熟成)에 따른 차이(差異)를 비교(比較)해 보았다. 김치를 고염(高鹽)김치, 저염(低鹽)김치, 저염(低鹽)날김치로 구분(區分)하고 침전반응(沈澱反應)을 통해 carbonyl화합물(化合物)과 함유황물질(含硫黃物質)의 존재(存在)를 확인(確認)하였다. Vacuum distillation하여 얻은 증류액(蒸溜液)을 ice+salt, dryice-acetone, liquid N trap에 각각 응축시킨 후(後). GC를 이용(利用)하여 분리(分離), 확인(確認)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날김치로부터 acetaldehyde, methylsulfide, propionaldehyde, acetone, methyl ethyl sulfide, methanol, ethyl sulfide, methyl ethyl ketone, ethanol, methyl allyl sulfide, methyl disulfide, allyl alcohol, allyl cyanide, allyl sulfide, allyl disulfide, allyl isothiocyanate, n-hexanol등 17가지를 잠정적으로 추정(推定)할 수 있었고, m.p. IR, UV, TLC, 관능검사(官能檢査)를 통해서 acetaldehyde, acetone, ethanol, ethyl sulfide의 4가지를 동정(同定)하였다. (2) 김치의 휘발성(揮發性) 향미성분(香味成分)으로서 가장 많은 량(量)을 차지하는 것은 ethanol이며 저염(低鹽)김치가 고염(高鹽)김치나 저염(低鹽) 날김치에 비해 월등히 많았다. (3) acetaldehyde는 고염(高鹽)날김치에는 상당량이 있었으나 숙성(熟成)된 김치에서는 매우 감소(減少)하였다. (4) 함유황물질(含硫黃物質)은 숙성(熟成)된 김치에서는 그 종류(種類)가 감소(減少)하였으며 이런 경향은 저염(低鹽)김치에서 현저하였다. (5) 김치가 숙성(熟成)되면 함유황물질(含硫黃物質)이나 acetaldehyde는 감소(減少)하고 ethanol과 그밖의 발효산물(醱酵産物)이 증가(增加)하여 김치의 휘발성(揮發性) 향미(香味)를 이룬다고 생각된다.

  • PDF

발효한약추출물 HP-1이 알코올을 투여한 쥐의 알코올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mented Herbal Extracts, HP-1 on Enzyme Activities and Gene Expressions Related to Alcohol Metabolism in Ethanol-loaded Rats)

  • 정용준;한동오;최보희;박철;이혜정;김성훈;함대현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387-391
    • /
    • 2007
  • Recently,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to developing various kinds of fermented herbal extracts, a new type of traditional herbal medicine, in the field of Korean traditional medicine. The fermentation of medicinal herbs is intended to exert a favorable influence on digestability, bioavailavility and pharmacological activity of herbal extract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It also produces a number of fermentation products that intensify the nutritional and pharmacological aspects of the medicinal herbs. In order to develop a functional beverage of alleviating the aftereffects of the previous drinks, the extracts (HP-1) of fermented herbal mixture, including Artemisia capillaris Thunb., Lonicera japonica Thunberg, and Hovenia dulcis Thunb., were prepared and the medicinal effect as a hangover cure was evaluated in ethanol-loaded rats. The enzyme activities of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2 (ALDH2) were analyzed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blood ethanol and acetaldehyde. The mRNA expression of ADH and ALDH2 was also investigated through RT-PCR analysis. In the HP-1-treated group, the concentration of blood ethanol was significantly reduced at one hour after loading of ethanol, as compared to that in the saline-treated group. The reduced ethanol was converted to acetaldehyde, which resulted in rapid increase in acetaldehyde concentration in an hour. Acetaldehyde was started to decrease at 5 hours after ethanol loading. It implies that HP-1 is highly effective to stimulate the activities of ADH and ALDH2. The HP-1 treatment also activated the mRNA expression of ADH and ALDH. This study suggests that fermented herbal extract, HP-1 can be used as a functional beverage of alleviating the alcohol-induced hangover symptoms by stimulating the activities and gene expression of hepatic alcohol metabolizing enzymes.

국내 시판 숙취해소제 4종의 혈중 알코올 및 아세탈데히드 농도 감소 효능 비교 (Efficacy Verification of Four Hangover Cure Products for Reducing Blood Alcohol and Acetaldehyde Concentrations in Sprague - Dawley Rats)

  • 한민지;진유정;정세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79-85
    • /
    • 2022
  • 최근 알코올성 간손상이나 간건강에 효과가 있는 천연물 원료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제들이 시판되고 있다. 하지만 간손상이나 간건강에 대한 기능성은 숙취해소와는 다르기 때문에 숙취해소제들의 숙취해소 효능 검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의 4가지 숙취해소제의 효능을 알코올에 의한 숙취유도 흰쥐 모델에서 비교 조사하고자 하였다. 4가지 샘플들은 각각 C, M, R, S로 명명되었다. 동물실험에서 숙취 완화 효능은 혈중 알코올 및 아세탈데히드 농도로 평가되기 때문에 각 샘플들의 효과를 혈중 알코올과 아세탈데히드의 농도와 AUC (Area Under the Curve)로 평가하였다. 알코올 투여는 유의적으로 흰쥐의 혈중 알코올과 아세탈데히드 농도를 증가시켰다. 샘플 C, M, R, S순으로 에탄올의 Cmax와 AUC 감소율은 각각 5.9%, 3.1%, 8.4%, 11.7%와 8.9%, 2.2%, 12.1%, 19.6%였다. 아세탈데히드의 경우, 같은 샘플 순서로 Cmax는 14.2%, 15.2%, 28.2%, 35.0% 감소하였으며, AUC는 21.6%, 7.5%, 22.4%, 29.9%의 감소율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샘플 S, R, C, M순으로 4개의 샘플 모두 EtOH군에 대비하여 숙취가 해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샘플 S만이 에탄올과 아세탈데히드의 혈중 농도와 AUC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감소율을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실험결과는 시중에 판매되는 숙취해소제의 객관적인 효능 검증이 부족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아세트알데하이드 흡착을 위한 활성탄의 첨착 및 개질 효과 (Effect of Impregnation and Modification on Activated Carbon for Acetaldehyde Adsorption)

  • 박진찬;김동민;이종대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1권3호
    • /
    • pp.472-47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공기청정기 필터용 활성탄의 아세트알데하이드 제거 특성이 금속 촉매 첨착 및 관능기 도입 방법을 사용하여 조사되었다. 야자각 차의 KOH 활성화를 통해 고 비표면적(1700 m2/g)과 미세기공이 발달한 활성탄을 제조하였으며, 금속촉매 첨착과 관능기 개질을 위해 침지 후 기공 내 건조조건에 따른 첨착 효율을 조사하였다. 제조된 활성탄의 물성은 비표면적 및 기공 분석(BET), 유도결합 플라즈마 분광 분석(ICP), 유기 원소 분석(EA) 및 푸리에변환 적외선 분광 분석(FT-IR) 등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활성탄 성능 확인을 위해 침지 농도에 따른 아세트알데하이드 흡착성능을 가스크로마토그래피(GC)로 분석하였다. 첨착용액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금속촉매 첨착량은 증가하였으며, 비표면적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각 금속촉매 첨착 및 표면개질 활성탄의 파과시험 결과 MgO10@AC, CaO10@AC, EU10@AC, H-U3N1@AC 조성에서 우수한 아세트알데하이드 흡착성능을 보여주었다. 흡착성능이 가장 뛰어난 MgO10@AC에 대해 파과 시간은 533.8 분, 흡착량은 57.4 mg/g으로 측정되었으며, 이는 활성탄에 나노 크기의 MgO 촉매를 첨착할 경우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카보닐기와 상호작용하여 흡착성능이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Hybrid system을 이용한 acetaldehyde 및 methanol의 반응 특성 연구 (The study of acetaldehyde and methanol reaction characteristics using hybrid system)

  • 서성규;이선원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27-428
    • /
    • 2001
  • 여수지역은 배후에 여수산단이라는 대규모 석유화학공단이 위치하고 있으며, 대기보전 특별대책지역 (환경부고시 제96-116호)으로 지정되어 있다. 광양만을 중심으로 여수, 광양, 순천지역은 대기환경 규제지역(환경부고시 제99-191호)으로 지정되어 중점 관리되고 있는 지역이다. 특히 acetaldehye 및 methanol은 $O_3$의 전구물질로 배출이 제한되지만 석유화학공단 등에서 반응에 필요한 기초 반응물질로 사용되고 있다. (중략)

  • PDF

GC-FID를 이용한 Acetaldehyde & Styrene의 분석 (Analysis of Acetaldehyde & Styrene using GC-FID)

  • 김덕현;유병대;김선태;전의찬;박민수;박종호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8-349
    • /
    • 2002
  • 시화·반월 공단은 4000여 중소기업이 밀집되어 있어 대기오염 물질 배출이 다른 지역보다 맡고 이중 다량의 악취 배출업소가 거주지역과 인접되어 있어 주민 생활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업종의 다양성으로 악취 문제의 원인 파악조차 힘든 지역으로 악취와 관련된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어 악취에 대한 심각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김덕현, 시흥환경기술개발센터, 2001). (중략)

  • PDF

Expression of Human Mitochondiral Aldehyde Dehydrogenase 2 in Mammalian Cells using Vaccinia Virus-T7 RNA Polymerase

  • Kang, Su-Min;Yoo, Seung-Ku;Lee, Ki-Hwan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7권1호
    • /
    • pp.41-44
    • /
    • 1999
  • Human mitochondrial aldehyde dehydrogenase 2 (ALDH2) is mainly responsible for oxidation of acetaldehyde generated during alcohol oxidation in vivo. A full-length cDNA of human liver ALDH2 was successfully expressed using a vaccinia virus-T7 RNA polymerase system. The expressed ALDH2 had an enzymatic activity as high as the native human liver ALDH2 enzyme.

  • PDF

Search for acetaldehyde trapping agents by using alcohol dehydrogenase assay

  • Lee, Hyun-Joo;Lee, Kang-Ma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160.3-161
    • /
    • 2003
  • Aldehyde and active form of free oxygen produced in alcohol metabolism in liver are the cause of liver cell damage. The main system of alcohol metabolism is composed of alcohol dehydrogenase(ADH), aldehyde dehydrogenase(ALDH) and cytochrome P4502E1. Alcohol dehydrogenase is reversible in alcohol metabolism. To block the backward reaction and enhance alcohol oxidation, acetaldehyde trapping agents were assayed. The assay was carried out by measuring decreasing NADH at 340nm, using acetaldcehyde and NADH as substrate and coenzyme respectively. (omitted)

  • PDF

이종접합 나노 광촉매를 이용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물성 평가 (Properties of Cement Mortar with Nano-heterojunction Photocatalysts)

  • 이준철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2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81-182
    • /
    • 2022
  • The properties of cement mortar with nano-heterojunction photocatalyst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following tests were conducted with the cement mortar : (1) Flow test of fresh cement mortar, (2) compressive strength and (3) acetaldehyde removal efficiency under visible light. Results indicated that the cement mortar with nano-heterojunction photocatalysts showed higher compressive strength and higher acetaldehyde removal efficiency as the mixing ratio of nano-heterojunction increa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