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ceptor

검색결과 894건 처리시간 0.056초

Fructosyloligosaccharide를 Acceptor 반응의 기질로 사용한 새로운 올리고당의 생합성 (Biosynthesis of New Oligosaccharides via Acceptor Reaction using Fructosyloligosaccharide as an Acceptor)

  • 이찬용;이충환
    • 미생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46-152
    • /
    • 1999
  • 충치 원인균의 일종인 Streptococcus sobrinus ATCC27351 균주를 자외선 조사와 NTG 처리에 의하여 bacitracin 내성변이주를 얻었다. 선발된 변이주들 중 glucosyltransferase 활성이 모균주보다 증가된 변이주 4균주를 선발하였다. 이들의 bacitracin 내성은 모균주 보다 5~48배, glucosyltransferase 활성은 약 2배 증가하였다. 모균주의 glucosyltransferase를 이용하여 maltose acceptor 반응을 하여 \ulcorner 와 image analysis 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sucrose 와 acceptor를 사용하여 반응을 시킨 결과 모균주와 변이주의 glucose 전이효소 사이에는 acceptor 특이성에 차이가 있었다. 모균주의 효소와는 반응하지 않는 acceptor 인 fructose를 함유하는 1-kestose와 nystose 그리고 turanose를 acceptor 로 하여 변이주 S. sobrinus BR24C 균주의 glucosyltransferase와 반응을 시켰다. 얻어진 acceptor 산물을 정제하여 \sup 1\H, \sup 13\C-NMR 분석을 한 결과, 자연계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새로운 구조의 올리고당 \6^{3}$-$\alpha$-D-glucopyranosyl \3^{2}$-O-$\alpha$-D-glucopyranosyl-D-fructose와 \6^{4}$-$\alpha$-D-glucopyranosyl \1^{3}$-$\beta$-D-fructofuranosyl sucrose을 확인하였다.

  • PDF

A Novel Donor-Acceptor-Acceptor-Acceptor Polymer Containing Benzodithiophene and Benzimidazole-Benzothiadiazole-Benzimidazole for PSCs

  • Tamilavan, Vellaiappillai;Song, Myungkwan;Agneeswari, Rajalingam;Kim, Sangjun;Hyun, Myung H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5권4호
    • /
    • pp.1098-1104
    • /
    • 2014
  • New electron deficient acceptor-acceptor-acceptor type of monomer unit composed of weak electron accepting benzimidazole and relatively strong electron accepting benzothiadiazole derivatives namely 4,7-bis(6-bromo-1-(2-ethylhexyl)-1H-benzo[d]imidazol-2-yl)benzo[c][1,2,5]thiadiazole (BBB) was synthesized. The Stille polycondensation of the newly synthesized BBB monomer with electron donating 2,6-bis(trimethyltin)-4,8-bis(2-ethylhexyloxy)benzo[1,2-b:4,5-b']dithiophene (BDT) afforded donor-acceptor-acceptor-acceptor type of polymer namely 2,6-(4,8-bis(2-ethylhexyloxy)benzo[1,2-b:4,5-b']dithiophene)-alt-4,7-bis(1-(2-ethylhexyl)-1H-benzo[d]imidazol-2-yl)benzo[c][1,2,5]thiadiazole (PBDTBBB). The opto-electrical studies revealed that the absorption band of PBDTBBB appeared in the range of 300 nm-525 nm and its 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HOMO) and 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 (LUMO) energy levels were positioned at -5.18 eV and -2.84 eV, respectively. The power conversion efficiency (PCE) of the polymer solar cell (PSC) prepared from PBDTBBB:PC71BM (1:2 wt %) blend was 1.90%.

Electron Donor와 Electron Acceptor의 농도가 사염화탄소의 생물분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ctron Donor and Electron Acceptor on Biodegradation of $CCl_4$)

  • 배우근
    • 한국환경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독성학회 1991년도 춘계학술대회 학술대회 프로그램
    • /
    • pp.8-12
    • /
    • 1991
  • 탈질 박테리아를 이용한 사염화탄소의 분해 실험에서 electron donor의 공급이 중단되면 사염화탄소의 제거율이 낮아지고, 반면 electron acceptor의 주입이 중단되면 제거율이 높아졌다. 사염화탄소의 제거시 클로로폼이 생산되어 사염화탄소가 환원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 결과는 사염화탄소가 일종의 electron acceptor로 작용하면서 전자를 얻기 위해 세포 내의 다른 electron acceptor와 경쟁한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 호기성 박테리아에 의해서도 실험조건하에서 상당량(25∼30%)의 사염화탄소가 제거되었다. Electron acceptor의 공급중단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사염화탄소의 제거와 함께 클로로폼이 형성되므로써 사염화탄소의 환원분해가 호기성 상태에서도 진행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 PDF

Glucansucrases를 이용한 새로운 올리고당의 합성 (Enzymatic Synthesis of New Oligosaccharides Using Glucansucrases.)

  • 백진숙;김도만;이진하;장판식;한남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79-186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dextransucrase hyper-producing Leuconostoc mesenteroides B-512FMCM과 dextransucrase constitutive mutants인 B-742CB 및 B-1355C에서 얻은 dextransucrase 및 alternansucrase를 이용하여 maltose, lactose, gentiobios 및 raffinose의 수용체반응을 수행하였다. B-512FMCM의 경우 수용체로서 maltose와 gentiobiose는 설탕에 대한 농도비가 1/1이하일 때 수용체에 ${alpha}$l-6으로 D-glucose가 결합한 일련의 올리고당을 생성하였고, 9/1이상에서는 단 두 가지의 수용체산물로서 maltose의 경우에는 panose와 isomaltosyl maltose를, gentiobiose의 경우에는 6$^2$-${alpha}$-D-glucopyranosyl gentiobiose와 isomaltosyl gentiobiose만을 생성하였다. 그러나 lactose는 유일한 산물인 2$^1$-${alpha}$-D-glycopyranosyl lactose만을 생성하였다. 효소양의 변화에 대해서 maltose와 gentiobiose의 수용체반응에서 생성된 수용체산물(올리고당)의 수와 양은 효소양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lactose의 경우에는 효소양의 증가에 대해 수용체산물 양의 변화가 크지 않았다. B-742CB dextransucrase와 B-1355C alternansucrase를 사용하면 B-512FMCM dextransucrase에서는 단 한가지만의 수용체산물을 생산하였던 lactose와 raffinose를 수용체로 하여 여러 가지의 수용체산물(올리고당)을 생산하였다.

  • PDF

Impact of Cyano and Fluorine Group Functionalization on the Optoelectronic and Photovoltaic Properties of Donor-Acceptor-π-Acceptor Benzothiadiazole Derived Small Molecules: A DFT and TD-DFT Study

  • Prabhat Gautam;Anurag Gautam;Neeraj Kumar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236-241
    • /
    • 2023
  • Solar cells based on p-conjugated donor-acceptor (D-A) organic molecular systems are a promising alternative to conventional electrical energy generation. D-A molecular systems, which have a triphenylamine (TPA) moiety linked with a benzothiadiazole (BTD) moiety, open the potential development of new small molecule donors for bulk heterojunction (BHJ) solar cells. Here, a series of donor-acceptor-π-acceptor (D-A-π-A) small molecule donors (SMD) derived from triphenylamine (TPA) donor and benzothiadiazole (BTD) acceptor building blocks, were designed for BHJ organic solar cells. The small molecule donors SMD1-4 were studied using density functional theory (DFT) and time dependent-DFT (TDDFT) method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cyano and fluorine group functionalization on their properties. The effect of structure alteration by cyano and fluorine group functionalization on the optoelectronic properties, the calculated 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s (HOMOs) and 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s (LUMOs) and the HOMO-LUMO gaps were theoretically explored. The Voc (open-circuit photovoltage) and fill factor (FF) for SMD1-4 were obtained with a PC71BM acceptor, which showed that these organic small molecules are potential small molecule donors for organic bulk heterojunction solar cells.

Ca와 Nb가 첨가된 $BaTiO_3$의 결함화학 (Defect Chemistry of Ca and Nb doped $BaTiO_3$)

  • 정재호;한영호;박순자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4권7호
    • /
    • pp.798-807
    • /
    • 1994
  • $BaTio_{3}$에 Ca가 첨가되면 상온 저항을 증가시키며 이는 $Ca^{2+}$$Ti^{4+}$를 치환하여 acceptor 불순물을 형성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Ca^{2+}$$Ti^{4+}$보다 이온 반경이 크므로 그 자리를 치환하지 않는다는 주장도 있다. 본 실험에서는 $BaTiO_{3}$에 의한 acceptor가 존재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Ba/(Ti+Ca+Nb)=1이 되도록 Ca와 Nb를 첨가하여 산소 분압의 변화에 따른 고온 평형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1000^{\circ}C$에서 행하였으며 산소 분압은 $10^{-15}$ ~ 1 기압의 범위에서 조절하였다. 첨가된 Ca와 Nb의 농도를 변화시킨 결과, acceptor와 donor의 상호 보상 효과가 나타났다. 즉, Nb에 의한 donor를 보상하는 acceptor가 존재함을 확일하였고, 전도도 곡선의 결함 화학적인 해석에 의하여 Ca가 Ti자리를 치환함을 알았다. 이러한 acceptor의 존재는 ICTS에 의해서도 확인되었다.

  • PDF

Synthesis of Merocyanines Analogues Based on the Pyrazolin-5-one System

  • Park, Soo-Youl;Oh, Sea-Wha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4권5호
    • /
    • pp.569-572
    • /
    • 2003
  • The majority of dyes belong to the chromophoric class known as donor-acceptor systems. The essential structural feature of such systems is the presence of one or more electron donating groups conjugated to one or more electron withdrawing groups via an unsaturated bridge. The pyrazolin-5-one system is an effective electron acceptor residue, and can also act as a weak electron donor. In our experiments, the various symmetrical and unsymmetrical H-chromophores were synthesized in the indoxyl, imidazo[1,2-a]pyridin-2-one, pyrazolin-5-one, and pyridin-2,6-dione residues, resulting in cross-conjugated donor-acceptor systems. And the visible light absorption was then associated with the migration of electron density from the donor region of the molecule to the acceptor region. Also, it was useful to prepare related non-cross-conjugated donor acceptor chromophores by combining these residues with other electron donor or acceptor moieties. For convenience such chromophores are referred to as merocyanines.

Electron Donor 및 Electron Acceptor의 농도가 생물활성대형성 및 유해폐기물 처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ctron Acceptor and Electron Donor on Biodegradation of $CCl_4$by Biofilms)

  • Bae, Woo-Keun;Bruce E. Rittmann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6권3_4호
    • /
    • pp.149-154
    • /
    • 1991
  • Biodegradation of carbon tetrachloride (CTC) in denitrifying and aerobic columns was investigated under various conditions of electron-acceptor and electron-donor availability. CTC removal increased when the electron-acceptor (nitrate) injection was stopped in the denitrifying column; however, CTC remova1 decreased when electron donor (acetate) was deleted in the denitrifying and the aerobic column. Small fractions of the CTC removed appeared as chloroform, indicating that reductive dechlorination of CTC was occurring. The results from the denitrifying column support the hypothesis that CTC behaves as an electron acceptor that competes for the pool of available electrons inside the bacterial cells.

  • PDF

유기금속 화학증착법을 사용한 AIGAInP층의 Zn 도우핑 농도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Zn Doping in AIGaInP Epitaxy Layer Grown by MOCVD)

  • 윤기현;김남헌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6권9호
    • /
    • pp.950-958
    • /
    • 1996
  • 저압 유기금속 화학증착법을 사용하여 AIGaInP층의 diethylzinc의 III족 원소(AO, Ga, In)에 대한 비와 성장온도 변화에 따른 Zn(acceptor)의 첨가 농도특성을 연구하였다. Diethylzinc의 III족 원소(AI, Ga, In)비를 0.4에서 2.0까지 변화시켜 본 결과 0.85일 때 가장 높은 acceptor 농도를 가졌으며, 성장온도를 69$0^{\circ}C$에서 80$0^{\circ}C$까지 변화시킨 결과 성장온도에 대한 변화는 69$0^{\circ}C$-73$0^{\circ}C$일 때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acceptor농도는 커졌으며, 그 이상에서는 감소하였다. 또한, 성장속도가 빠를수록 높은 acceptor 농도를 가지게 되어 3.3$\mu\textrm{m}$/hr의 성장속도일 때 8x1017/㎤의 가장 높은 acceptor 농도를 얻을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