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cident response

검색결과 607건 처리시간 0.025초

수질모형을 이용한 수질오염사고의 모의분석 (Simulation of Water Pollution Accident with Water Quality Model)

  • 최현구;박준형;한건연
    • 환경영향평가
    • /
    • 제23권3호
    • /
    • pp.177-186
    • /
    • 2014
  • Depending on the change of lifestyle and the improvement of people's living standards and rapid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of recent, demand for water is increasing rapidly. So emissions of domestic wastewater and various industrial waste water has increased, and water quality is worsening day by day.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a measure against the occurrence of water pollution accident, this study was tried to simulate water pollution accident. This study simulated 2008 Gimcheon phenol accident using 1,2-D model, and analyze scenario for prevent of water pollution accident. Consequently the developed 1-D model presents high reappearance when compared with 2-D model, and has been able to obtain results in a short simulation run tim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water pollution incident response prediction system and water quality analysis in the future.

물류센터 안전교육에 관한 연구 : 지게차 교육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afety Education of Logistics Center : Forklift Training Approach)

  • 김기홍;정병현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9-14
    • /
    • 2020
  • A forklift accident occurs in the logisitcs center. there are many kinds of accidents such as a casualty accident or a minor accident, etc. there are many other causes of accident, including poor visibility and habitual operational mistakes The result of the accident is the phenomenon of cutting, falling, scratching of the product. In the case of minor accidents, workers do not report accidents, so the occurrence of accidents is unknown. The customer receives the goods and then notifies them that they are defective product. After the product is returned, we can see that the forklift accident caused the problem of the product The result of the late response affects the image of the enterprise. In this study, we recognized the need for safety education to prevent accidents and found out which of the education items could raise awareness of safety. As result of the study, disinfection and forklift maneuverability regarding speed were mentioned as the most important items in education.

Effect of Spray System on Fission Product Distribution in Containment During a Severe Accident in a Two-Loop Pressurized Water Reactor

  • Dehjourian, Mehdi;Rahgoshay, Mohammad;Sayareh, Reza;Jahanfarnia, Gholamreza;Shirani, Amir Saied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8권4호
    • /
    • pp.975-981
    • /
    • 2016
  • The containment response during the first 24 hours of a low-pressure severe accident scenario in a nuclear power plant with a two-loop Westinghouse-type pressurized water reactor was simulated with the CONTAIN 2.0 computer code. The accident considered in this study is a large-break loss-of-coolant accident, which is not successfully mitigated by the action of safety systems. The analysis includes pressure and temperature responses, as well as investigation into the influence of spray on the retention of fission products and the prevention of hydrogen combustion in the containment.

현장 중심의 화학테러·사고 대응을 위한 피해 영향 범위 평가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Damage Impact Range Assessment for Field-Based Response Against Chemical Terrorism and Accidents)

  • 이덕재;송창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127-136
    • /
    • 2020
  • 화학물질을 이용한 화학테러·사고는 국내·외에서 지속해서 발생, 시도되는 추세이다. 국내의 경우, 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에서 CARIS(Ver. 2018)를 화학테러·사고 발생지역의 피해 영향 범위 평가 용도로 제공하여 현장 대응에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현행 CARIS는 실내, 지하 등과 같은 폐쇄된 공간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지 못하여 현장에서 요구하는 정밀한 피해 영향 범위 평가 결과를 제공하는데 어려우며 제공되는 정보도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CARIS(Ver. 2018)를 구동하여 획득한 피해 영향 범위 평가 결과와 국내·외 문헌 자료를 비교, 검토하여 제한사항과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지하, 실내 등 특수 지점, 지역에 대한 구동 모델 구축의 필요성과 현장 대응 요원 등 포함한 주민에게 제공되는 정보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CARIS의 보완과 수정에 있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이 반영된다면 더욱 진보된 화학테러·사고 현장 대응 역량 체계 구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국내 화학테러 초기대응체제의 발전방향 (한·미 화학테러 초기대응체제 비교를 중심으로) (The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Domestic Initial Response System for Chemical Terrorism)

  • 은종화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50-73
    • /
    • 2009
  • This paper is about the establishment of "Initial Response System." Initial response system is most important and should be treated urgently among all preparations for chemical terrorism. The objects of Initial response system are to protect civilians and the first responder who are exposed directly to chemical terrorism.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two main issues about Initial response system. One is to prepare immediate and exact information service system which assures the safety and survival of exposed people. The other is to build Scene Response System integrated with Command-Control Procedure for early finished situation. Compared to United States, overcoming the Chemical Terrorism requires to improve the contents of two categories: Counter Citizen Response part and Initial Scene Response part. For Counter citizen response part' s sake, the web-sites of Response leader agencies for searching information about chemical terrorism should be modified specifically. These web-sites have to be re-organized in detail. The existing Information service system which has been vaguely informed as "CBRNE Accident" needs to be divided as "CBRNE Accident" and "WMD terrorism." Further, each of them should be specialized in "Chemical', "Biological", and "Radiological" categories. There is a need to rearrange current Emergency Instruction for civilians against chemical terrorism in feasible way. At the same time, it should be applied consistently to all organizations through agreement between experts and related-organizations. For Initial Scene Response part's sake, "Initial scene response procedure (SOP)" and "Operational conception" should be produced through Simulated Exercises and workshops of all organizations related with initial response. These organizations have to cooperate with Ministry of Environment which is the main leader Agency as the center. Nex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technology and Scene Response Equipments, and to standardize the response equipments which consider the capability of First Responders for chemical terrorism. Especially, improving capability of equipments is required to overcome the vulnerability of Scene Response Equipments.

  • PDF

철도사고유형분류 및 표준화 방안 (The Classification of Railroad Accident Types and Its Standardization)

  • 임광균;김시곤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1D호
    • /
    • pp.133-14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철도안전관리를 위해 철도사고유형을 재분류하고 이를 표준화하기 위해 표준화된 코드(Code)를 제시하고 있다. 우선, 기존의 국내 외 철도사고유형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새로운 철도사고유형은 서로 중복되지 않게 9가지로 분류되었고 40개의 서로 다른 사고형태로 세분화 되었다. 이런 모든 형태는 9개의 사고대상과 6개의 사고위치와 연관된다. 따라서 새로운 철도사고유형을 표준화 하기위해 철도사고의 종류, 철도사고 형태, 철도사고 대상, 철도사고 위치의 4자리 코드 조합을 제시하였다. 또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철도사고DB를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표준코드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코드(Code)는 철도사고 예방, 대비, 대응, 복구로 이루어진 철도안전관리체계구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해양사고 온톨로지 구축 및 데이터 관리방안 연구: 서해남부해역 선박사고 상황보고서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Marine Accident Ontology Development and Data Management: Based on a Situation Report Analysis of Southwest Coast Marine Accidents in Korea)

  • 이영재;강성경;구자영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23-432
    • /
    • 2019
  • 매년 해양활동이 증가하며 해양사고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해양안전을 위한 각종 연구 활동과 정책이 실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매년 해양사고가 증가하고 있어 이들의 실효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문헌연구 결과에 따르면, 통계연보를 활용한 선행연구는 통계제공항목 간 비교를 통해 두드러지는 항목에 대한 예방책을 제시하고 있다. 2000년대 이후에는 대형 해양사고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면서 '사고대응'에 대한 사례연구(case study)가 진행되고 있다. 국내 해양안전을 위한 정책수립 연구과정에서 통계연보나 사고사례를 주 자료로 활용하고 있으나 현재 자료는 사후결과 요약정도의 수준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양사고 사례분석 및 개선방안 관련 문헌연구를 통해 현행 해양관련 연구와 정책의 한계를 탐색하였다. 또한 자료 활용 한계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선박사고 상황보고서 속성분석,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해양사고 정보 분류체계인 온톨로지(ontology)를 수정 보완하였다. 해당 항목은 '신고자, 신고수단, 구조세력, 대응 조치사항, 대응취약성, 적재물, 유류유출경위, 피해유형, 사고처리결과'이며, 이 항목들은 분류체계 표준용어를 활용해 향후 지속적으로 수집 활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온톨로지를 실질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 및 품질확보 방안을 제시했다. 결과적으로 현재 해양안전이 직면한 문제를 명확히 파악하고 '품질이 확보된 충분한 정보'를 활용한다면 보다 다양한 연구와 실효성 있는 정책 실현이 가능할 것이다.

화재 사고에 대비한 무인 경전철의 비상대응절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mergency Response Procedure of Unmanned Light Rail Transit (LRT) against Fire Accident)

  • 김연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2D호
    • /
    • pp.183-187
    • /
    • 2012
  • 본 논문은 최근 상업 운전을 시작한 무인 경전철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열차 화재사고 비상대응절차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기존 비상대응절차와 관련하여 무인 경전철이 갖는 하드웨어적, 소프트웨어적 특성을 분석하고, 특히 무인이 갖는 중요한 의미를 반영한 절차서를 제시하였다. 비상대응절차는 우선 비상대응계획의 목적 등에 부합해야하는데 이를 위해서 다음의 절차를 제시하였다. 첫째, 비상대응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별 비상대응체계 구축, 둘째, 비상대응직원 및 기관간의 신속한 대응조치를 위한 표준운영절차(SOP) 구축, 셋째 일상 상황에서 비상대응직원에 대한 비상대응훈련 등의 체계를 반영한 상세 항목이다. 아울러 향후 이러한 비상대응계획에 따라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직원을 대상으로 한 훈련프로그램이 제시되어야 한다.

The Accident at Tokyo Electric Power Company Incorporated's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Station: A Review of Radiation-Exposed Medical Care and Waste (Secondary Publication)

  • Toshioh Fujibuchi;Kazuki Iwaoka;Yoko Shimada;Kuniaki Nabatame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9권2호
    • /
    • pp.65-67
    • /
    • 2024
  • This review is based on articles published in Japanese Journal of Health Physics on "Radiation-exposed medical care and waste" related to Tokyo Electric Power Company Incorporated (TEPCO)'s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Station accident. Here, we have considered three original articles; one technical data, one special article, one 50th anniversary article, one preface, three topics, and two cases of From Japan to the World (J to W). These articles have reported the system and standards that were established after the accident. Moreover, they have summarized rare experiences such as the fumbling response at the time and the evaluation of samples in that disaster. These articles constitute valuable records of the situation.

유해화학물질 운송차량 사고 통계분석 및 사고대응 개선방안 (Improvement on Accident Statistic Analysis and Response of Hazardous Chemical Transport Vehicle)

  • Jeon, Byeong-han;Kim, Hyun-sub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59-64
    • /
    • 2018
  • 화학사고에 대한 경각심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동향 속에서 매년 꾸준히 발생하고 있는 유해화학물질 운송차량 사고의 추세 및 특성을 조사하고 향후 운송차량에 의한 사고예방 대응분야에서의 개선방향을 연구하였다. 2014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발생한 총 383건의 화학사고를 분석한 결과 운송차량 사고는 83건으로 전체 화학사고의 21.67%를 차지했다. 현행제도에서는 사업장과 다르게 위험물을 직접적으로 취급함에도 불구하고 피해예측에 대한 규제에서 벗어나 있으며 실제 사고 시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피해예측에 대한 정보가 있어야하고 각 관계부처와 이를 공유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유해화학 물질을 포함하는 위험물의 통합적인 컨트롤타워를 통한 운송차량 실시간 모니터링이 이뤄지는 방향으로 발전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