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cumulated litter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6초

강산성 화산회토양에 있어서 초원의 천이에 미치는 인산의 역할 I. 일년생 및 다년생 목초 군락에 있어서 인의 순환 (The Role of Phosphorus on Plant Succession of Grassland in Andosol Region I. P-cycle in annual and perennial plant communities)

  • 정찬;스가와라 가즈오;전병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45-152
    • /
    • 1992
  • Phosphorus(P) cycle of Miscanthus sinensis, Sasa palmata and Artemicia princeps for perennial plants and Polygonwn thunbergii for annual plant were investigated in natural plant communities established in Andosol region. 1. Perennial plants contained about 50-80 % P of the maximum accumulated in whole plant in under ground parts as reserve P before wintering. On the other hand, annual plant returned the most part of P in plant tissues to soil and wintered with a small amount of P in only seed. 2. The storage percentage of K was low compared to P in both perennial and annual plants. And the return of K from litter to soil proceeded rapidly because of easy leaching of K. 3. Perennial plants stored a large amount of P in reserve organs before wintering and carry it over next generation, and P holded in an individual showed a yearly increase. Consequently, P was less susceptible to depressive factor for growth of perennial plants even in poor P circumstances like Andosol region, compared to annual plant.

  • PDF

모래밭버섯 균근균(菌根菌)으로 접종(接種)한 포플러 4개(個)개 수종(樹種) 삽목묘(揷木苗)의 체내(體內) 부위별(部位別) Cd과 Pb 축적(蓄積) 특성(特性) (The Cd and Pb Accumulation in Various Tissues of Rooted Cuttings of Four Populus Species Inoculated with Ectomycorrhizal Fungi, Pisolithus tinctorius)

  • 한심희;이경준;현정오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4호
    • /
    • pp.495-504
    • /
    • 2001
  • 본 연구는 포플러 4개 수종의 체내 부위별 Cd과 Pb 축적 특성을 이해하고, 균근 형성이 중금속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수행하였다. 외생균근균인 모래밭버섯균(Pisolithus tinctorius)을 현사시나무(Populus alba${\times}$glandulosa), 수원포플러(P. koreana${\times}$nigra var. italica), 양황철(P. nigra${\times}$maximowiczii), 이태리포플러(P. euramericana)의 삽수에 접종하여 화분에서 생장시켰다. 화분은 균근균 접종구와 비접종구로 구분하였으며, Cd은 토양에 0, 30, 80ppm으로, 그리고 Pb은 0, 50, 300ppm으로 처리하였다. 가을까지 야외에서 생육시킨 다음, 수확 후 총 생체량, Shoot/Root율, Cd과 Pb의 농도를 부위별로 측정하였다. 모래밭버섯균을 접종한 이태리포플러는 Cd과 Pb 처리 모두에서 비접종구보다 총 생체량이 증가하였으나, 나머지 세 수종에서는 접종 효과가 없었다. 균근균 접종으로 수원포플러와 이태리포플러의 S/R율은 증가하였다. 현사시나무는 포플러 4개 수종 중 Cd을 가장 높은 농도로 축적하였으며, 균근균 접종은 Cd 축적 농도를 4배정도 증가시켰다. 현사시나무는 잎, 줄기, 뿌리 중에서 잎에 가장 높은 농도로 Cd을 축적한 반면 다른 세 수종은 뿌리에 가장 높은 농도로 축적하였다. 그러나 Pb 축적 농도는 4개 수종 중에서 현사시나무가 가장 낮았다. Pb의 축적은 포플러 4개 수종모두뿌리에서 가장 높았으나 수원포플러는 잎에도 뿌리만큼 축적하였다. 균근균을 접종하지 않은 경우 Pb의 축적은 이태리포플러에서 가장 높았으나, 균근균을 접종할 경우 수원포플러에서 Pb 축적이 2배 이상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현사시나무는 토양으로부터 Cd을 흡수하는데 효과적인 수종이며 이태리포플러는 Pb을 효과적으로 흡수한다. 균근균을 접종하면 현사시나무의 경우 Cd을 4배, 수원포플러의 경우 Pb을 2배 이상 더 흡수할 수 있고, 이 두 수종은 잎에 중금속을 축적하므로, 낙엽을 수거한다면 중금속 오염 토양의 생물 정화용으로 이용이 가능하다고 결론 짓는다.

  • PDF

남한강 수변역식생의 토양탄소축적량과 토양호흡 특성 (Characteristics of Accumulated Soil Carbon and Soil Respiration on Vegetation in Namhangang Basin)

  • 정지선;이준석;이재호;심교문;이재석
    • 환경생물
    • /
    • 제32권4호
    • /
    • pp.363-370
    • /
    • 2014
  • 생태계가 담당하는 기능의 크기와 그 변화에 관여하는 환경요인과의 상호관계성 도출은 생태계의 과학적 속성 이해에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수변의 특이적 환경조건에 의해 주기적인 교란과 토양 퇴적환경이 발달하는 하천 수변지역에 형성되어 있는 하천식생에 대해 토양탄소축적량을 정량하고 그러한 식생의 토양으로부터 방출되는 토양호흡과 환경요소 자료를 수집하여 각 요소의 상호간의 관계성을 분석하였다. 남한강 여주지역에서 물억새, 달뿌리풀, 버드나무에서 토양호흡은 2009년 8월부터 11월까지 각 군락에서 수집하였으며, 토양탄소축적량은 각 군락의 3지점에서 수집하였다. 토양호흡은 지온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였으며, 가장 높게 관찰되는 8월의 토양호흡값은 달뿌리풀군락, 물억새군락, 버드나무군락에서 각각 $1,539mgCO_2\;m^{-2}$, $1,200mgCO_2\;m^{-2}$, $1,215mgCO_2\;m^{-2}$으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산정한 연간 토양호흡량은 달뿌리풀군락, 물억새군락, 버드나무군락에서 각각 $19.8tCha^{-1}yr^{-1}$, $30.1tCha^{-1}yr^{-1}$, $22.0tCha^{-1}yr^{-1}$으로 산정되어 물억새군락의 토양에 가장 높은 탄소가 축적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토양탄소축적량 (리터층+토양층)은 달뿌리풀군락, 물억새군락, 버드나무군락에서 각각 $40.6tCha^{-1}$ (1.9+38.7), $46.9tCha^{-1}$ (43.0+3.9), $31.2tCha^{-1}$ (28.9+2.3)으로 물억새군락의 토양에 가장 많은 탄소가 축적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물억새군락의 높은 지상부 생산성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시화호 인공습지에서 수생식물의 유기물 생산과 낙엽 분해 (Primary Production and Litter Decomposition of Macrophytes in the Sihwa Constructed Wetlands)

  • 최광순;김호준;김동섭;조강현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47-356
    • /
    • 2013
  • 수생식물의 수처리 기능을 고려한 습지관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화호 인공습지에서 유입수의 수질특성이 다른 2개의 습지(동화천과 반월천 습지)를 대상으로 갈대와 애기부들의 생장특성, 유기물 생산량과 분해속도를 조사하였으며, 또한 유기물생산량과 분해량을 토대로 습지내로의 유기물 부하량을 추정하였다. 갈대와 애기부들의 길이생장은 기온이 상승하는 3월에 증가하여 7~8월에 최고치(갈대 340cm, 부들 320cm) 를 보였다. 경엽부의 밀도는 갈대가 100~170 개체/$m^2$의 범위로 애기부들의 밀도(최대 78 개체/$m^2$)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갈대의 경엽부 최대 현존량은 $1,350{\sim}1,980gDM/m^2$의 범위로 반월천고습지에서 가장 컸고, 저습지에 비해 고습지에서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애기부들의 현존량은 $1,940gDM/m^2$로서 반월천고습지 갈대의 최대 현존량과 비슷한 값을 보였다. 갈대의 유기물생산력은 반월천고 습지 $2,050gDM/m^2/yr$ > 동화천저습지 $1,840gDM/m^2/yr$ > 반월천저습지 $1,570gDM/m^2/yr$ ${\fallingdotseq}$ 동화천고습지 $1,540gDM/m^2/yr$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애기부들은 $2,210gDM/m^2/yr$로서 갈대보다 생산력이 높게 나타났다. 시화호 인공습지 갈대와 애기부들의 연간 총 유기물 생산량은 845 ton DM/yr (423 ton C/yr)이었으며, 이중 갈대에 의한 생산량이 90%를 차지했다. 수생식물의 낙엽분해 속도(k)는 갈대와 애기부들 모두 잎이 줄기보다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갈대: 잎 0.0062/day, 줄기 0.0018/day; 애기부들: 잎0.0031/day, 줄기 0.0018/day). 그리고 줄기 낙엽의 분해속도는 갈대와 애기부들이 같은 반면 잎의 분해속도는 갈대가 애기부들보다 약 2배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수생식물의 연간 총 낙엽 분해량(285 ton C/yr, 연간 총 유기물생산량의 67.3%)으로부터, 수생식물의 의해 생산된 유기물의 32.7%는 습지내에 퇴적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Nonmonotonic Effects of Chronic Low-Dose Di(2-ethylhexyl) Phthalate on Gonadal Weight and Reproduction

  • Cha, Sunyeong;Jung, Kayeon;Lee, Min Young;Hwang, Yeon Jeong;Yang, Eunhyeok;Lee, Sung-Ho;Jung, Hyo-il;Cheon, Yong-Pil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2권1호
    • /
    • pp.85-94
    • /
    • 2018
  • Endocrine disruptors have been concerned in toxicology but now challenged as physiological point especially concerned with exposing dose and period. In this study the low-dose chronic administration of di(2-ethylhexyl) phthaltae (DEHP) during reproductive period was examined to evaluate the possible roles. Adult male and female CD-1 mice were exposed to DEHP with drinking water containing $133{\mu}g/L$ and $1,330{\mu}g/L$ DEHP in water according to OECD 433 guide line and sacrificed just after weaning. The weights of uterus and ovary were decreased by drinking of $1,330{\mu}g/L$ DEHP water. There was not adverse effects on either accumulated mating rate and mating rate depend on estrus stage, pregnancy duration, and sex ration at birth. However, the accumulated rate of successful delivery and litter size were significantly high at $1,330{\mu}g/L$ DEHP water. The number of epididymal sperm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drinking of $1,330{\mu}g/L$ DEHP water. In addition, the number of follicles (primary, secondary, tertiary) were more many than control at $1,330{\mu}g/L$ DEHP water drunk mother. Though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dentify what are the mechanism of DEHP in folliculogenesis and spermatogenesis. From this study we firstly report the effect of low-dose chronic administration of DEHP with drinking could change the ovarian follicle population size and spermatogenesis rate. Put together, those finding is different from previous high-dose effects and suggest the physiological role of DEHP in gonads and uterus.

무인항공기 및 다중분광센서를 이용한 하천부유쓰레기 탐지 기법 연구 (Detection Method of River Floating Debris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and Multispectral Sensors)

  • 김흥민;윤홍주;장선웅;정용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3권5_1호
    • /
    • pp.537-546
    • /
    • 2017
  • 본 연구는 무인항공기 및 다중분광센서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탐지 알고리즘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또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하천의 부유쓰레기 발생 범위를 산정하였다. 부유쓰레기 탐지 구간을 대상으로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항공촬영을 통해 면적 계산이 가능한 정사영상을 생성하였으며, 분광조사를 수행하여 하천수, 스티로폼, 초목류 등의 분광학적 특성을 이용한 부유쓰레기 탐지 지수식을 산출하였다. 그리고 산출된 지수식을 이용한 센서의 밴드 조합을 통해 스티로폼을 비롯한 부유쓰레기를 탐지하였다. 탐지 지수식 적용 결과 정사영상 내 총 3지점에서 대량의 부유쓰레기 집적 구간이 확인되었으며, 탐지 대상 면적 중 집적구간을 포함한 3.6%에 해당하는 0.82 ha($8,200m^2$)에서 스티로폼과 초목류를 포함한 대량의 부유쓰레기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억새와 새 초지에 있어서 낙엽의 생산과 분해에 관하여 (The Production and Decomposition of Litters in Miscanthus sinensis and Arundinella hitra Grasslands)

  • 장남기;이성규;김형기;김성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27-132
    • /
    • 1983
  • 冠岳山의 억새 草地A와 B 및 새草地에 있어서 落葉의 生産, 堆積 및 分解를 硏究하였다. 1. 억새草地A와 B 및 새草地 落葉의 生産量은 各各 2,267.12, 943.44 및 1,228.48g/m$^{2}$였다. 2. 억새草地A와 B 및 새草地 落葉有機物의 分解常數는 各各 0.732, 0.411 및 0.877 이였다. 3. 草地落葉의 有機物이 억새草地A와 B 및 새草地에서 半減하는데 要하는 年數는 各各 0.9年 1.7年 및 0.8年이었고 95% 減少하는데는 4.1年, 7.3年 및 3.4年이었으며 99% 減少하는데는 6.8年, 12.2年 및 5.7年이었다. 4. 草地落葉의 分解速度에는 土壤含水量과 草種에 따라 顯著 差異가 있었다.

  • PDF

Disturbing Effects of Chronic Low-dose 4-Nonylphenol exposing on Gonadal Weight and Reproductive Outcome over One-generation

  • Cha, Sunyeong;Baek, Jeong Won;Ji, Hye Jin;Choi, Jun Hee;Kim, Chaelim;Lee, Min Young;Hwang, Yeon Jeong;Yang, Eunhyeok;Lee, Sung-Ho;Jung, Hyo-il;Cheon, Yong-Pil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1권2호
    • /
    • pp.121-130
    • /
    • 2017
  • 4-Nonylphenol (NP) is a surfactant that is a well-known and widespread estrogenic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 (EDC). Although it has been known that the affinity of NP to ERs is low, it has been suggested that low-dose NP has toxicity. In the present study, the endocrine disrupting effects on reproduction, and the weight of gonads, epididymis, and uterus were evaluated with the chronic lower-dose NP exposing. This study was designed by following the OECD test guideline 443 and subjected to a complete necropsy. In male, NP had an effect on the weight of the testis and epididymis in both $F_0$ and $F_1$. In females, NP decreased the weight of ovary and uterus in $F_0$ but not in pre-pubertal $F_1$ pubs. Fertility of male and female in $F_0$ or $F_1$ was no related with NP administration. The number of caudal-epididymal sperm by body weight (BW) was not different between groups in both $F_0$ and $F_1$. Besides, the difference of the sperm number between generations was not detected. The number of ovulated oocytes was similar between groups in $F_0$, but significantly decreased in NP 50 group of $F_1$. The litter size and sex ratios of offspring in $F_1$ and $F_2$ were not different. The accumulated mating rate and gestation period were not affected by the NP administration. Those results shows that chronic lower-dose NP administration has an effect of endocrine disruptor on the weight of gonads and epididymis of $F_0$ and $F_1$ but not in reproduction. Based on th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chronic lower-dose NP exposing causes endocrine disruption in the weight of gonad and epididymis but not in the reproductive ability of next generations.

리기다소나무림의 버섯의 다양성, 생산량 및 영양염류 함량 (Diversity, Production and Nutrients Concentration of Mushrooms in a Pitch Pine Forest)

  • 남궁정;문형태
    • 환경생물
    • /
    • 제25권3호
    • /
    • pp.197-204
    • /
    • 2007
  • 2000년 3월부터 2000년 11월까지 공주시 근교의 리기다소나무림에서 계절별 버섯의 출현종과 종별 개체수, 생산량 및 영양염류 함량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중 영구방형구 내에 출현한 종은 총 32종류이었다. 버섯은 6월부터 출현하기 시작하여 9월에 종다양성과 생산량이 가장 높았다. 월별 우점종은 6월과 7월에는 밀버섯, 8월과 9월은 갈색털꾀꼬리버섯 이었으며, 10월에 젖버섯아재비버섯을 끝으로 더 이상 출현하지 않았다. 연중 가장 많은 개체수를 보인 버섯은 갈색털꾀꼬리버섯이었다. 버섯의 연간 생산량은 12.13kg $Dwha^{-1}yr^{-1}$으로 조사되었으며, 8월과 9월에 각각 3.95, 6.92kg $Dwha^{-1}$로 전체 생산량의 95%이상을 차지하였다. 월별 생산량이 많은 종은 7월에는 밀버섯, 8월과 9월에는 갈색털꾀꼬리버섯이었으며, 최대 생산량을 보인 버섯은 갈색털꾀꼬리버섯으로 전체 생산량의 27.1%를 차지하였다. 버섯의 평균 영양염류 함량은 때, N, P, K, Ca 그리고 Mg가 각각$38.81{\pm}4.82,\;0.90{\pm}0.44,\;28.41{\pm}7.81,\;0.24{\pm}0.16,\;0.76{\pm}0.26mg\;g^{-1}$으로 Ca과 Mg을 제외하고는 주변의 낙엽이나 토양보다 훨씬 높은 값이었다. 버섯을 통해 연간 임상에 축적되는 영양염류의 양은 N, P, K, Ca그리고 Mg가 각각 463.41, 10.26, 345.21, 3.14, $8.99g\;ha^{-1}yr^{-1}$이었다.

습지에 의한 수질개선 효과 (Water Quality Improvement by Natural Wetland)

  • 김범철;김호섭;전만식;황길순
    • 생태와환경
    • /
    • 제33권3호통권91호
    • /
    • pp.295-303
    • /
    • 2000
  • 10년 전부터 논농사가 중단되고 농업배수와 생활하수가 유입하여 식생이 번성한 습지에서 수질개선 효과를 측정하였다. 습지의 체류시간이 평균 1.2일로 매우 짧음에도 불구하고 SS와 질소의 제거효과는 높게 나타났다. 질산성질소의 제거효율은 평균 유입부하량의 61.4% (26.8 g/m$^{2}$/yr)로 조사항목 중 가장 높았으며, TN은 23.5% (45.1 g/m$^{2}$/yr), SS는 56% (1,515 g/m$^{2}$/yr)의 제거효율을 나타냈다. 습지에서의 유기물 제거효율은 낮았다. COD는 총 유입부하량의 14.2% (104 g/m$^{2}$/yr), VSS는 28.4% (28.4 g/m$^{2}$/yr)가 제거되었으나, DOC는 1.0% (7.6 g/m$^{2}$/yr)로 거의 제거되지 않았다. 평균 유입부하량이 32.5 g/m$^{2}$/yr이었던 TP는 대부분이 제거되지 않았으며 용존인의 경우는 유입된 인의 분해 및 퇴적물에서의 재용출에 의하여 습지로부터 유출되는 특성을 보였다. 습지에 설치된 enclosure에서는 물의 흐름이 차단되는 초기에 질산성질소를 제외하고 거의 모든 물질농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체류시간이 길어지면서 다시 인을 제외한 SS, 유기물(VSS, COD, DOC)과 총질소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식생과 습지 바닥에 축척되어 있는 식물고사체의 제거는 용존산소의 증가에 의한 질화작용으로 질산성질소의 농도가 증가할 뿐 습지의 정화효율에 미치는 영향은 적었다. 이것은 습지유출수의 유기물농도가 습지 내에 분포하는 식생보다는 퇴적된 유기물과 상부 수층간의 물질교환 평형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며, 일부 퇴적층을 제거하고 체류시간을 늘인다고 해도 저질과의 평형농도 이상으로 수질을 개선할 수는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자연습지는 강우기의 유입수에 대하여 안정적인 처리효율을 보여 유역 비점원에서의 오염물질 유출방지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