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celerated Factor

검색결과 444건 처리시간 0.02초

증편의 저장 중 조직 특성 변화 (Changes in Textural Properties of Jeung-Pyon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and Steamed-Rice Bread) during Storage)

  • 장규섭;이정식;최석현;박영덕
    • 농업과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148-156
    • /
    • 1991
  • 본 실험은 생산연도가 다른 통일계 품종의 쌀과 일반미를 이용하여 한국 전통 발효 쌀떡 '증편'의 공업화에 필요한 증편의 저장특성과 저장방법 등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증편의 저장특성은 밀봉한 것과 밀봉하지 않은 것, 그리고 각기 온도조건을 달리하여 저장하면서 조직특성을 UTM(Instron model 1000)으로 측정하였다. 생산연도와 품종에 따른 저장특성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저장 중 증편이 제품으로서의 품질을 상실할 때에는 hardness가 0.74Kg에서 1.0Kg으로 gumminess가 0.37Kg에서 0.45Kg으로, chewiness가 9.5Kg.mm에서 13Kg.mm로 그 값이 증가하고, adhesiveness는 0.51Kg.mm에서 0.43Kg.mm으로, cohesiveness는 $0.55{\rightarrow}0.44$로 springiness는 38mm에서 35mm로 그 값이 감소하였다. 증편을 제조하여 밀봉하지 않고 상온에서 저장한 경우는 2일이 경과하면서 표면이 경화되어 제품으로서의 가치를 상실하였고, 밀봉한 증편은 수분의 증발에 의한 표면 경화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증편을 포장재로 밀봉하는 것이 저장성 부여에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밀봉한 증편을 각기 온도를 달리하여 저장하였을때 $-20^{\circ}C$, $20^{\circ}C$로 저장한 증편이 각각 20일, 5일 동안 저장성이 있었고, $5^{\circ}C$, $35^{\circ}C$로 저장한 증편은 저장 하루만에 제품으로서의 가치를 상실하여 저장 온도 조건으로서는 부적당하였다. $5^{\circ}C$로 저장한 밀봉한 증편은 저장 하루만에 증편 전체가 굳어져 제품성을 상실하였다.

  • PDF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신체담론에 관한 철학적 고찰 - 뉴미디어 아트에 나타난 신체담론을 중심으로 (The Philosophical Perspective on Discussion of Human Body in Digital Media Era - focused on new media art cases)

  • 가은영;김종덕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109-114
    • /
    • 2008
  • 활자 인쇄술의 발달 이후, 문화는 인간의 신체 생활을 시각적인 것에 감각적 비율이 치중 되도록, 글이라는 간접매제를 이해할 수 있는 지성, 즉 정신적인 것을 몸의 상위 개념으로 여기는 전통을 유지해 왔다. 그러나, 미디어와 기술의 발달, 보급은 인류를 다시금 공감각적 존재로 복귀시키려고 노력한다. 라디오와 전화와 같은 통신기술은 청각의 비율을 넓히고, 영화와 TV는 촉각, 후각, 미각 또한 극대화된 시,청각을 통해 전달하고자 했으며, 다양한 테크놀러지의 발달은 인간의 공감각을 극대화 시키는데 주력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탈물질적 기술의 전통은 신체를 지각의 요인에서 배제시키려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1960년대 이래 철학과 예술이 신체를 다시 돌아보기 시작하면서 신체는 중요한 미적 주제로서 자리하게 되고 보다 급진적인 일부 철학자들은 신체를 인간 지각의 결정적인 요인으로 탐구하며 이에 따라 수세기 동안 지배해온 서구 유럽 미적 이론을 변형시킨다. 이러한 성향은 디지털 미디어를 다루는 미디어아트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나며, 또한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HCI의 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시대와 문화에 따라, 또한 기술의 발전에 따라 변해온 인간의 신체 담론을 철학적으로 고찰하고, 신체와 디지털 미디어 간 상호작용의 활발한 실험이 이루어지고 있는 구체적 미디어 아트 작품 사례들을 분석한다. 또한 이를 통해 컴퓨터와 인간의 상호작용에서의 신체는 하드웨어의 조작을 위한 도구가 아닌 공감각적이고 종합적인 지각의 주제가 될 수 있음을 증명한다.

  • PDF

Skin Barrier Recovery by Protease-Activated Receptor-2 Antagonist Lobaric Acid

  • Joo, Yeon Ah;Chung, Hyunjin;Yoon, Sohyun;Park, Jong Il;Lee, Ji Eun;Myung, Cheol Hwan;Hwang, Jae Su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4권5호
    • /
    • pp.529-535
    • /
    • 2016
  • Atopic dermatitis (AD) results from gene and environment interactions that lead to a range of immunological abnormalities and breakdown of the skin barrier. Protease-activated receptor 2 (PAR2) belongs to a family of G-protein coupled receptors and is expressed in suprabasal layers of the epidermis. PAR2 is activated by both trypsin and a specific agonist peptide, SLIGKV-$NH_2$ and is involved in both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homeostasis and epithelial inflamm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lobaric acid on inflammation, keratinocyte differentiation, and recovery of the skin barrier in hairless mice. Lobaric acid blocked trypsin-induced and SLIGKV-$NH_2$-induced PAR2 activation resulting in decreased mobilization of intracellular $Ca^{2+}$ in HaCaT keratinocytes. Lobaric acid reduced expression of interleukin-8 induced by SLIGKV-$NH_2$ and thymus and activation regulated chemokine (TARC) induced by tumor necrosis factor-a (TNF-${\alpha}$) and IFN-${\gamma}$ in HaCaT keratinocytes. Lobaric acid also blocked SLIGKV-$NH_2$-induced activation of ERK, which is a downstream signal of PAR2 in normal human keratinocytes (NHEKs). Treatment with SLIGKV-$NH_2$ downregulated expression of involucrin, a differentiation marker protein in HaCaT keratinocytes, and upregulated expression of involucrin, transglutamase1 and filaggrin in NHEKs. However, lobaric acid antagonized the effect of SLIGKV-$NH_2$ in HaCaT keratinocytes and NHEKs. Topical application of lobaric acid accelerated barrier recovery kinetics in a SKH-1 hairless mouse model.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lobaric acid is a PAR2 antagonist and could be a possible therapeutic agent for atopic dermatitis.

클로로프렌 고무의 해수에 의한 물성 변화 및 노화 수명 예측 (Life Time Predic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Chloroprene Rubber Aged by Seawater)

  • 이찬구;윤주호;김일;심상은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7권1호
    • /
    • pp.9-1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클로로프렌 고무의 열 및 해수에 의한 노화 현상에 따른 물성 변화 및 사용 수명을 예측하였다. 가속 스트레스 수준은 열노화 $80^{\circ}C$, $100^{\circ}C$, $120^{\circ}C$, 해수침지노화 $40^{\circ}C$, $60^{\circ}C$, $80^{\circ}C$에서 2년 3개월(20,000Hr)동안 가속노화를 통해 인장시험을 수행하여 신장률, 인장강도, 경도를 통한 물성변화 측정을 하였다. 분석 결과신장율 저하가 가장 주된 고장지배모드임을 알 수 있었다. 아레누이스 식을 이용한 노화수명 예측 결과 열노화된 CR의 예측 수명은 $23^{\circ}C$에서 125년이며, 해수침지노화된 CR의 예측수명은 $23^{\circ}C$에서 9년이었다. SEM과 SEMEDS 분석 결과, 해수노화시편이 균열과 SEM-EDS에서는 산소의 농도가 증가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FT-IR에서는 해수와의 반응에 의하여 C-O와 C=O 결합이 생성되었음을 관찰하였다. 또한 DSC와 TGA 분석에서는 해수침지노화에 의하여 유리전이온도가 상승하며 분해온도가 낮아짐을 관찰하였다.

Combined Effects of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and Organic Acid Salts (Sodium Acetate and Calcium Lactate) on the Quality and Shelf-life of Hanwoo Ground Beef Patties

  • Muhlisin, Muhlisin;Kang, Sun-Moon;Choi, Won-Hee;Lee, Keun-Taik;Cheong, Sung-Hee;Lee, Sung-K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85-694
    • /
    • 2010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combined effects of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MAP) and organic acid salts on the quality and shelf-life of Hanwoo ground beef patties. The ground beef containing 500 ppm of ascorbic acid was prepared with air-packaging (Air-P), high oxygen-MAP (70% $O_2$+30% $CO_2$/OxyMAP), and nitrogen-MAP (100% $N_2$/NitroMAP), in combination with organic acid salts (1500 ppm of sodium acetate and 500 ppm of calcium lactate). The samples were stored for 11 d at $5^{\circ}C$. The pH value of ground beef patties decreased during storage in all the treatments. The ground beef patties with organic acid salts showed relatively higher level of pH during storage compared with non-added patties (p<0.05). Lipid oxidation was accelerated in OxyMAP while it was delayed in NitroMAP treated with organic acid salts. Nitro-MAP treated with organic acid salts was effective in stabilizing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lightness (CIE $L^*$) and redness (CIE $a^*$) during storage. Oxygen content in MAP was shown to be a more important factor affecting color stability and lipid oxidation of ground beef than organic acid salts. The aerobic and anaerobic bacterial counts were reduced both in OxyMAP and NitroMAP (p<0.05), and the lactic acid bacteria was inhibited by Oxy-MAP (p<0.05). Coliform bacteria decreased during storage as pH value was decreased in all treatments. According to the sensory evaluation, the ground beef patties in NitroMAP showed the best quality among all treatments during storage. Therefore, Hanwoo ground beef patties added with sodium acetate and calcium lactate and packed with NitroMAP showed better quality characteristics than other treatments. This packaging method is recommended and could be utilized for packaging hanwoo ground beef patties for improving quality and extending shelf-life.

시설원예 태양열 시스템의 효율적 이용과 자동화 장치개발(2) -지중가온에 의한 오이 생육 및 수량성 향상에 관한 연구- (A Development of Automation system and a way to use Solar Energy System Efficiently in Greenhouse(2) - Study on improvement of growth and yield of a cucumber in soil heating -)

  • 김진현;오중열;구건효;김태욱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5-33
    • /
    • 1998
  • 겨울철 오이 시설재배에서 태양열 시스템을 이용한 지중가온의 효과를 구명하고자 지중 40 cm에 15 mm의 PPC파이프를 130 cm이랑 에 4열 매설한 후 지중 20 cm의 지온을 $22~23^{\circ}C$로 설정한 후 1996년 11월 7일부터 1997년 1월 30일까지 일정한 온도로 유지, 관리하여 무가온구와 가온구의 지상부, 지하부 및 수량을 비교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중가온에 의한 지온확보는 가온구는 15~20 cm에서 $22^{\circ}C$ 정도의 평균온도를 확보할 수 있었고, 무가온구는 평균 $17~18^{\circ}C$ 정도였다 2) 정식 30일 정도에서 초기생육은 가온구가 초장, 경경, 엽수, 엽면적 등 모두 증가하였으며 특히 초장 27%, 엽수 51%, 엽면적은 150% 정도 증가하였다. 또 지상부 평균 증가율도 관행대비 가온구 증가율이 117% 정도였다. 3) 가온구의 지하부 뿌리의 생장성이 관행구에 비하여 평균 56% 정도 증가하였다 4) 과수의 수량면에서도 총과수가 무가온구 313개, 가온구 614개로 가온구가 196% 정도 증수되었다.

  • PDF

Effect of Amniotic Fluid Stem Cells and Amniotic Fluid Cells on the Wound Healing Process in a White Rat Model

  • Yang, Jung Dug;Choi, Dong Sik;Cho, Young Kyoo;Kim, Taek Kyun;Lee, Jeong Woo;Choi, Kang Young;Chung, Ho Yun;Cho, Byung Chae;Byun, Jin Suk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0권5호
    • /
    • pp.496-504
    • /
    • 2013
  • Background Amniotic-fluid-derived stem cells and amniocytes have recently been determined to have wound healing effects, but their mechanism is not yet clearly understood.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amniotic fluid stem cells and amniocytes on wound healing were investigated through animal experiments. Methods On the back of Sprague-Dawley rats, four circular full-thickness skin wounds 2 cm in diameter were created. The wounds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four types: a control group using Tegaderm disc wound dressings and experimental groups using collagen discs, amniotic fluid stem cell discs, and amniocyte discs. The wounds were assessed through macroscopic histological examination and immunohistochemistry over a period of time. Results The amniotic fluid stem cell and amniocyte groups showed higher wound healing rate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histologically, the inflammatory cell invasion disappeared more quickly in these groups, and there was more significant angiogenesis. In particular, these groups had significant promotion of epithelial cell reproduction, collagen fiber formation, and angiogenesis during the initial 10 days of the wound healing process. The potency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and fibronectin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much great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in the early stage of the wound healing process. In later stage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Conclusions The amniotic fluid stem cells and amniocytes were confirmed to have accelerated the inflammatory stage to contribute to an enhanced cure rate and shortened wound healing period. Therefore, they hold promise as wound treatment agents.

임간초지 발전에 관한 연구 IX. 임간초지에서 예취횟수와 예취높이가 목초의 생육과 수량 및 초지식생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Grassland Development in the Forest IX. Effect of cutting times and cutting heights on growth and dry matter yield of grasses, and botanical compowition on woodland pasture)

  • 서성;이종경;한영춘;박문수;황석중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35-140
    • /
    • 1988
  • 본 시험은 林間草地에서 연간 예측회수(3,4,5回)와 예취높이 (3,6,9cm)가 목초의 生育과 收量 및 초지地植生에 미치는 영향을 究明하여 임간초지의 생산량증대와 이용年限延長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되었으며, 林間地의 조건은 南向인 소나무 지대로 選光程度는 30%였다. 연간 예취回數별 乾物收量은 4회 예취구(6097kg), 3회 예취구 (5953kg) > 5회 예취구 (5305kg/ha)순이였으나, 館料價植를 고려한 수량차이는 크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예취높이별 乾物수량은 예취회수에 관계없이 예취높이가 3,6,9cm로 높아짐에 따라 有意的으로 증가하였으며 (P

  • PDF

열처리 불가사리 추출물의 항염 활성 (Anti-inflammatory Effects of Heat-treated Starfish Extract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264.7 Cells)

  • 박재현;안근재;이선령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7호
    • /
    • pp.634-639
    • /
    • 2020
  • 불가사리는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가진 유용한 해양생물자원으로 알려져 있으나 불가사리가 가진 특유한 냄새로 인해 기능성 소재로 활용하는데 많은 제약이 있다. 우리는 최근에 로스팅을 통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효율적인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나 열처리된 불가사리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PS에 의해 염증을 유도한 Raw 264.7 세포에서 열처리 불가사리 추출물의 염증 조절 기전을 조사하여 항염증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열처리 불가사리 추출물은 LPS에 의해 증가된 NO의 분비량과 iNOS의 발현을 현저히 감소시켰고 IL-1β와 IL-6와 같은 pro-inflammatory cytokine의 발현에서도 유의미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또한 열처리 불가사리 추출물에 의한 NF-κB p65 단백질의 핵으로의 전이 억제와 NF-κB 저해제인 PDTC와의 동시 처리에 의한 NO 분비량 감소는 열처리 불가사리 추출물의 NO 생성 저해 효과가 NF-κB 신호전달을 통해 이루어짐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열처리 불가사리 추출물이 NF-κB 신호전달 경로를 통해 염증매개인자들의 발현을 억제하여 염증반응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마른멸치 저장중의 수분활성과 비효소적 갈변반응 (NON-ENZYMATIC BROWNING REACTIONS IN DRIED ANCHOVY WHEN STORED AT DIFFERENT WATER ACTIVITIES)

  • 한성빈;이종호;이강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6권1_2호
    • /
    • pp.37-43
    • /
    • 1973
  • In this paper, non-enzymatic browning reactions as a factor of self stability of boiled and dried anchovy were studied to discuss the effect of water activity to the discoloring reaction and the preservative moisture content. The development of rancidity of the fish meat was also mentioned since the fish is fatty and the lipid oxidation is a functional deteriorative reaction. Fresh anchovies were boiled in $10\%$ salt solution immediately after the catch, sun dried, and stored at room temperature ($20^{\circ}C$) for two months in humidistat chambers maintaining different levels of water activity as described in Table 1. The pigments formed by non-enzymatic browning reations were extracted in two fractions, those were chloroform-methanol soluble and water dialyzed fraction, and analyzed spectrophotometrically at the wavelength of 460 nm. These two fractions were considered, respectively to be the brown pigments formed by lipid oxidation reactions for the formler and for the latter, to be the pigments developed by sugar-amino or Maillard reaction. The oxidation of lipid in anchovy meat during the storage was measured as the changes in Peroxide value and the color development of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It is summarized from the results that the rate of both reactions, lipid oxidation and browning, was affected by water activity levels. In regard to the changes in peroxide and TBA value during the storage, the propagation of lipid oxidation was obviously accelerated at lower humidities whereas the development of browning progressed at the higher. These two reactions occurring simultaneously and contrary in activity resulted in that the rate of deterioration occurring oxidatively or by browning, was the minimum at the water activity of 0.32-0.45 which were $7-9\%$ as moisture content and slightly higher value than that of monolayer (Aw=0.21, $5.11\%$ as moisture content). It is also noted that the lipid oxidative browning was presumed to dominate sugar-amino reactions so that the rate of browning of the meat was ultimately depended on the development of rancidity although sugar-amino reactions initiated earlier than the other at the first ten days of storage, particulary at higher humidity. At the lower humidity sugar-amino reactions were occurred gradually but lower levels in color development in contrast to the consistent increase in lipid oxidative brown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