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etaldehyde

검색결과 550건 처리시간 0.037초

하향주의 랫드에 대한 알코올 대사 특성 (Characteristics of Alcohol Metabolism of Hahyangju in Rats)

  • 정희경;박치덕;황미현;박승춘;김대익;홍주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55-160
    • /
    • 2008
  • 본 연구는 대구 무형문화재 제11호인 하향주의 품질 우수성을 규명하고자 향기성분 분석 후 랫드에 대한 알코올 대사 특성을 조사하였다. GC/MS 분석시, 하향주는 iso-butyl alcohol과 iso-amyl alcohol 등을 포함하여 17가지의 향기성분이 분석되었고 여과에 의해 acetaldehyde와 ethylacetate의 농도는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하향주와 동일한 농도인 17% 알코올을 SD계 랫드에 단회 경구 투여시 혈중 알코올 농도와 acetaldehyde 농도가 하향주 투여군이 낮았으며, 5시간 뒤 간조직에서 alcohol dehyogenase와 acetaldehyde dehyogenase의 농도는 하향주 투여군이 17% 알코올 투여군보다 높았다. 따라서 하향주는 동일농도의 17% 알코올 투여군보다 알코올 대사를 촉진시켜 숙취를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포도당분해산물이 사람 복막중피세포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lucose Degradation Products on Human Peritoneal Mesothelial Cells)

  • 송재숙;이경림;하헌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08-314
    • /
    • 2005
  • 상용 복막투석액에 함유된 고농도의 포도당과 포도당 분해산물(glucose degradation products: CDP)이 복막의 비후, 복막 투과성의 증가 및 한외여과 부전과 같은 복막의 구조적, 기능적 변화를 초래하리라 추정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DP성분이 사람 복막중피세포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색하였고 또 이때 ROS와 PKC가 관여하는지를 검색하였다. 혈청이 배제된 M199 배양액으로 성장을 동일화시킨 사람 복막중피세포를 GDP인 methylglyoxal(MGO), acetaldehyde, 그리고 3,4-dioxyglucosone-3-ene(3,4-DGE)으로 48시 간 동안 자극하였고, 복막의 투과성에 대한 지표로서 혈관내피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를, 섬유화의 지표로서 fibronectin과 heat shock protein 47(hsp47)의 단백을 정량하였다. 활성산소족(reactive oxygen species:ROS)과 protein kinase C(PKC)의 관여여부는 각각 항산화제 N-acetylcystein(NAC)과 PKC 억제제 calphostin C의 억제 효과로 검색하였다. MGO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VEGF 분비를 1.9배, fibronectin분비를 1.5배 그리고 hsp47 표현을 1.3배로 유의하게 증가시켰다(p<0.05). MGO에 의한 VEGF 상향 조절은 calphostin C와 NAC에 의하여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사람 복막중피세포에서 VEGF 분비는 acetaldehyde에 의하여 증가하였으나 3,4-DGE에 의하여 억제되었고, fibronectin 분비와 hsp47 표현은 acetaldehyde나 3,4-DGE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상을 종합할 때, ROS생산과 PKC활성화가 상용투석액내 함유된 MGO에 의한 점진적인 복막의 투과성 증가, 세포외기질 축적 그리고 복막 섬유화를 유발하는 주된 신호체계로서 이를 선택적으로 억제함으로써 복막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유통 주류의 포름알데히드 및 아세트알데히드 함량분석 (Analysis of Formaldehyde and Acetaldehyde in Alcoholic Beverage)

  • 박영석;이윤정;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10호
    • /
    • pp.1412-1419
    • /
    • 2006
  • 주류의 ethanol발효과정에서 ethanol과 이산화탄소 이외에 여러 가지 발효부산물이 함께 생성되어 주류의 품질을 결정한다. 특히 부산물 중 aldehyde류는 주류의 맛과 향을 저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강 위해성이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류에 함유되어 있는 aldehyde를 PFBHA로 유도체화 후 GC를 이용하여 주류 45종의 formaldehyde와 acetaldehyde함량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주류의 ethanol 농도(%, v/v)가 aldehyde oxime 화합물 생성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판정되었으며 ethanol 농도 5%, 13%, 21%에서는 검량선이 적합한 직선성을 나타내었다. 주류 45종의 formaldehyde의 전체적인 평균함량은 0.074 ppm이었으며 주류별 평균함량은 위스키 0.272, 리큐르 0.228, 맥주 0.161, 증류식 소주 0.106 ppm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고 과실주 0.032, 희석식 소주 0.009, 약주 0.03, 탁주 0.06 ppm 등으로 보다 함량이 낮았다. Acetaldehyde의 전체적인 평균함량은 7.592 ppm이었으며 주류별 평균함량은 위스키 15.263, 증류식 소주 13.371, 일반 증류주 9.963, 희석식 소주 0.805, 맥주 2.355 ppm등으로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다. 조사한 모든 주류에서 formaldehyde와 acetaldehyde 함량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제조 시 증류, 여과하는 공정이 다른 주류에 비해 많은 희석식 소주의 aldehyde 함량이 가장 낮음에 따라 제조공정에서 오는 차이가 주류의 aldehyde함량에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실험 결과 formaldehyde함량은 WHO의 먹는 물 수질기준 0.9 ppm보다 낮게 검출되었으며 식품공전에 의한 증류주의 aldehyde규격기준은 700 ppm이하인데 반해, 조사한 모든 주류 중의 함량이 기준치보다 낮아 음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Characteristics of a Metal-loaded SnO2/WO3 Thick Film Gas Sensor for Detecting Acetaldehyde Gas

  • Jun, Jae-Mok;Park, Young-Ho;Lee, Chang-Seop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2권6호
    • /
    • pp.1865-1872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ensitivity of a gas sensor to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t various operating temperatures and catalysts. Nano-sized powdered $WO_3$ prepared by sol-gel and chemical precipitation methods was mixed with various metal oxides. Next, transition metals (Pt, Ru, Pd, and In) were doped on the surface of the mixture. Metal-$WO_3$ thick films were prepared using the screen-printing method.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films were studied by SEM/EDS, XRD, and BET techniques. The measured sensitivity to VOCs is defined as the ratio ($R_a/R_g$) of resistance ($R_{air}$) of $WO_3$ film in the air to resistance ($R_{gas}$) of $WO_3$ film in a VOCs test gas. The sensitivity and selectivity of the films were tested with various VOCs such as acetaldehyde, formaldehyde, methyl alcohol, and BTEX. The thick $WO_3$ film containing 1 wt % of Ru and 5 wt % of $SnO_2$ showed the best sensitivity and selectivity to acetaldehyde gas at an operating temperature of 300 $^{\circ}C$.

Effects of Dried Persimmon Snacks on Alcohol Metabolism in Men

  • Kim, Suk-Gi;Lee, Young-Chul;Park, Hye-Se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6권1호
    • /
    • pp.62-65
    • /
    • 2001
  • Persimmon has been known to help alcohol intoxication in Korea for a long time and is prepared as a processed food. The effect of dried persimmon snacks on alcohol metabolism was determined in vivo. Eight Korean men (25~27 years old) were administered 3.5 mL/kg of alcohol (22.5%, w/v) with or without a dried persimmon snack (2g/kg). The levels of alcohol in the blood and of acetaldehyde in the blood and the urine were determined by alcoholmeter and assay using alcohol dehydrogenase and HPLC, respectively. All subjects showed decreased levels of alcohol in blood, and six subjects showed a decrease of alcohol in urine after consumption of ethanol with dried persimmon snacks. Concentration of acetaldehyde in the blood an urine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ree and five of the eight subjects, respectively. Reduction was more significant for alcohol than for alcohol than for acetaldehyde with administration of ethanol and dried persimmon snacks. This in vivo result suggests that dried persimmon snacks are effective in decreasing th concentration of alcohol after alcohol intake.

  • PDF

곡류를 첨가한 우유에서 Leuconostoc mesenteroides의 생육과 산생성 및 몇가지 휘발성 향기성분의 분석 (Growth and Acid Production by Leuconostoc mesenteroides in Milk Added with Cereal and Analysis of Several Volatile Flavor Compounds)

  • 고영태;김경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16-322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우유에 탈지분유 또는 4종의 곡류(쌀, 보리, 밀, 옥수수)를 각각 2% 첨가하고 Leuconostoc mesenteroides(ATCC 9135)로 발효하여 호상의 요구르트를 만든 후, 곡류의 첨가가 유산균의 생육과 산생성에 미치는 영향과 몇가지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였다. 곡류의 첨가로 Leuc. mesenteroides의 산생성이 대조군(우유로만 만든 요구르트)보다 현저하게 촉진되었으며, 30시간까지 발효하면서 적정산도와 pH, 생균수를 관찰한 결과는 발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산생성이 현저히 증가하였고 pH는 현저히 저하하였으며 생균수는 12시간 또는 18시간까지 현저히 증가하였다. GC에 의한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에서는 호상 요구르트에 함유된 휘발성분 가운데 acetaldehyde, acetone, ethanol, diacetyl, butanol 및 acetoin의 6가지 성분이 확인되었으며 이중에서 발효에 의해 생성된 것은 acetaldehyde, ethanol, diacetyl 및 acetoin이었다.

  • PDF

백색(白色) 완두(豌豆) 유묘(幼苗)에서 IAA 유도체의 확인(確認) (Identification of the Endogenous IAA Analogues in Pea(Pisum sativum L.) Shoots)

  • 김정봉;박노동;서용택;박창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2호
    • /
    • pp.162-169
    • /
    • 1989
  • 완두(豌豆) 유묘(幼苗)줄기의 추출물(抽出物)에서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TLC, HPLC 등으로 분리(分離)하고 여러 가지 정색반응(呈色反應)을 행한 결과 tryptophan, indole-3-acetaldehyde, IAA, indole-3-aldehyde를 확인(確認)할 수 있었다. 여기서 확인(確認)된 indole화합물(化合物)들을 근거(根據)로 볼 때 완두유묘(豌豆幼苗)에는 tryptophan${\rightarrow}$(?)${\rightarrow}$indole-3-acetaldehyde${\rightarrow}$IAA${\rightarrow}$indole-3-aldehyde로 이어지는 대사계(代謝系)가 존재(存在)할 수 있음을 추정(推定)할 수 있었다. 한편, IAA-당(糖) 복합체(複合體)로써 IAA-rhamnose와 IAA-glucose가 완두 유묘에 분포함을 잠정적으로 확인하였다.

  • PDF

활성슬러지 공정에 의한 Acetaldehyde 제조 공장 폐수의 처리 (Treatment of Wastewater from Acetaldehyde Plant by Activated Sludge Process)

  • 서승교;김정호;김영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59-265
    • /
    • 199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treatment of wastewater from acetaldehyde manufacturing plant by activated sludge process with Micrococcus roseus AW-6, Micrococcus roseus AW-22, Microbacterium lacticum AW-38 and Mlcrobacterium nae- vaniformans AW-41. The $COD_{Mn}$ and $BOD_5$ of the wastewater were 5, 260mg/L and 6, 452mg/L, respectively. pH was 1.85. The main organic component in the wastewater was acetic acrid which was contained 67, 600mg/L. Optimum dilution time for activated sludge process was shown 10 times. The specific substrate removal rate(BL) was 1.95day-1 and the nonbiodegradable matters(Sn) were 23.2mg/L. Saturation constant (Ks) and mainmum specific growth rate(qmax) were 1, 640mg/L and 2.33day-1, respectively. Sludge yield coefficient(Y) and endogenous respiration coefficient(kd) were 0.28mg MLVSS/mgCOD and 0.02day-1, respectively. $COD_{cr}$ removal efficiency was 91% for 1.95day of hydraulic retention time.

  • PDF

아세트 알데히드(특수산업) 공장폐수의 성분과 이용균주의 분리 (Analysis of Waste Water and Isolation of Strains Assimilation Waste Water from Acetaldehyde Plant)

  • 정기택;서승교;송형익;박임동;방광웅
    • 미생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28-332
    • /
    • 1987
  • 아세트알데히드 페수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할 목적으로 폐수의 성상을 조사하였으며, 아세트알데히드 폐수에서 잘 생육하는 53개 균주를 분리 고정하고 그 중 가장 COD 제거율이 우수한 4개 균주 AW-6, AW-22, AW-38, AW-41을 선별하고 이들을 동정하였다. 아세트알데히드 폐수의 성상은 CODmn 5,260ppm, BODs 6,452ppm, pH 1.85였으며 유기성분의 주체는 초산으로 6.76%를 함유하였다. 균의 동정 결과, AW-6은 Micrococcus 갠뎐, AW-22는 Micrococcus luteus, AW-38은 Microbacterium lacticum, AW-41은 Microbacterium laevaniformans 또는 그 우연균으로 동정되었다.

  • PDF

Purification of Mitochondrial Matrix Aldehyde Dehydrogenase from Pig Brain

  • Kim, Kyu-Tae;Lee, Young-Don
    • BMB Reports
    • /
    • 제28권2호
    • /
    • pp.177-183
    • /
    • 1995
  • The activity of aldehyde dehydrogenase (ALDH) in the cerebrum, cerebellum, striatum, and medulla oblongata was examined and mitochondrial matrix ALDH was purified prior to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localization of ALDH isozymes in pig brain. Relatively high enzyme activity was found in the striatum and medulla oblongata when using indole-3-acetaldehyde as substrate, and in the striatum when using 3,4-dihydroxyphenylacetaldehyde (DOPAL). The main part of mitochondrial ALDH activities with both acetaldehyde and DOPAL existed in the matrix fraction. The ratio of activity of the matrix to the membrane fraction in the cerebrum was higher than in the cerebellum, suggesting that the distribution pattern of ALDH isozymes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brain regions. The 276-fold purified mitochondrial matrix ALDH from pig brain was identified to be homologous tetramers with 53 KD subunits. The enzyme showed maximal activity at pH 9.0 and was stable in the temperature range from $25^{\circ}C$ to $37^{\circ}C$. The mitochondrial matrix ALDH activity was considerably inhibited by acetaldehyde in vitro. The $K_m$ values of the enzyme for acetaldehyde and propionaldehyde were 5.8 mM and 4.9 mM, respectively, whereas $K_m$ values for indole-3-acetaldehyde and DOPAL were 44 ${\mu}M$ and 1.6 ${\mu}M$, respectively. The $V_{max}/K_{m}$ ratio was the highest with DOPAL as compared with other substrate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mitochondrial matrix ALDH in the present work might be a low Km isozyme involved in biogenic aldehyde oxidation in pig brai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