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paper compares efficiency results and performance targets for academic departments in a local private college using DEA (Data Envelopment Analysis). Because of an aging society, a smaller school-age population entering colleges, and enhanced accreditation standards by the government, colleges and universities are not recruiting and retaining sufficient students and therefore are struggling for survival. In contrast to popular four-year undergraduate universities concentrated in Seoul and its satellite cities, retaining students is critical for the survival of local private colleges in poor or remote region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identify the factors involved in the retention of students in the various departments of a college. However, given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departments, it is difficult to identify one unique or robust set of standards to evaluate their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ximize student retention capabilities by ensuring that additional resources are assigned to efficient DMUs, while, inefficient DMUs are given benchmarked target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college accreditation standards, this paper presents indices to be used in evaluating the efficiency of academic departments in a college. In evaluating relative efficiency, this paper uses the output-oriented BCC model. To define target levels to be achieved for efficient DMU, a multi-stage DEA procedure is used.
본 연구는 어린이집 건강과 영양, 안전관련 제도적 법규나 평가인증의 기준과 내용에 대해 알아보고 관련 연구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의 연구과제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영유아보육법, 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 및 어린이집 평가인증지표의 건강과 영양 그리고 안전관련 영역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1991년 이후에 연구된 학위논문 및 학술지연구논문을 중심으로 건강과 영양, 안전관리에 대한 현황을 고찰하여 발전과제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건강과 영양 그리고 안전관리와 관련하여 세부적인 지침이 마련되어 있었으나, 이러한 규정이 실제로 잘 지켜질 수 있도록 관련 법규를 강화한다거나 법규에 상응하는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건강과 영양 그리고 안전관련 평가인증지표 고찰을 통해 살펴본 바에 따르면 실제 구체적인 지침과 기준이 마련되고 있으나 의무화가 아니므로 건강과 영양, 안전에 대해 그 질을 보장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평가인증지표의 내용보완뿐만 아니라 제도적인 방법과 절차에 대하여 제고하여 효율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셋째, 건강, 영양, 안전관련 연구물중 안전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건강과 영양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건강과 영양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시도되어져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ALA 인증 문헌정보학교를 분석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현재 ALA 인증위원회로부터 인증받은 석사과정 문헌정보학교는 57개교이다. 57개교가 기본 데이터이며, 이 정보원을 이용하여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즉, 개교 연대, 개교시 학문명칭, 어떤 시기에 학과가 가장 많이 개설되었는지, 학문의 개정명칭, 어떤 학위과정의 프로그램 등이 개설되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여기에서 얻은 결과를 한국의 문헌정보학의 교육의 향상성과 그 방향을 결정하는데 타산지석으로 삼고자 하였다.
The accreditation process (AccP) is both an opportunity and a burden for medical schools-which one it becomes depends on how medical schools recognize and utilize the AccP. In other words, if a medical school recognizes the AccP only as a formal procedure or as a means for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it will be a burden for the medical school. However, if a medical school recognizes the real and positive value of the AccP, it can be both an opportunity and a tool for developing medical education.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AccP is to improve the quality, equity, and efficiency of medical education, along with increasing the options of choice. In order for the AccP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edical education, accrediting agencies and medical schools must first be recognized as part of an "educational alliance" working together towards common goals. Secondly, clear guidelines on the accreditation standards should be periodically reviewed and shared. Finally, a formative evaluation using self-evaluation as a system that can utilize the AccP as an opportunity to develop medical education must be introduced. This type of evaluation system could be developed through collaboration among medical schools, academic societies for medical education, and the accrediting authority.
This short review was aimed to provide the information for the people who are interested in genetic counselor educ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 in Korea. A large part of this study is indebted to HJ Kim's articles on the genetic counselor system, the global standards of genetic counseling curriculums, training program accreditation (TPA), and a certification process for genetic counselors (CPGC) in the US and Japan. The US and Japanese educational systems showed a high degree of similarities in curriculum, accreditation, and certification programs. Based upon this review, we hereby propose that the Korean Society for Medical Genetics should take a key role in providing the TPA and CPGC for non-MD genetic counselors. Requirement for the entrance to a Master's degree genetic counseling program should be open to successful four year undergraduate students for all areas, provided the candidates demonstrate the abilities to master the graduate level study in human genetics, statistics, psychology, and other required subjects. Besides accredited program graduates, eligibility for certification should also include the qualified candidates of genetic counseling with no formally approved education, but with a sufficient amount of clinical experience.
The fire compartments with fire-resistant construction are installed in the principal structural parts of a building in order to reduce damage in the event of a building fire. As a fire may spread through a crack in the fire compartment, the firestop with secured performance is us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methods, and standards specified in the detailed operation guideline. According to the current detailed operation guideline, vertical members (wall penetration) and horizontal members (floor penetration) are classified into different categories respective to each other for the classification of the firestop. Therefore, an accreditation applicant must apply for the performance test for each structure even if the wall and the floor have the same structure. Also, Grade T is used for the firestop that penetrates the fire compartment. However, in the case of foreign countries, the use of Grade F for the firestop is allowed even if it penetrates the fire compartment. The result of the precedent studies also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ly low possibility of fire to spread even if Grade F was applied for a metallic duct that penetrated the fire compartment. In this study, the improved scheme for the classification and performance standard of firestops was presented by analyzing the results of precedent studies regarding the firestop and domestic and overseas firestop qualification systems.
The Korean Institute of Dental Education and Evaluation (KIDEE) was established in 2007 to provide the quality assurance in dental education. The KIDEE has been recogniz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from Jan. 2015 for 5 years. KIDEE had accredited basic dental education programs of all 11 Korean dental schools. The dental accreditation system was introduced to encourage the improvement for dental schools, to ensure the quality of dental practice and most of all, to establish an internationally compatible system of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The accreditation system in Korea is supported by voluntary service of many dental professionals and contribute to improve the quality of dental education program in all institutions. The accreditation by KIDEE let the students and the dentists be taught with assured education program and the all Koreans be cared by the qualified dentists. A quality education system thus provides a sufficient number of qualified dental health professionals to meet the workforce needs of the nation. Ultimately, this should result in quality oral health care for the public. Finally, by specifying the competencies of graduates, the standards will define the scope of dental practice. This may serve to define the profession of dentistry and differentiate it from other health professions, or to differentiate among the specialties in dentistry in the case of advanced dental education programs.
본 연구에서는 먼저 유아용 교재 교구 평가인증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살펴보고 선행연구고찰을 통하여 평가인증에 관한 인식, 분류기준체계 마련의 필요성 그리고 평가인증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선행연구에서 다루지 못했거나 또는 소홀하게 다루어진 과제와 전망에 대해 크게 인증평가대상과 인증평가항목 등 두 가지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인증평가대상>에서는 첫째,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에 수록된 교재 교구에 한정해야할 것, 둘째, 학습지형태 교재 교구는 인준 평가 대상에서 제외할 것, 셋째, 투명한 유통경로를 확보한 회사의 교재 교구만을 평가인증 대상에 포함할 것, 넷째, 교사개별 주문용 템플릿을 평가대상에 포함할 것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편 <인증평가항목>에서는 첫째, 교재 교구 관리의 용이성에 대한 평가항목, 둘째, 위생관리의 용이성 항목, 셋째, 수리와 보수 가능성에 관한 항목, 넷째, 지속가능발전지향성에 대한 항목 등을 평가준거에 포함해야할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고는 대만고등교육 평가체제를 대상으로 심아 이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대만은 2005년 고등교육평가중심기금회(Higher Education Evaluation & Accreditation Council of Taiwan)라는 전담독립기구를 신설하여 평가를 수행하고 있다. 평가의 종류는 대학경영 전체를 평가하는 대학종합평가(校務評鑑), 학문분야평가(系所評鑑), 그리고 특정항목의 산출결과를 통계화하여 대학간 우열을 비교하는 업적평가(績效評鑑)의 세 가지 방식으로 수행하고 있다. 인증제는 학문분야평가에만 적용하고 있다. 평가방법은 먼저 자체평가보고서를 제출한 후 방문평가를 거쳐 평가보고서를 작성하고 결과를 공포하는 일반적인 순서로 접근하고 있다. 평가결과는 통과, 대기관찰, 미통과의 3개로 구분되는데 2008년 6월의 발표에 의하면 미통과 비율이 총 15.7%에 달하였다. 미통과된 대학은 입학정원에 있어 불이익을 받으며 다음해에 추수평가를 받도록 하고 있다. 한편 평가결과에 대한 도태제 적용, 업적평가의 순위 발표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고 있으며, 평가위원의 자질 향상, 평가지표의 불합리 등에 대한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대만의 이러한 특성과 문제는 우리 고등교육평가에도 유의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standards for the 2nd cycle of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system on institute of Korean Medicine Education & Evaluation (2nd IKMEE standards) and WHO guidelines for quality assurance of Traditional Medicine Education in the Western Pacific Region (WHO/WPRO guidelines) around the global standards of 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 for basic medical education (WFME standard) to identify the shortcomings and improvements of 2nd IKMEE standards. Method : Each article of 2015 revised WFME standard was translated and summarized with focus on its core content. The next step was to review and analyze the corresponding contents of 2nd IKMEE standards in 2016 and the WHO/WPRO guidelines in 2005 for each item, focusing on the WFME standards. Results : All items in the fields of 3. assessment of students and 7. program evaluation in the WFME domain were absent from the 2nd IKMEE standards, and almost none of the WHO/WPRO guidelines. Most items in 1. the mission and outcomes domain, except for some items in the 1.1 mission field, the items of 2.6~2.8 fields in 2. education program domain, the items of 4. student domain except for the items of 4.3 student counseling and support field, and almost all items about quality development in WFME standards did not have a corresponding item in both the 2nd IKMEE standards and the WHO/WPRO standards. Conclusion : 1. The WFME standards are applicable to the criteria development of IKMEE standards. Several items of the WFME standards may need to be modified to apply th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n medicine, but consensus or further study is required. 2. Both the 2nd IKMEE standards and the WHO/WPRO standards are very insufficient to meet the WFME standards. In particular, 3. assessment of students and 7. program evaluation in the WFME domain were not in the 2nd IKMEE standards. This standard needs to be supplemented.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