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of Users of Gochang Jayeonmadang Project

고창 자연마당 조성사업 이용자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 Jin Pyo Hong (Department of of Ecological Restoration, Woo Young Environment & Development Co., Ltd.) ;
  • Yun Jin Shim (Department of Crops and Forestry,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
  • Jung Won Sung (Department of Crops and Forestry,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
  • Kyeong Cheol Lee (Department of Crops and Forestry,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
  • Hyeong keun Kweon (Department of Crops and Forestry,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
  • Hui Jae Yun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Shingu College)
  • 홍진표 (우영환경개발(주) 생태복원본부) ;
  • 심윤진 (국립한국농수산대학교 작물산림학부) ;
  • 성정원 (국립한국농수산대학교 작물산림학부) ;
  • 이경철 (국립한국농수산대학교 작물산림학부) ;
  • 권형근 (국립한국농수산대학교 작물산림학부) ;
  • 윤희재 (신구대학교 환경조경과)
  • Received : 2023.01.03
  • Accepted : 2023.02.08
  • Published : 2023.03.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item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increase user satisfaction in the Jayeonmadang project by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targeting Gochang Jayeonmadang users.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Gochang Jayeonmadang users focusing on 20 items in 6 fields, Overall, it was analyzed that they were not satisfied as they were important. In order to increase user satisfaction of Gochang Jayeonmadang, maintenance such as 'cleanliness and hygiene', 'water quality', 'vegetation growth', and 'facility management' should be carefully reflected from the planning and design stage, and careful attention should be paid even after the project. In addition,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enhancing the user convenience, such as 'accessibility', 'space layout and utilization efficiency', and 'convenience of route'. And, when promoting the Jayeonmadang project, the purpose of the project should be actively promoted to local residents to raise the resident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biodiversity in the city.

본 연구는 고창 자연마당 조성 사업지를 대상으로 자연마당 이용자들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분석하여 향후 자연마당 조성사업 추진 시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항목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6개 분야 20개 항목을 중심으로 고창 자연마당 이용자들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결과, 전체 항목에 대한 중요도 평균이 만족도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즉 전반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한 만큼 만족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어 향후 항목별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고창 자연마당 이용자들은 '청결 및 위생'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토지이용 및 동선 분야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원(水源)의 수량(水量)', '습지 면적'과 같은 수환경의 양적 측면은 중요도가 낮게 나타났으나 질적 측면인 '수질'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도시민에게 생태휴식공간으로 제공하는 자연마당 조성사업의 취지를 고려해 본다면 '환경교육 프로그램 제공'과 '환경정보 제공' 항목이 중요하지만, 실제 이용자들은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만족도 분석 결과, '수질', '식생의 생육', '시설물의 관리' 항목이 높은 중요도와 낮은 만족도를 보여 신속히 개선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개 항목 모두 유지관리와 관련성이 있어 자연마당 조성 후 유지관리에 중점적으로 노력을 기울이는 것은 물론 이러한 항목들의 유지관리를 고려한 계획 및 설계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고창 자연마당의 이용자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청결 및 위생', '수질', '식생의 생육', '시설물의 관리' 등 유지관리를 계획 및 설계 단계부터 면밀히 반영해야 하며 조성사업 이후에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와 더불어 '접근성', '공간 배치 및 이용 효율성', '동선의 편리성' 등 이용자들의 이용 편의성을 높이는 데에도 중점을 기울려야 한다. 그리고 자연마당 조성사업을 비롯한 생태복원사업을 추진할 때 지역주민들에게 사업 목적 및 취지에 대한 적극적 홍보가 뒷받침되어 도시 내 생물다양성의 중요성에 대한 주민의 인식 증진도 같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는 자연마당 조성사업을 비롯하여 도시생태축 복원사업 등 다양한 생태복원 사업의 계획 및 설계, 시공, 유지관리 분야에 도입 및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가 고창 자연마당 조성사업에 한정하여 수행하였기 때문에 생태복원 사업으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연구 결과가 생태복원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 향후 다른 생태복원사업을 대상으로 중요도·만족도에 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 결과물은 환경부의 재원으로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도시생태 건강성 증진 기술개발사업 (No. 2019002770001)"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습니다.

References

  1. An BC and Kwon JW. 2018. Importance and Satisfaction Analysis for Vitalization of River Estuary: Focused on the Nakdong Estuary. J. KILA. 46(6): 49-59.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https://doi.org/10.9715/KILA.2018.46.6.049
  2. Choi BK, Suh YK, Kim Y. 2009. The IPA on the Jeju Stone Park as a Cultural Tourist Resource. Research Institute for the Tamla Culture 34: 257-280.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https://doi.org/10.35221/tamla.2009..34.007
  3. Gochang-gun. 2017. A Report on the Working Design of Gochang Jayeon Madang Development Project. (in Korean) 
  4. Ham EK, Song KW, Chon JH, Cho DG. 2015. Design Strategies for Ecological Restoration Using System Dynamics: Focused on 2015 Miryang-si Jayeon Madang Development Project. J. KILA. 43(6): 86-97.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https://doi.org/10.9715/KILA.2015.43.6.086
  5. Hong JP, Shim YJ, Kang PG, Choi YJ, Eo YJ, Seo KW. 2021. Classifying Quality Attributes of Public Services in Gochang Jayeonmadang using Kano Model. J. Korean Env. Res. Tech. 24(4):47-60.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6. Kang TS and Jeong MS. 2019.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of Meditation Forest in Schools: Focusing on Middle Schools in Gwang-Ju City. J. KILA. 47(4): 68-80.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https://doi.org/10.9715/KILA.2019.47.4.068
  7. Kim HJ and Hyun SH. 2015. The Study on the Service Quality of Airport Restaurant Through Kano Model and Timko's Customer Satisfaction Coefficient.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18(2): 7-26.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8. Kim JS, Oh DK, Kim SB. 2010. Visitors' Evaluation of Trail in the Hanbat Arboretum: a case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Jour. Korean For. Soc. 99(3): 404-41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9. Kim S. 2010. The Study of Performance Measurement in Eco-cities: Focusing on Environmental Performance Index(EPI). Master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0. Lee DK and Kim BM. 2010. Important-Satisfaction Analysis as a Management Strategy of Suncheon Bay Ecological Park. J. KILA. 37(6): 39-47.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1. Lee J and Kim SR. 2014. A Study on the Attraction Factors of Eco-city using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The Case of Suncheon City. J. KILA. 42(2): 52-64.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https://doi.org/10.9715/KILA.2014.42.2.052
  12. Martilla JA and James JC. 1977.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41: 77-79.  https://doi.org/10.2307/1250495
  13. Tonge J and Moore SA. 2007.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for marine-park hinderlands: A western Australian case study. Tourism Management 28(3): 768-776. https://doi.org/10.1016/j.tourman.2006.05.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