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ceptability analysis

검색결과 617건 처리시간 0.029초

미나리 분말을 첨가한 청국장의 발효 및 품질특성 (Ferment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with Addition of Dropwort (Oenanthe javanica D.C.) Powder)

  • 이신호;김진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7호
    • /
    • pp.1133-1138
    • /
    • 2013
  • 미나리 유통과정중 생성되는 부산물의 활용방안과 청국장의 품질 및 기호성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청국장의 제조시 전처리 방법을 달리한 미나리 분말 첨가에 따른 발효 및 품질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발효균주로 사용한 Bacillus subtilis RS-9은 볏짚으로부터 분리된 30 균주 중 대두 분해력, 단백 분해력, 전분 분해력, 항균활성이 가장 우수한 균주를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동정한 후 사용하였다. 전처리 방법을 달리한 미나리 분말을 0.5%, 1%로 혼합하여 제조한 청국장의 발효 및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 미나리 분말 혼합 청국장의 pH는 발효 전 기간 동안 대조구보다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첨가 미나리의 전처리 방법에 따라서는 뚜렷한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청국장의 발효 후 총균수는 8.70~8.88 log CFU/mL이었으며, 발효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였다. 미나리 혼합 청국장의 아미노태 질소와 점질물 함량은 발효 전 기간 동안 대조구보다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발효후 모든 군이 증가하였으며, 스팀처리 미나리 첨가구가 $590.24{\mu}g/mL$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소거능은 대조구에 비해 뚜렷이 높았으며, 발효 후 모든 처리구에서 활성이 증가하였고 스팀처리 미나리 첨가구가 82.16%로 가장 우수하였다. 관능검사 결과는 생미나리 분말 0.5% 첨가군이 맛과 종합적 기호도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구연산을 첨가한 오디 설기떡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lberry Fruit Seolgidduk Added with Citric Acid)

  • 홍정희;안상희;김미지;박금순;최상원;이순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777-782
    • /
    • 2003
  • 본 연구는 안토시아닌 색소를 비롯한 여러 가지 생리활성 성분을 지니고 있는 오디 설기떡의 품질특성을 관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오디 설기떡의 최적 농도 조건 선정을 위해 수 차례 예비 실험한 결과 오디 4% 첨가군이 가장 좋게 평가되었으나, 오디 특유의 새콤한 맛과 향 및 암회색의 색상을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오디 설기떡의 기호도를 높이고자 식품의 맛과 향 유지에 탁월한 효과를 내는 구연산 함량을 달리하여 특성을 관찰한 결과 구연산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가 감소하였으며(p<0.01), 산도는 증가되었다(p<0.001). 수분함량은 실험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색도는 L값의 경우 대조군과 구연산 첨가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구연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 및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구연산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p<0.001). 견고성은 구연산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01), 응집성과 탄력성은 대조군과 0.1% 구연산 첨가군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씹힘성과 깨짐성은 대조군이 각각 제일 크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실험결과 떡의 색상에 대한 기호도는 구연산의 첨가비율이 많아질수록 기호도 도 증가되었다. 맛, 씹힘성 및 전반적인 기호도에 대한 평가는 구연산 0.01%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p<0.001). 이와 같은 실험 결과로 안토시아닌을 비롯한 여러 가지 특수성분을 지니고 있는 오디 설기떡의 맛과 향 유지에 탁월한 효과를 내는 구연산을 첨가함으로써 떡의 대중화에 이바지 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Effect of the Duck Skin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Duck Hams

  • Kim, Dong-Hyun;Kim, Tae-Kyung;Kim, Young-Boong;Sung, Jung-Min;Jang, YoungJin;Shim, Jae-Yun;Han, Sung-Gu;Choi, Yun-Sa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60-367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uck skin on cooking loss, emulsion stability, pH, color, protein solubility, texture profile analysis (TPA), apparent viscos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ress type duck ham with different ratio of duck breast meat and duck skin. Five duck ham formulations were produced with the following compositions: T1 (duck breast 70% + duck skin 30%), T2 (duck breast 60% + duck skin 40%), T3 (duck breast 50% + duck skin 50%), T4 (duck breast 40% + duck skin 60%), and T5 (duck breast 30% + duck skin 70%). The cooking loss and fat separation were lower in T1, and the total expressible fluid separations were lower in T1 and T2 than others. The pH ranged from 6.48 to 6.59, with the highest values in T4 and T5. T5 had the highest CIE $L^*$-value, and T1 and T2 had the highest CIE $a^*$-values; however, CIE $b^*$-value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duck ham samples. The protein solubility and TPA (hardness, springiness, cohesiveness, gumminess, and chewiness) were the highest in T1. T1 and T2 had higher scores for color, tender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T1, T2, and T3 showed significantly higher value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r flavor and juiciness. Regarding apparent viscosity properties, T1 and T2 had higher viscosity values than the other formulations. In conclusion, the T1 (duck breast 70% + duck skin 30%) and T2 (duck breast 60% + duck skin 40%) duck hams show the highest quality characteristics.

클로렐라를 첨가한 식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 Added with Chlorella powder)

  • 정창호;조현제;심기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65-471
    • /
    • 2006
  • 클로렐라를 새로운 기능성 식품의 재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클로렐라 분말의 화학성분 분석 및 클로렐라 분말을 첨가한 식빵을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클로렐라의 화학성분을 분석한 결과 단백질이 61.45%로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조섬유, 가용성 무질소물 및 회분순으로 나타났다. 무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주된 무기성분은 P, K Ca 및 Na로 나타났으며, 그 중 P이 1,478.94 mg%로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났다. 유리당을 분석한 결과 클로렐라에는 sucrose, glucose, fructose 및 maltose 등 총 4종류의 유리당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그 중 maltose가 0.1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 총 17종의 아미노산이 분리, 동정되었으며, 총 아미노산은 37,425.11 mg%로 나타났고, 그 중 aspartic acid, glutamic acid, proline, methionine 및 histidine이 주요 아미노산으로 나타났으며, glutamic acid가 4,009.20 mg%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불포화지방산이 전체지방산의 68.87%를 차지하였으며, 그 중 linoleic acid가 34.2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클로렐라를 첨가하여 제조한 반죽을 발효시간 경과에 따른 부피 변화를 측정한 결과 발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반죽의 부피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대조구와 비교하여 클로렐라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부피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식빵의 crust와 crumb의 색도는 클로렐라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밝기를 나타내는 L값과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crust와 crumb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의 경우 crust는 감소하였고, crumb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클로렐라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조직감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클로렐라 분말을 0.2% 첨가한 시료에서 가장 좋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국내산 고추를 이용한 고추 케찹 개발 및 관능적 특성 평가 (Development of Value-added Ketchup Products with Korean Chile Peppers(Capsicum annuum L.) and Their Sensory Evaluation)

  • 이슬;유경미;송순란;박재복;황인경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16
    • /
    • 2012
  • 국내산 고추를 이용하여 미국인의 입맛에 맞는 고부가가치 액상 소스를 개발하기 위해 고추 케찹을 제조하였다. 국내산 고추 케찹은 토마토 페이스트(37.5%), 설탕(14.8%), 식초(14.1%), 고추 퓨레와 고춧가루(14.1%)를 주성분으로 하였고, 그 외 허브류, 올리고당, 매실엑기스, 청주, 레몬즙 등을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고추 케찹의 이화학적 성분 분석 결과, 수분함량 $59.61{\pm}0.28%$, 조단백 함량 $2.18{\pm}0.11%$, 조지방 함량 $1.99{\pm}0.04%$, 조회분 함량 $9.26{\pm}0.13%$, 조탄수화물 함량 $26.97{\pm}0.48%$, 환원당 함량 $35.19{\pm}0.97%$, 염도 $3.04{\pm}0.04%$, 산도 $2.22{\pm}0.01%$, pH $3.7{\pm}0.01$, 당도 $36.3{\pm}0.14\;^{\circ}brix$로 미국산 경쟁 제품보다 조탄수화물, 환원당 함량은 높았고, 회분함량, 산도, 염도는 낮았다.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관능검사 결과, 국내산 고추 케찹은 미국의 유명 케찹 회사의 제품보다 단맛과 짠맛이 약하고, 매운맛은 비슷하다고 평가되었다. 기호도 조사에서는 국내산 고추 케찹이 미국 고추 케찹보다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고추 케찹은 외국인의 입맛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해외 시장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국내산 고추의 새로운 가공식품으로 서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버크셔의 성별이 돈육의 관능 평가, 지방산 및 아미노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ender on Sensory Scores, Fatty Acid and Amino Acid of Berkshire Pork)

  • 하경희;진상근;김일석;정현정;김동훈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26-430
    • /
    • 2006
  • 본 연구는 버크셔종의 성별에 따른 육질 특성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으며, 60 kg의 Berkshire 40두를 2 돈방에 암퇘지와 거세돼지 각각 20두씩 배치하여 출하 시(약 110 kg)까지 비육한 후 도축하여 실험에 공시하였다. 신선육 관능검사에서 암퇘지보다 거세 돼지가 육색, 마블링 점수가 높아 전체적인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가열육 관능검사에서도 암퇘지보다 거세 돼지가 육색, 향 및 기호성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p<0.05). 지방산 조성 중 linoleic acid와 arachidonic acid는 암퇘지보다 거세 돼지가 낮아(p<0.05) 필수 지방산과 다가 불포화 지방산도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전체적으로 성별에 따른 지방산 조성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아미노산 조성은 암퇘지보다 거세 돼지가 감미계인 alanine, 방향족인 tyrosine, 필수 아미노산인 arginine은 높게 나타났고, proline과 감미계이자 필수 아미노산인 threonine, 필수아미노산인 histidine은 낮게 나타나(p<0.05) 전체적으로 암퇘지보다 거세 돼지의 풍미가 낮은 경향이었으나 glutamic acid, 감미계, 황함유, 방향족 및 필수 아미노산 각각의 총 함량은 성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GFRP 보강 철근 폴리머 콘크리트 T형 보의 휨 특성 (Flexural Characteristics of Reinforced Polymer Concrete T-Beams Strengthened with GFRP)

  • 김남길;황해근;연정흠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4권5호
    • /
    • pp.585-596
    • /
    • 2012
  • 이 연구는 교량이나 주차장 건물 등에 적용이 가능한 GFRP 보강 철근 폴리머 콘크리트 T형 보의 휨 특성에 관한 연구로서 GFRP 보강 수준에 따른 압축파괴(compression failure: CF), 인장파괴(tension failure: TF) 및 GFRP 보강재의 파괴(fiber sheet failure: FF) 등 파괴모드의 판단과 결정방법을 제시하고, 파괴모드별 설계휨강도 산정식을 제시하였다. GFRP 보강 철근콘크리트 보에서는 FF, TF, CF 등 3가지 파괴모드 중에서 철근항복 ${\rightarrow}$ GFRP 파단 ${\rightarrow}$ 압축측 콘크리트 파괴의 순으로 진행되는 FF 파괴모드가 가장 이상적이다. FF 파괴모드의 경우 압축측 폴리머 콘크리트가 극한변형률(${\varepsilon}_{cu}$)에 도달하기 전에 GFRP가 먼저 파단되므로 콘크리트의 극한상태를 기반으로 하는 기존의 등가직사각형 응력블럭의 개념을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폴리머 콘크리트의 특성에 부합되는 이상화된 폴리머 콘크리트의 압축응력-변형률 곡선을 제안하고, 폴리머 콘크리트의 변형률을 기반으로 하여 응력블럭 매개변수 ${\alpha}$, ${\beta}$를 도출하였다. 또한 T형 보의 형상비에 따른의 압축응력 분포 및 설계휨강도 특성을 규명하고 적정한 형상비를 2.5로 제시하였으며, GFRP 보강재의 두께 및 높이에 따른 설계휨강도 산정식을 제시하고 그 식의 적정성을 실험과 이론해석에 의해 입증하였다.

Teff (Eragrostis tef) 분말을 이용한 Gluten-free 식빵의 품질 특성에 잔탄검과 구아검이 미치는 영향 (Effects of Xanthan Gum and Guar Gum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luten-free Bread using Teff (Eragrostis tef) Flour)

  • 정기영;송가영;오현빈;신소연;김영순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47-157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ensory properties of gluten-free bread using teff flour and various gums. The five samples used in this study were control (wheat flour), T (teff flour), TG (teff flour, guar gum), TX (teff flour, xanthan gum), and TGX (teff flour, guar gum, xanthan gum). Baking loss, moisture content, pH, salinity, brix, dough expansion, color value, texture property, and sensory property were measured for each sample. As a result, pH was the highest in TX at 6.11 and the lowest in the control at 5.77. Salinity was the highest in the control at 0.80% and lowest in TG at 0.04%. Brix was the lowest in TX at $1.10^{\circ}Bx$. While moisture content was the highest in the control at 43.58%, gluten-free breads using teff flour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 Baking loss rate of bread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amples (p<0.05). Dough expansion rate by fermentation was the highest in the control at 108.89% and the lowest in T at 17.84%. L-value of crust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 For L-value of crumb, the control was the highest at 64.34 and T was the lowest at 33.84. In texture properties analysis, hardness was the highest in TGX at 16.00 N and the lowest in the control at 2.87 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pringiness (p<0.05). Chewiness was the highest in TX and TGX. The result of sensory properties was that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lor, salty taste,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ftness and sweetness (p<0.05). These results showed that use of teff flour and gums rather than using only teff flour for bread manufacturing can improve quality characteristics in dough expansion and texture properties. It is considered that xanthan gum or guar gum are appropriate on bread using teff for quality characteristics.

Effects of Feeding Purple Rice (Oryza sativa L. Var. Glutinosa) on the Quality of Pork and Pork Products

  • Jaturasitha, Sanchai;Ratanapradit, Punnares;Piawong, Witapong;Kreuzer, Michae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4호
    • /
    • pp.555-563
    • /
    • 2016
  • Purple rice is a strain of glutaneous rice rich in anthocyanins and ${\gamma}$-oryzanol. Both types of compounds are involved in antioxidant and lipid metabolism of mammals. Three experimental diet types were used which consisted approximately by half either of purple rice, white rice or corn. Diets were fed to $3{\times}10$ pigs growing from about 30 to 100 kg. Meat samples were investigated either as raw or cured loin chops or as smoked bacon produced from the belly. Various physicochemical traits were assessed and data were evaluated by analysis of variance. Traits describing water-holding capacity (drip, thaw, and cooking losses) and tenderness (sensory grading, shear force) of the meat were mostly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diet type. However, purple rice feeding of pigs resulted in lower fat and cholesterol contents of loin and smoked bacon compared to white rice, but not compared to corn feeding except of the fat content of the loin. The shelf life of the raw loin chops was improved by purple rice as well. In detail, the occurrence of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after 9 days of chilled storage was three to four times higher in the white rice and corn diets than with purple rice. The n-6:n-3 ratio in the raw loin chops was 9:1 with purple rice and clearly higher with 12:1 with the other diets, meat lipids. Level and kind of effect of purple rice found in raw meat was not always recovered in the cured loin chops and the smoked bacon. Still the impression of flavor and color, as well as overall acceptability were best in the smoked bacon from the purple-rice fed pigs, whereas this effect did not occur in the cured loin chop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urple rice has a certain, useful, bioactivity in pigs concerning meat quality, but some of these effects are of low practical relevance. Further studies have to show ways how transiency and low recovery in meat products of some of the effects can be counteracted.

고추장 재료와 종균 첨가에 따른 고추장의 품질 변화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Gochujang Prepared with Different Ingredients and Meju Starters)

  • 박의성;허주희;주재현;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880-888
    • /
    • 2016
  • 고추장 재료(잡곡, 죽염)와 종균을 이용하여 제조된 고추장은 일반적인 고추장에 비해 수분 함량, pH, 산도, 색도는 특별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모든 고추장 시료는 발효기간이 지남에 따라 수분 함량은 증가하고 pH는 감소하였으며, 산도, 아미노태 질소는 증가하였다. 잡곡과 죽염, 유산균이 들어간 혼합균주 스타터 고추장(MG-BS-ABL)은 6주간 발효되었을 때 아미노태 질소, 유리아미노산의 양이 다른 고추장에 비해 유의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또한, 관능평가에서 외관, 향기, 맛, 전반적인 기호도가 모두 다른 고추장에 비해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MG-BS-ABL군은 일반적인 고추장과 유사한 고추장의 품질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아미노태 질소,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아 관능평가에서도 높은 점수를 얻은 것으로 생각된다. 이 결과는 아마도 기장에 함유된 높은 단백질의 함유량과 죽염의 미네랄 조성, Aspergillus oryzae, Bacillus subtilis와 Lactobacillus plantarum의 혼합균주 메주의 발효에 의한 것으로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