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anthopanax Koreanum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44초

오가피잎의 생약학적 연구 (Pharmacognostical Studies on the 'O Ga Pi Ip')

  • 이은숙;박종희
    • 생약학회지
    • /
    • 제37권1호통권144호
    • /
    • pp.1-10
    • /
    • 2006
  • 'O Ga Pi Ip' has been used in Korea to cure rheumatism, neuralgia, edema, dematopathy, and impotence. The botanical origin of the crude drug has not been confirmed pharmacognostically. To clarify the botanical origin of 'O Ga Pi Ip', the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leaves of Acanthopanax species growing in Korea and Japan, A. chi-isanensis Nakai, A. Koreanum Nakai, A. rufinerve Nakai, A. senticosus (Rupr.et Maxim). Harms, A senticosus (Rupr.et Maxim.) for inermis Harms, A. seoulense Nakai, A sessiliflorus (Rupr. et Maxim.) Seem, A. divaricatus Seem, A. sieboldianum Makino were compared. As a result, it was determined that 'O Ga Pi Ip' was the leaf of A. sessiliflorus (Rupr. et Maxim.) Seem, A chiisanensis Nakai, and A. koreanum $Nakai_I$.

Determination of Hyperin in the Fruits of Acanthopanax Specie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Lee, Jeong-Min;Kim, Hye-Min;Lee, Su-Llim;Han, Saem;Cho, Seon-Haeng;Lee, Sang-Hyu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6권1호
    • /
    • pp.39-42
    • /
    • 2010
  • The content of hyperin in Acanthopanax species was determin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Hyperin was quantified by a reverse-phase column with elution program [initially gradient solvent (acetonitrile : water = 85 : 15 to 80 : 20 for 20 min), then isocratic solvent (acetonitrile : water = 80 : 20 for 20 min), and finally gradient solvent (acetonitrile : water = 80 : 20 to 65 : 35 for 20 min)]. UV detection was conducted at 210 nm. The content of hyperin in the fruits of Acanthopanax was measured in the species A. chiisanensis (2.04 mg/g), A. sessiliflorus (1.13 mg/g), A. divaricatus (0.98 mg/g), A. koreanum (0.75 mg/g) and A. senticosus (0.05 mg/g). The content of hyperin in A. chiisanensis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Acanthopanax species.

한국특산 섬오갈피나무 및 지리산오갈피나무의 정유성분 GC/MS 분석 (GC/MS Analysis of Volatile Constituents from Endemic Acanthopanax koreanum and A. chiisanensis in Korea)

  • 임순성;이연실;정상훈;박준언;조선행;신국현;이상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86-93
    • /
    • 2008
  • 한국특산 섬오갈피나무 및 지리산오갈피나무의 잎과 줄기에서 추출한 주요 정유성분으로, 섬오갈피나무의 경우에는 ${\delta}-3-carene$ (31.34%), l-limonene (17.01%), ${\beta}-elemene$ (4.53%), trans-p-menth-2-ene-1,8-diol (3.13%), 1,8-cineole (4.73%), 1-dodecen-3-yne (2.64%), (Z)-3,7-dimethyl-1,3,6-octatriene (3.21%), 지리산오갈피나무의 경우에는 ${delta}-3-carene$ (14.78%), limonene (7.24%), t-ocimene (7.22%), ${\alpha}-terpinolene$ (8.76%), ${gamma}-elemene$ (4.32%), ${\beta}-selinene$ (7.72%), veridifloral (3.25%), dodecane (2.44%) 등의 성분함량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delta}-3-carene$는 섬오갈피나무 및 지리산오갈피나무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두릅나무과 식물의 SOD 활성과 광계II의 광화학적 효율에 미치는 온도 스트레스와 Paraquat의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Stress and Paraquat on SOD Activity and Photochemical Efficiency of PSII in Leaves of Araliaceae Plants)

  • 오순자;고정군;김응식;오문유;고석찬
    • 환경생물
    • /
    • 제17권2호
    • /
    • pp.199-204
    • /
    • 1999
  • 여름철 자연조건에서 자라는 두릅나무과 식물 잎의 SOD활성과 광계II의 광화학적 효율의 차이를 분석하고 온도 스트레스와 paraquat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두릅나무과 식물 6종의 잎으로부터 총 8개의 superoxide dismutase(SOD) isoenzyme이 구분되었다. 그 중, 섬오갈피나무 (Acanthopanax koreanum)에서는 두릅나무과 식물에 공통적인 2개의 isoenzyme (SOD 4와 SOD 6)이 높은 활성으로 검출되었고,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에서는 두릅나무과 식물이 갖는 8개의 isoenzyme이 모두 검출되었다. 광계II의 광화학적 효율을 나타내는 Fv/Fm은 낙엽성 식물에서는 섬오갈피나무가 다른 종보다 높았으며, 상록성 식물에서는 음지에 위치해 있는 잎이 양지에 위치해 있는 잎보다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섬오갈피나무 잎 disc의 Fv/Fm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였지만 황칠나무 잎 disc에서는 35$^{\circ}C$에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그리고 온도 스트레스와 함께 paraquat를 처리하였을 때 섬오갈피나무에서는 4$^{\circ}C$에서, 황칠나무에서는 35$^{\circ}C$에서 Fv/Fm이 억제되었다. 한편, SOD 활성은 섬오갈피나무 잎 disc에서는 4$^{\circ}C$와 28$^{\circ}C$에서 높았고 paraquat를 함께 처리하였을 매에는 모든 온도에서 활성이 높아졌다. .그러나, 황칠나무 잎 disc에서는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SOD활성이 억제되었고 paraquat를 함께 처리하였을 때에는 더욱 억제되었다. 따라서, 섬오갈피나무는 황칠나무에 비하여 온도 스트레스나 산화적 스트레스에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Quantitative Analysis of Lignans in the Fruits of Acanthopanax Species by HPLC

  • Kim, Hye-Min;Kim, Ju-Sun;Lee, Sang-Hyun;Lee, Sung-Jin;Lee, Gung-Pyo;Kang, Sam-Sik;Cho, Seon-Haeng;Cheoi, Dae-S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5호
    • /
    • pp.778-780
    • /
    • 2006
  •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lignans eleutheroside B and eleutheroside E in the fruits of Acanthopanax species. A reverse-phase system using a gradient of $H_2O$ and acetonitrile as the mobile phase was developed and detection was at 210 nm. The analysis was successfully carried out within 20 min. The content of eleutheroside B and eleutheroside E in Acanthopanax species was measured in the fruits of A. senticosus (0.58 and $1.66\;{\mu}g/mg$, respectively), A. sessiliflorus (1.15 and $8.49\;{\mu}g/mg$, respectively), A. koreanum (2.16 and $1.80\;{\mu}g/mg$, respectively), and A. divaricatus (1.06 and $7.08\;{\mu}g/mg$, respectively).

탐라오가피의 Eleutheroside B, E 및 β-Glucan 함량 분석 및 분석법 검증 (Method Validation for the Determination of Eleutherosides and β-Glucan in Acanthopanax koreanum)

  • 김영현;배다빈;박선옥;이상종;조옥현;이옥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9호
    • /
    • pp.1419-1425
    • /
    • 2013
  • 탐라오가피를 이용하여 건강기능식품 개발 시 원료의 표준화를 위한 eleutheroside B, E 및 ${\beta}$-glucan의 함량 및 분석법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법 검증결과, HPLC를 이용한 분석방법에서 표준용액의 피크유지시간과 탐라오가피 뿌리 및 줄기 추출물의 피크유지시간이 일치하였으며 동일한 spectrum을 나타내는 것으로 특이성을 확인하였다. Eleutheroside B와 E의 검량선은 각각 0.9997, 0.9999로 1에 가까운 높은 직선성을 보여주어 분석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Eleutheroside B와 E의 검출한계는 각각 $0.050{\mu}g/mL$, $0.025{\mu}g/mL$이었고 정량한계는 $0.250{\mu}g/mL$로 eleutheroside B와 E가 동일한 값으로 설정되었다. Eleutheroside B의 함량은 탐라오가피 뿌리 및 줄기에서 각각 $525.7{\pm}16.8$, $525.1{\pm}21.1{\mu}g/g$으로 큰 차이가 없었으며 eleutheroside E의 함량은 뿌리 및 줄기에서 각각 $1,315.3{\pm}22.7$, $1,037.5{\pm}22.2{\mu}g/g$으로 뿌리에 더 많은 eleutheroside E가 함유되어 있었다. 정밀도(RSD) 측정 결과, eleutheroside B와 E는 일간 정밀도에서 각각 1.4~5.0, 1.1~2.5%의 정밀도를 보여주었으며 일내 정밀도에서는 각각 2.8~2.9, 0.4~1.1%로 일간 정밀도보다 높은 정밀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eleutheroside B는 100.66~110.04%, eleutheroside E는 94.26~111.62% 범위의 회수율을 보여주어 실험방법에 대한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beta}$-Glucan 분석법 검증 결과, 100.03%의 회수율을 보였으며 분석오차는 2.33%로 높은 정확도를 보여주었고, 일간(inter-day) 정밀도는 1.32~5.67%이었으며 일내(intra-day) 정밀도는 8.01~11.76%의 정밀성을 나타내었다. 탐라오가피 줄기, 잎 및 열매의 ${\beta}$-glucan 함량은 각각 $5.32{\pm}0.38$, $4.34{\pm}0.32$, $3.71{\pm}0.22%$(w/w)로 줄기에 가장 많은 ${\beta}$-glucan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 지표성분인 eleutheroside B와 E의 HPLC를 이용한 동시분석 방법과 ${\beta}$-glucan 분석방법이 적합한 분석방법임이 검증되었다.

남부오가피잎의 성분 및 정량 (Constituents and Quantitative analysis from the Leaves of Acanthopanax divaricatus f. nambunensis)

  • 조형권;함인혜;황완균
    • 약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94-299
    • /
    • 1999
  • From the water fraction of the MeOH extract, three compounds, 1,3,4,5-terrahydroxycyclo-hexanecarboxylic acid 3-(3,4-dihydroxycinnamate) (chlorogenic acid), $quercetin 3-O-{\beta}-D-galactopyranoside(hyperoside)$, and 1 (R)-hydroxy-3,4-seco-lup-4(23), 20(30)-dien-3,$11{\alpha}-olactone-{\alpha}-L-rhamnopyrnaosy(1{\rightarrow}4)-{\beta}-D-glucopyanosy(1{\rightarrow}6)-{\beta}-L-glucopyrnaosyl$ ester (chiisanoside) were isolated and their strutures determinated by $^1H-NMR,{\;}^{13}C-NMR$, IR, and FAB-Mass. Chlorogenic acid and Chiisanoside had been quantitated by HPLC from eight Acanthopanax species per 10 g A. koreanum 19.82, 4.17 mg, A. nambunensis 65.00, 1.86mg, A. chiisanense 27.19, 8.17mg, A. sessiliflorum 7.49, 5.88 m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