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cidents prevention

검색결과 1,234건 처리시간 0.03초

보행안전을 위한 앱서비스 'Smombie Safe Go' UI 연구 (User Interface for the 'Smombie Safe Go' App for Walking Safety)

  • 차오셴웨;김세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190-198
    • /
    • 2020
  • 스마트폰 기술의 발전은 인간의 생활에 편리를 가져왔으나,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은 다양한 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 중 생명과 직결되는 대표적인 위험한 사고가 보행 중 부주의로 인한 안전사고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행 중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이러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Smombie Safe Go' UI(user interface)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료 조사와 사용자 관찰을 통해 보행자 여정맵을 작성하고 사용자 보행 중 안전에 필요한 주요 기능을 도출하였는데, 투명한 인터페이스를 비롯하여 장애물 위치 알림, 위험에 대한 주의와 경고 기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하여 사용자 관찰을 통해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보행 시에 맞닥뜨리는 위험상황을 세 가지로 - ① 전방에 장애물이 나타날 경우, ② 횡단보도에 신호등이 있는 경우, ③ 횡단보도에 신호등이 없는 경우- 구분하였다. 위험상황별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각 상황에서 위험을 경고하는 앱서비스 flow와 UI를 설계하였다. 또한 이 서비스 구현을 위해 V2N(Vehicle to Network), AI 3D 물체인식기술, 비콘(Beacon) 등의 기술들을 검토하고 활용방식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연구의 심화를 통해, 'Smombie Safe Go'는 일반 보행자 뿐 만 아니라, 시각 장애인들에게 안전한 보행을 지원할 수 있는 앱서비스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

유리섬유 복합재료를 이용한 화재 비상통로용 스크린 소재 성능에 관한 연구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이정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653-659
    • /
    • 2018
  • 초고층 복합시설은 수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는 도심의 핵심시설로서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하고 있으며, 화재발생 시 연기와 유독가스는 대형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초고층 복합시설물에서 화재에 의한 재난이 발생했을 경우, 피난자들이 신속히 안전한 곳으로 피할 수 있는 비상 대피통로용 접이장치에 적용되는 섬유 스크린 소재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섬유 스크린 소재 개발 방향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철제 소재와 달리 접이장치 내 롤형태로 장기간 보관 시 하중 부담이 적은 경량일 것과 차염/차연 기능이 우수해야 하며 복사열에 의한 피난자의 영향이 적어야 할 것이다. 이에 대해 난연성이 우수한 원단과 후가공을 조건으로 3종의 섬유 스크린 소재를 선정하여 열수축시험, 접촉열시험, 연소성시험, 난연도시험, 인장강도시험, 인열강도시험을 통해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경량의 원단이라도 후가공을 통해 우수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실리콘수지 코팅이 섬유 스크린 소재 성능과 복사열에 의한 대피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무게와 두께가 상이한 유리섬유 2종과 난연 실리콘수지 4종을 대상으로 코팅을 한 후 연소성시험을 수행하여 최적의 후가공조건을 평가하였다.

낙상 peer review group 운영을 통한 낙상발생률 감소 (Reduction of Fall Incidence through Operation of the Staff Nurse-Centered Peer Review Group)

  • 성일순;송미라;김희선;김은숙;정미아;이수미;;하국희;김성화;이혜란;안경진;심미옥;김낙희;성영희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9-54
    • /
    • 2008
  • Background : This study was to reduce incidence of falls by analyzing actual problem and drawing out improvement plan applicable to the clinical practice through operation of the staff nurses-centered fall peer review group. Method : The fall peer review group was composed of 8 nurses having patient nursing experience for over 5 years, and each of fall cases was reviewed and the root cause was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did not fully understandthe content of the education, and the staff nurses did not completely inspect the risk factors of falls and perform immediate intervention when patient's condition changed. Based on the above-mentioned results, improvement activit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s of consolidating patients education method and supplementing computerized system to support nurses' decision making as well as devices and facilities. Result : As a result of conducting improvement activity in the aspects of education for patients, support of nurse's decision-making, and devices and facilities through operation of the staff nurses-centered fall peer review group, falls decreased by 9.5% compared to before improvement activity. Conclusion : It is concluded that operation of the clinical nurses-centered fall peer review group played a role of promoter to draw out practical and applicable improvement plan to the clinical practice and apply directions of the field-centered, and increased nurses' interest in falls and ultimately, reduced incidence of falls. Therefore the Center will continue to operate the staff nurses-centered peer review group, and recommends participation of nurses who actually take the charge of nursing patients in further analysis of patients' safety accidents.

  • PDF

준해양사고 통보서식 및 절차 개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vision of the Notification Form and Procedures of Marine Incident)

  • 강석용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9-46
    • /
    • 2020
  • 사고는 사후조치보다 사전예방이 더 중요하며 이는 하인리히의 법칙을 그 이론적 배경으로 들 수 있다. 준해양사고제도는 유사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의미 있는 제도로 국제해양사고조사코드(CI Code)의 발효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는 2010년에 도입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에 선박소유자나 선박운항자는 준해양사고 발생 시 지정된 통보서식에 따라 중앙수석조사관에게 통보하도록 되어있으나 아직까지 자발적인 통보건수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 한 원인으로 현재 준해양사고제도의 통보절차와 통보서식이 미흡하다는 점에 주목하여 이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관련규정, 영국과 싱가포르 등 선진해운국의 사례, 항공 및 철도 등 국내 유사교통기관의 사례와 국내 주요 해운선사의 준해양사고 통보절차 및 통보서식을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통보절차의 주요개선방안에는 준해양사고의 자율보고로의 전환, 보고주체의 확대, 통보자의 신분보장의 명기 등이 포함되며, 통보서식 개정의 주요내용은 통보라는 용어대신 보고라는 용어의 사용, 통보서식에 신분보장의 대한 내용 반영, 선택형 기입항목의 확대를 통한 통계적 가치 증대 등이 포함된다.

어린 아동의 하치조신경 전달마취 시 발생한 주사바늘 파절 : 증례보고 (Fracture of a Dental Needle during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in a Young Child: A Case Report)

  • 이한별;김민근;박호원;서현우;이주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20-326
    • /
    • 2016
  • 국소마취 중 갑작스러운 움직임은 주사바늘 파절을 야기할 수 있으며, 특히 예기치 못한 움직임을 보이기 쉬운 아동에게서는 더욱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주사바늘 파절이 발생한 경우 합병증을 최소로 하기 위하여 의료진의 신속한 대처가 중요하며, 환자 및 보호자에게 충분한 상황 설명과 진심 어린 유감표명을 하는 등의 의사소통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의료진은 사고 예방에 필요한 주의사항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본 증례는 의식하 진정하에 하치조신경 전달마취 시 갑작스러운 움직임으로 인해 주사바늘이 파절된 어린 아동에 대한 내용이다. 구강 내 존재하는 주사바늘 파절편의 위치를 방사선 사진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전신마취 하에 파절편을 성공적으로 제거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며, 주사바늘 파절 원인에 대한 고찰과 이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을 논의하여 주사바늘 파절 예방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고자 한다.

근로여성과 산업피로에 관한 조사연구 (Study on Industrial Fatigue of Working Girls in a Spinning and Weaving Industry)

  • 김광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87-96
    • /
    • 1971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present health status and fatigue of the workers in T. Industrial Company in Pusan in Jan. 1971. The results were based on a question are from 354 working gir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largest portion of the workers, 20.2% of the questioned employees, were observed to lie at age 20. 2. Regarding their formal education, 76.0% of them had completed middle school. while only 7. 1% had graduated from high school, . 3. 63.0% receive 7-8 hrs. of sleep a day while 18.4% receive S-6 hrs. of sleep a day. 4. 36.4% spend leisure time reading: while 15.5% spend it resting and thinking. 5. 53.8% of them live in the company′s dormitory and 31.6% live at home. 6. Time spent in travel to work: 32.8% spent 40-49 min., 23.6% spent 10-29 min. 7. The shift times were reported as: 44.1% wonting from 8 A.M. to 4 P.M. and 33.9% working from 6. A.M. to 2. P.M. which is what they are doing now. 8. Regarding symptoms of fatigue: 1) Physical symptoms were: 48.3% complained of "feeling bean in the legs, ", and 39.3% complained of "general exhaustion. " 2) Psychological symptoms were: 37.6% said that "it is boring to talk"and 26.3% said" they had a desire to be alone". 3) Nitrogenic symptoms were 49.7% complained of "asthenopia"and 37.0% complained of"vertigo and "staggering legs". 9. When asked about the most fatiguing time during work, the following information was reported: 25.2% felt the first hour in the morning was most fatiguing while 22.9% felt the sixth hour in the evening, and 22.8% eelt the fifth hour at night was. 10. 38.4% complained of sleepiness at 3 A.M. and 35.0% at 4 A.M. during night work. 11. 38.1% found Sunday the most fatiguing work day and 20.% found Monday. 12. The results of the effects of their work on certain diseases: 51.1% showed those with anemia as most effected by work. 13. In their Response to the question, "do you eat breakfast\ulcorner"57.0%, the largest portion, answered, " none at all ": 36.3%, enough. 14. Regarding the accident rate relating to the length of time employed at the company 28.5% was the highest accident rate from 5year to 6 year.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employer should consider the following points: 1. employ according to the worker′s vocational aptitude. 2. adjust the shifts. 3. offer rest time and off days, and establish recreational facilities. In the end we can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the workers of the workers and to the prevention of accidents due to industrial fatigue.

  • PDF

Development of a Classification Model for Driver's Drowsiness and Waking Status Using Heart Rate Variability and Respiratory Features

  • Kim, Sungho;Choi, Booyong;Cho, Taehwan;Lee, Yongkyun;Koo, Hyojin;Kim, Dongsoo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371-381
    • /
    • 2016
  • Objective: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features of heart rate variability (HRV) and respiratory signals as indices for a driver's drowsiness and waking status in order to develop the classification model for a driver's drowsiness and waking status using those features. Background: Driver's drowsiness is one of the major causal factors for traffic accidents.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the application of combined bio-signals to monitor the alertness level of drivers would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ification techniques of driver's drowsiness. Method: The features of three heart rate variability (HRV) measurements including low frequency (LF), high frequency (HF), and LF/HF ratio and two respiratory measurements including peak and rate were acquired by the monotonous car driving simulation experiments using the photoplethysmogram (PPG) and respiration sensors. The experiments were repeated a total of 50 times on five healthy male participants in their 20s to 50s. The classification model was developed by selecting the optimal measurements, applying a binary logistic regression method and performing 3-fold cross validation. Results: The power of LF, HF, and LF/HF ratio, and the respiration peak of drowsiness status were reduced by 38%, 22%, 31%, and 7%, compared to those of waking status, while respiration rate was increased by 3%. The classification sensitivity of the model using both HRV and respiratory features (91.4%) was improved, compared to that of the model using only HRV feature (89.8%) and that using only respiratory feature (83.6%).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lassification of driver's drowsiness and waking status may be improved by utilizing a combination of HRV and respiratory features. Appl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driver's drowsiness prevention systems.

폭발방지를 고려한 LPG 저장탱크 최적설계 (Optimization of Explosion Prevention for LPG Storage Tanks)

  • 임사환;허용정;손석우;임재기;이종락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4권7호
    • /
    • pp.897-903
    • /
    • 2010
  • 자동차 연료로 가스를 사용하는 것은 '삶의 질' 향상을 넘어 '생존'의 문제로 환경보존과 경제발전을 조화롭게 추구하는 '지속가능한 발전'이란 새로운 패러다임에 부흥하고 있다. 하지만 가스사용이 늘어나면서 폭발과 화재에 의한 인명피해가 해마다 발생하고 있으며, 대규모 저장시설에서의 가스 사고는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하 격납 저장탱크에서의 폭발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한정된 내용적과 화염에 노출되는 표면적을 최소로 하는 폭발방지를 고려한 최적의 저장탱크를 설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최적조건의 저장탱크를 설계한 결과, 20ton 저장탱크는 직경 3m, 길이 4.83m일 때 지하 격납 공간이 최소가 되었으며, 화염에 노출되는 표면적은 기존의 저장탱크에 비하여 89.4%로 줄어들어 안전성이 향상되었다.

고속도로 터널내 차량추돌화재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구간과속단속시스템 설치에 관한 통계적 연구 (A Study on Effectiveness for Car-Crash Fires Prevention through a Full-length Speed Enforcement System in Highway Tunnels)

  • 이영재;김갑철;박형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119-127
    • /
    • 2011
  • 70년대 이후 고속도로의 건설이 급격히 확대하고 있으며, 국토의 70 %가 산악지역인 국내의 지리적 여건상 반드시 터널의 건설이 포함된다. 현재는 607개의 고속도로 터널이 설치, 운영되고 있으며, 향후 2015년까지 440여개를 추가로 건설할 계이다. 이중 1,000 m 이상의 장대터널도 256개소로 대폭 증가될 예정이다. 고속도로 터널은 반밀폐 지하공간으로 차량운전자의 각별한 주의 또한 요구되고 있으나 터널내 과속통제시스템이 없어 추돌 또는 충돌로 인한 차량화재 사례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도로터널내 대형차량화재의 원인을 살펴보면 주로 과속에 의한 전방추돌에 의한 차량화재의 확률이 높다. 추돌사건을 줄이기 위해 터널 및 교량에 과속방지단속 시스템을 설치하여 원천적으로 운전자의 과속 등 이용자 측면의 주의를 고양시킬 경우 대형재난으로 이어질 수 있는 차량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는 사실이 입증됨에 따라 향후 위험도가 높은 1,000 m 이상의 장대터널 내에서의 화재사고 등 재난예방을 위해 구간과속 단속시스템 설치를 법적인 시설로 포함하여 재형재난을 방지할 수 있다.

산재보험 급여체계의 합리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blems and Development of the Benefits in Work Injury Insurance)

  • 김진수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7권
    • /
    • pp.119-141
    • /
    • 1999
  • 본고는 산재보험 급여체계 내에서 나타나고 있는 일부급여의 비합리적 과잉급여 현상과 협소한 급여범위와 급여의 미흡성 그리고 제한성 문제는 장기적으로 사회보험의 건전한 체제정립을 저해함은 물론 장기적으로 불공평성으로 인한 수급자의 제도에 대한 왜곡인식과 악용이 늘게되고 가입자의 제도 참여에 대한 불만과 회의적 시각이 누적되어 결국은 제도에 대한 신뢰를 상실시킬 수 있다는 우려에서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산재보험에 있어서 궁극적인 목적인 급여의 적절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급여에 의하여 수급자가 오히려 부를 축적할 수 있는 기회로 왜곡되거나 또는 급여체계의 목적에서 벗어난 적정이상의 소득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는 점도 급여체제의 올바른 기능 수행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로 판단하였다. 또한 사회보험제도 내에서 각 급여부분의 보장 수준에 평준화를 통하여 수급권자가 일부 급여에 대하여 집착을 보이지 않도록 하는 급여별 보장 수준의 평준화의 확립도 중요한 제도적 발전의 관건으로 인식하여 급여의 적절성과 평준화를 위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만 무분별한 급여수준의 삭감은 오히려 사회보험 발전에 저해요소로 작용할 위험이 높은 점을 감안하여 급여제도의 함으로 인하여 제도가 목적으로 하지 않는 비합리적인 부분으로서 적정이상의 급여를 제거하고, 오히려 급여부분에서 상대적으로 급여의 협소성과 미흡성으로 지적되는 보장기능에 대한 보완 작업을 통하여 제도 자체의 급여체제에 대한 형평성 및 공평성을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재보험 급여체제에 있어서 과잉 또는 중복 지급되는 급여부분을 구체적으로 지적하고 이를 급여에 있어서 미흡한 부분으로 전환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제도의 합리성을 확보하고 제도의 건전성을 확보함으로써 산재보험의 장기적인 제도발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