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cessibility Evaluation Items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초

광양항의 경쟁력 평가요인과 강화전략 (Evaluation Factor and Enhancement of Gwangyang International Port's Competitiveness)

  • 정봉현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9-142
    • /
    • 2014
  • 연구의 목적은 광양항을 사례로 항만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평가하고, 세부 평가요소의 우선순위에 따른 광양항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중요한 항만정책방향을 규명하는 데 있다. 논문에서는 의사결정기법인 AHP기법을 이용하여 항만입지, 항만운영관리, 항만비용, 항만시설, 배후지여건 등 5가지 주요 평가요인과 14가지 세부평가 요소에 대한 중요도를 파악하였다. 광양항의 항만경쟁력 평가를 위한 주요 평가요인의 중요도는 항만입지, 항만시설, 항만비용, 항만운영관리, 배후지여건 순으로 계산되었다. 세부 평가요소별 복합가중치를 이용한 종합중요도는 배후지역과 연결성, 국제항만과 접근성, 인센티브제도, 터미널의 시설용량. 항만운영인력의 전문성 숙련도, 등의 순서로 확인되었다. 광양항은 배후지와 연결성 및 국제항만과의 접근성을 강화하여 항만의 중심성과 중계성을 제고시겨 항만의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 항만물동량을 창출하기 위해서 다양한 인센티브 제공과 항만비용을 절감시켜 국제거점항만으로서의 경쟁력을 증진해야 한다. 초대형 컨테이너선이 원활하게 하역작업을 수행하도록 하역시스템의 첨단화 및 효율화방안이 강구되며, 항만운영인력의 전문성과 작업도 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방안들을 모색해야 한다. 연구의 결과는 관련 학계, 항만당국 및 항만공사 등에 광양항 발전전략에 대한 학술적이며 정책적인 시사점과 지식을 제공하고 있다. 대형항만의 경쟁력 평가에 필요한 이론의 형성, 간단한 분석방법의 틀을 제시하는 데도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의사결정기법을 이용한 농촌지역시설 적정입지선정 모델 - 농공단지를 중심으로 - (Optimum Allocation Modelling of Rural Facilities by Decision-Making Technique - With Special Reference to Agricultural-cum-Industrial Complex-)

  • 최수명;김영주;황한철
    • 농촌계획
    • /
    • 제4권1호
    • /
    • pp.98-107
    • /
    • 1998
  • For efficient development of rural facilities, choice of their optimum locations would be an important issue, however, existing research works concentrated much more an allocation policy of urban industrial complex and public facilities than rural ones. In this study, because agricultural-cum-industrial complex has been the most widely developed representative one of rural facilities, it was selected as a case study facility. As a pre-study to system development, existing governmental location-decision system was checked and interviewing survey carried out to find out on-spot problems. And, being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analysis results, 4-step optimum locational decision model was developed , formulation of locational goal system, ranking tabulation on components, determination of significance values of components, calculation of component scores. Finally, through the case study works on 3 sites, system applicability was checked, Considering together the simplicity problem of existing guidelines and the interviewing survey results favoring the diversified viewpoints,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multifaceted support system for locational decision making. 3-tier classification steps from the higher, middle to lower one were used and their underpinning viewpoints were sorted as on regional development, entrepreneurship, spatial rationality, from which a tentative locational goal system was formulated. Through the expert group checking, final locational goal system was determined having 3 of the higher classification items, 7 of the middle ones, 23 of the lower ogles. For ranking tabulation, 3 types of ranking criteria were arranged which were based on statistical analysis using mean and standard deviation(Type I ), its existence or not 1 good or not(Type E ), and the others(Type E ). From the significance evaluation results, regional development and entrepreneurship aspects were valued much higher than spatial rationality aspect. And, in the middle step, items as spread effects of regional economy, accessibility and social potentialities were highly valued while infrastructural development level and natural condition being low. The application results of the system to 3 case study total. However, the detailed ones differed among study the influencing effects on regional economy, and contrast greater the infrastructural development level. Conclusively, final evaluation values well re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rea. If this system be complemented and applied comprehensively by the successive studies, it would be developed to a general model of locational decision supporting system for rural facilities.

  • PDF

급성 뇌졸중 환자 대상 근거중심 간호 가이드라인 수용개작의 적용 평가 (Evaluation of Applications of Adaptation of the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Guidelines Patients with Acute Stroke)

  • 송소이;조명숙;김지현;한윤경;양혜민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7-97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nursing guidelines for patients with acute stroke, developed by adapting the guidelines of Registered Nurses Association of Ontario, Canada to clinical settings on a large scale and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as a research study. Metho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319 patients and the effectiveness of guideline application were evaluated in terms of structure, process, and outcome using questionnaires on the guidelines application with reference to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acute stroke hospitalized on a ward of the stroke center of S General Hospital in Seoul. Results: Structures as a guidance system for assessment were consistent with the recommendations. With respect to the process of the guidelines, for items on nursing assessment, improved performance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outcomes of the guidelines, complications occurred in 8 patients (5.3%) prior to application of the guidelines and 11 patients (6.5%) after application of the guidelines, but this resul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841).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guidelines, accessibility to the guidelines and effectiveness of quality improvement need to be evaluated, in addition to complications of a stroke.

국내외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실내 환경 관련 부문 비교분석 및 개선안 연구 (A Study on the Comparative Analysis and Improvement of Indoor Environmental Factor in Green Building Rating Systems)

  • 조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21-28
    • /
    • 2006
  • To promote environmentally responsible architectural practice, many nations have established their own green building rating system. Among other criteria, recently the indoor environmental quality section has been paid great attention due to Sick Building Syndrome, as this believed to caused by polluted indoor environment. In this context, indoor environmental quality is one of very important sections of each green building rating system and closely related to the very happiness of building users.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indoor environmental sections of three green building rating systems, GBCC, LEED v2.1, and BREEAM Office 2005, and find a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of GBCC. First, the three rating systems are analyzed in general to compare the importance of indoor environmental factors in each system. Second, the indoor environmental factors are reclassified within related sub-categories for the comparable analysis. Finally, based upon the comparable analysis,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of GBCC are as follows: 1. GBCC's h4r Environment Section needs to clarify its VOCs criteria based upon types of finish materials. 2. Sound Environment Section's noise control criteria needs to be revised based upon types of building usages and application method. 3. An indoor lighting related section needs to be included in GBCC, as even though light is th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indoor environment, it has not been included in GBCC yet. 4. The sub-section of Confortable Indoor Environment Section related to the resting space and the universal accessibility are not in accord with the goal of green building rating system. These items need to be dealt within general building codes. 5. The rating evaluation structure and process need to be streamlined.

고창 자연마당 조성사업 이용자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of Users of Gochang Jayeonmadang Project)

  • 홍진표;심윤진;성정원;이경철;권형근;윤희재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5권1호
    • /
    • pp.5-13
    • /
    • 2023
  • 본 연구는 고창 자연마당 조성 사업지를 대상으로 자연마당 이용자들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분석하여 향후 자연마당 조성사업 추진 시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항목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6개 분야 20개 항목을 중심으로 고창 자연마당 이용자들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결과, 전체 항목에 대한 중요도 평균이 만족도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즉 전반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한 만큼 만족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어 향후 항목별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고창 자연마당 이용자들은 '청결 및 위생'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토지이용 및 동선 분야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원(水源)의 수량(水量)', '습지 면적'과 같은 수환경의 양적 측면은 중요도가 낮게 나타났으나 질적 측면인 '수질'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도시민에게 생태휴식공간으로 제공하는 자연마당 조성사업의 취지를 고려해 본다면 '환경교육 프로그램 제공'과 '환경정보 제공' 항목이 중요하지만, 실제 이용자들은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만족도 분석 결과, '수질', '식생의 생육', '시설물의 관리' 항목이 높은 중요도와 낮은 만족도를 보여 신속히 개선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개 항목 모두 유지관리와 관련성이 있어 자연마당 조성 후 유지관리에 중점적으로 노력을 기울이는 것은 물론 이러한 항목들의 유지관리를 고려한 계획 및 설계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고창 자연마당의 이용자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청결 및 위생', '수질', '식생의 생육', '시설물의 관리' 등 유지관리를 계획 및 설계 단계부터 면밀히 반영해야 하며 조성사업 이후에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와 더불어 '접근성', '공간 배치 및 이용 효율성', '동선의 편리성' 등 이용자들의 이용 편의성을 높이는 데에도 중점을 기울려야 한다. 그리고 자연마당 조성사업을 비롯한 생태복원사업을 추진할 때 지역주민들에게 사업 목적 및 취지에 대한 적극적 홍보가 뒷받침되어 도시 내 생물다양성의 중요성에 대한 주민의 인식 증진도 같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는 자연마당 조성사업을 비롯하여 도시생태축 복원사업 등 다양한 생태복원 사업의 계획 및 설계, 시공, 유지관리 분야에 도입 및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가 고창 자연마당 조성사업에 한정하여 수행하였기 때문에 생태복원 사업으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연구 결과가 생태복원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 향후 다른 생태복원사업을 대상으로 중요도·만족도에 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중요도·성취도 분석을 통한 주민자치형 유아숲체험장 효용성 평가 - 서울시 금천구를 사례로 - (The Efficiency Evaluation of the Forest Experience Center for Children Led by the Local Community through an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 A Case in Geumcheon-gu District, Seoul, South Korea -)

  • 강태순;이명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40-55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숲유치원교육을 위한 체험형 운영방식으로서 주민자치형 유아숲체험장의 효용성을 조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2개소의 서울시 유아숲체험장 중 2014년 유일하게 주민자치운영을 한 금천구 유아숲체험장에 대하여 중요도 성취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필요한 설문자료는 총 36문항으로 공간 시설영역 20문항, 운영 프로그램영역 16문항(주민자치운영영역 6문항 포함)으로 구성하고, 설문조사는 2015년 1월 12일~19일 동안 실시되었다. 설문대상자는 2014년 본 연구대상지에서 숲교육을 담당했던 숲교육전문가 15명과 숲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19개 보육기관의 당시 인솔교사 50명으로서, 분석자료로 최종 사용된 응답지는 각각 13부, 43부이다. 연구결과, 먼저 공간 시설영역에 대한 중요도, 성취도 평균값은 각각 숲교육전문가가 4.07, 3.78로, 보육기관 교사가 4.16, 3.84로 나타났고, 운영 프로그램영역에 대한 중요도 성취도 평균값은 각각 숲교육전문가가 4.38, 4.16으로, 보육기관 교사가 4.44, 4.00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 공간 시설영역을 운영 프로그램영역보다 낮게, 중요도보다 성취도를 낮게 평가하였다. 두 집단 모두 중요도 성취도가 높아 '지속적인 노력 유지'가 필요한 것으로 평가된 항목들은, 공간 시설영역으로 '접근성', '안전성', '각 공간별 숲길로의 연결성', '개별자연물', '안전시설'의 5개 항목과 운영 프로그램영역으로 주민자치 운영을 통한 '숲교육전문가의 유아행동에 대한 유연성', '숲교육전문가의 진행전문성', 숲프로그램의 '흥미성, 다양성', '유연성', '숲교육전문가의 역할'의 5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숲체험활동의 지원'을 포함한 주민자치운영영역의 항목들은 대부분 '중요하다'라는 평가를 받았지만, '지역활성화 노력'을 포함한 몇 개의 항목들이 성취도측면에서 낮게 평가되었다. 그러나 중요도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만큼, 향후 '우선시정'이 된다면 성취도측면에서 높은 평가가 예상된다. 또한 중요도 성취도 모두 높게 평가된 '숲교육전문가의 역할'을 포함한 프로그램영역이 주민자치운영으로 인해 더 실행가능할 수 있었던 항목이었음을 고려해 보았을 때, 주민자치운영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주민자치에 의한 운영은 체험형 숲유치원교육을 위한 유아숲체험장의 운영방식으로서 그 효용성이 있으며, 앞으로 이러한 운영방식이 '지속적인 노력'과 '우선시정'을 할 수 있는 지속성을 갖출 때, 주민자치형 유아숲체험장은 효율적인 체험형 숲유치원교육을 위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