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ademic grade scores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2초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공감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cademic Self-efficacy, Empathy and Communication Skills on Problem 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 김미숙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8권2호
    • /
    • pp.104-111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the problem 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data in this study was collected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September 1st to October 30th, 2021. Study participants were 172 fourth grade nursing students at four departments of nursing located in B and K city. IBM SPSS WIN v 21.0. program with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as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The mean scores of academic self-efficacy was 3.88±051, empathy was 3.76±0.33, communication skills were 3.94±0.48, and problem solving ability was 3.70±0.40.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r=.45, p=<.001), empathy (r=.51, p=<.001), communication skills (r=.52, p=<.001), Factors affecting participants' problem solving ability were empathy (β=.31, p=<.001), and communication skills (β=.23, p=.006), which explained about 38.4% of the problem solving ability. Conclusion: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curricular and non curricular nursing program that can strengthen empathy and good communication skills together when developing programs that increase problem solving ability.

저학령기 아동의 감각통합 기능과 학업성취도간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Between Sensory Integration Function and Scholar Achievement in the Lower Classes Children)

  • 신중일;최영건;장우혁;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2
    • /
    • 2008
  • 서론: 본 연구의 목적은 COMPS를 사용하여 저 학령기 아동의 감각통합 기능 수준을 제시하고 감각통합 기능과 학업성취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는 2005년 12월 19일부터 20일까지 김해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56개 초등학교 중에서 무작위로 J초등학교와 S초등학교를 선정하였으며 저학년 중 학업성취도를 위한 지필고사를 실시하지않는 1과 3학년을 제외한 2학년 중에서 무작위로 반을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은 2학년에 재학 중인 아동으로 남아가 34명, 여아가 35명으로 총 69명이었다. 평가도구는 감각통합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 COMPS와 학업성취도 평가를 위한 국어, 수학 지필고사를 사용하였다. 결과분석은 SPSS 10.0을 사용하였으며 t-검정과 F-검정 그리고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저 학령기 아동의 COMPS 점수와 학업성취도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으나 산점도 그래프로 볼 때, 전완교환반복운동, 비대칭성 경반사에서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배와위 굴곡위에서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전체, 국어, 수학과목의 학업성취도가 높은군과 낮은 군 사이에서 COMPS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국어과목에서는 학업성취도가 높은 군이 학업성취도가 낮은 군보다 환산점수 총점과 변환환산점수가 높았으며, 하위항목에서도 COMPS 점수가 높았다. 수학과목에서는 배와위 굴곡위를 제외한 나머지 항목에서 학업성취도가 낮은 군이 학업성취도가 높은 군보다 COMPS 점수가 높았다. 일반적 특성 중 나이에 따른 COMPS 점수의 차이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는데, 슬로모션과 배와위 굴곡위 두 개 항목을 제외하고는 나이가 많을수록 COMPS 점수가 높다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결론: 본 연구에서 감각통합기능과 학업성취도의 상관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산점도 그래프 상에서는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 제시된 저 학령기 아동에 대한 COMPS 점수는 일반 아동의 감각통합 문제를 판별하여 학습과 관련된 문제의 조기판별 및 조기치료를 통해 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기회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알고리즘 교육을 통한 비버챌린지 결과 분석 (Analysis of Bebra Challenge Results through Algorithm Education)

  • 박선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65-72
    • /
    • 2019
  • SW 교육의 중요성이 증대되면서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비버챌린지 2018 체험하기와 도전하기 그룹III의 과제를 초등학교 5학년 5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후 평균점수 비교, 스마트폰 보유여부, 컴퓨터 친숙도, 인내심, 집중도, 학업능력 요소와의 관련성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체험하기 점수에 비해 도전점수의 평균, 정답률, 난이도별 정답률 모두 높아졌고, 컴퓨터 친숙도, 인내심, 집중도가 높을수록 도전점수가 높아졌지만, 스마트폰 보유여부와 학업능력 요소는 점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난이도가 어려운 과제에서는 인내심 요소가, 난이도가 보통인 과제에서는 컴퓨터 친숙도 요소가, 난이도가 쉬운 과제에서는 집중도 요소가 점수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추후 분석대상과 그룹 범위를 넓혀 평가영역도 추가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혜전대학 호텔조리과 학생이 인식하는 서비스 가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ceived service value among the students of Hotel Culinary Department in Hyejeon College)

  • 강경재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93-209
    • /
    • 2001
  •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students' perception of service value is related to functional value with regard to need and satisfaction, epistemic value, image, emotional value, functional value with regard to price and quality, and social value. Specifically female students give less importance to epistemic value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Students in the 2nd grade gave less favorable scores to the functional value with regard to need and satisfaction, epistemic value, image, emotional value and functional value with regard to price and quality than students in the 1st grade. Students in the night class gave less scores to epistemic value and functional value with regard to price and quality than students in the day class. It is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by the period in school is in functional value with regard to need and satisfaction, image, emotional value, and functional value with regard to price and quality. And it is also revealed that these results are similar to the results of analysis by the grade. In conclusion college operators should not overemphasize that the department of Hotel culinary arts occupies the leading position of the culinary academic world in Korea and the firms of food service industry positively evaluate the department of Hotel culinary arts, and in order to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of the culinary education consistent investment constant changes and of efforts should not be stopped. On one hand the teaching staff of the department of Hotel culinary arts should reconsider their original role, and need behavior and practice to fill their deficiency with steady efforts in terms of students' perceived service value. In addition the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Hotel culinary arts should not be shackled by the past tradition, should not take a pessimistic view of the present situation, should not take an optimistic view of the future, and should always cultivate their ability to provide for the future.

  • PDF

청소년의 사이버 자기개념,자기효능감, 친구관계, 주관적안녕감과 학업성취도: 인터넷 중독인식집단과 비중독집단의 비교 (Analysis of the self-concept in the cyberspace, self-efficacy, relationship with friends, subjective well-being and academic grade: Comparison of adolescents who are addicted to Internet to non-addicted adolescents)

  • 김의철;박영신;탁수연;김정희;오미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9권2호
    • /
    • pp.285-318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 인터넷 중독인식집단의 사이버 자기개념과 인간관계, 심리 행동특성을 이해하는데 주된 관심이 있다. 이를 위해 인터넷 중독인식집단과 비중독집단의 사이버 자기개념, 자기효능감, 친구관계, 주관적안녕감 및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최종 분석대상 수는 1,057명(남 545명, 여 512명)이었으며, 학교별로는 중학생 326명, 일반계 고등학생 361명, 특성화 고등학생 370명이었다. 분석결과, 첫째, 사이버공간에 있을 때 자기인식에 대해 질적 분석을 한 결과, 인터넷 중독인식집단은 재미있다가 가장 높은 반응률을 나타내고 그 다음으로 평소와 같다, 시간을 보낸다, 가상인물이 된다 등의 순서를 보였다. 반면에 인터넷 비중독집단은 평소와 같다가 가장 높은 반응률을 나타내고, 그 다음으로 재미있다, 시간을 보낸다, 가상인물이 된다 등의 순서를 나타내었다. 인터넷에서 게임할 때 자기인식으로는 인터넷 중독인식집단과 비중독집단 모두 재미있다를 가장 많이 지적하였는데, 응답자의 반수가 이에 해당하였다. 그 다음으로 몰입한다, 거칠어진다와 같은 범주들이 포함되었다. 둘째, 인터넷 중독인식집단과 비중독집단의 자기효능감 차이를 공변량분석한 결과, 비중독집단이 중독인식집단보다 자기조절학습효능감, 관계효능감, 어려움극복효능감이 더 높았다. 셋째, 인터넷 중독인식집단과 비중독집단의 친구관계 차이를 공변량분석한 결과, 친한 친구 수와 가까운 친구 수에서 모두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비중독집단은 중독인식집단보다 친구로부터 정서적 지원을 더 많이 받았고, 반면에 따돌림을 적게 경험하였다. 넷째, 인터넷 중독인식집단과 비중독집단의 주관적안녕감 차이를 공변량분석한 결과, 비중독집단이 중독인식집단보다 훨씬 주관적안녕감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인터넷 중독인식집단과 비중독집단의 학업성취도 차이를 공변량분석한 결과, 비중독집단이 중독인식집단보다 객관적 성적만이 아니라 주관적 성취지각에서도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내었다.

  • PDF

식생활 관련 변인들이 실과 식생활단원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arious Factor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the Food and Nutrition′Units in Practical Arts)

  • 허향련;이경애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59-72
    • /
    • 200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actor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the 'Food and Nutrition' units in the Practical Arts : factors such as gender. family and home environment. and participation in. interest in attitude toward. and encouragement by mother in meal management. The factors were surveyed for 453 grade four elementary students (226 boys and 227 girls) and their mothers in Busan. The extent of participation in meal management. of interest. of attitude. and of the mother's encouragement was broken into three groups. Upon completing the 'Table Setting with Fruits'unit. the students'academic achievements were evaluated and compared according to these facto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girls participated in meal management more frequently than the boys. Most of the children exhibited a high interest. the girls showing a higher interest than the boys. Both sexes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ward meal management. Mothers encouraged girls more often than boys to manage meals at home. 2.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girl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boys. Children living in apartments and more affluent environments scored higher than those who were less well off and living in independent households. 3. Those who frequently participated in meal management. exhibited a high interest. and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wards it. achieved higher scores than those who showed a lower interest. less positive attitude. and only occasionally participated in it. 4. Those who were encouraged frequently to manage meals by their mother showed a tendency to score higher than those who wee encouraged only occasionally. In conclusion. academic achievement in the 'Food and Nutrition'units in Practical Arts was affected by gender. domestic economy. type of residence. participation in meal management in the home. interest in it. attitude toward it. and encouragement in participation by the other. Thus academic achievement in food. nutrition. and meal management is dependent upon both the school and home environments. Children would learn more in the 'Food and Nutrition'units when their parents set a positive and encouraging environment in the home.

  • PDF

역할놀이 비유 활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와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Role-Playing Analogy Activity Class on the Academic Achievements and the Science Process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장진화;이형철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67-27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role-playing analogy activity-based clas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and the science process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e experimental group and one control group of 4th grade students were selected to perform a prior investigation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and the science process skill. Then the experimental group attended science lessons that were based on the role-playing analogy activity and the control group attended the traditional science lessons based on the text book and teacher's guide. After conducting lessons, a post investigation was performed for each group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o produce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role-playing analogy activity class was more effective to improv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than the traditional science class. And the role-playing analogy activity class was more effective to learners in the high-level group, which made a scores above the average in prior investigation on the academic achievement, whereas it was little effective to those in the low-level group. Second, the role-playing analogy activity class was effective to enhance students' science process skills than the traditional science class. And the role-playing analogy activity class was more effective to the learners' in the high-level group than those in the low-level group.

Emotional Intelligence, Academic Motivation, and Achievement among Health Science Students in Saudi Arabia: A Self-Deterministic Approach

  • Mahrous, Rasha Mohammed;Bugis, Bussma Ahmed;Sayed, Samiha Hamdi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571-583
    • /
    • 2023
  • Purpose: This study used a self-deterministic approach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EI), academic motivation (AM), and achievement among health science students. Methods: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cities of Saudi Arabia (Dammam, Riyadh, and Jeddah). A convenience sample of 450 students was incorporated using the multistage cluster sampling technique. The online survey contained three sections: students' basic data and academic achievement level, the modified Schutte self-report inventory, and the Academic Motivation Scale lowercase. Results: This study revealed moderate overall scores for EI (57.1%), AM (55.6%), and grade point average (GPA) (57.6%). The overall EI score, its domains, and GPA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overall AM and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p < .01). Amotivation had an insignificant correlation with GPA (p < .05), but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EI and its domains (p < .01).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roved that EI domains predicted 5.0% of GPA variance; emotions appraisal and expression (β = .02, p = .024), regulation (β = .11, p = .032), and utilization (β = .24, p < .01). EI domains also predicted 26.0% of AM variance; emotions appraisal and expression (β = .11, p = .04), regulation (β = .33, p < .01), and utilization (β = .23, p < .01). Moreover, AM predicted 4.0% of the variance in GPA; intrinsic (β = .25, p = .004) and extrinsic (β = .11, p = .022) motivation. AM also predicted 25.0% of the variance in EI: intrinsic (β = .34, p < .01) and extrinsic motivation (β = .26, p = .026). Conclusion: EI and AM have a bidirectional influence on each other, significantly shaping the GPA of health sciences students in Saudi Arabia, where intrinsic motivation has a predominant role. Thus, promoting students' AM and EI is recommended to foster their academic achievement.

보호관찰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심리 행동특성 비교: 도덕적 이탈, 자기효능감, 가출, 학업성취를 중심으로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profiles of adolescent on probation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specific focus on moral disengagement, self-efficacy, delinquency, and academic achievement)

  • 박영신;김의철;탁수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2권2호
    • /
    • pp.45-76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일탈 청소년이 일반 청소년과 심리 행동 특성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보호관찰 청소년(253명)과, 일반계 고등학생(257명)을 표집하여 도덕적 이탈과 자기효능감 및 가출과 학업성취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질적 질문지는 연구자가 제작하였고, 양적 질문지는 Bandura(1995)의 도덕적 이탈과 자기효능감 척도를 기초로 연구자가 제작하였다. 질적 분석 결과, 보호관찰 청소년들은 문제행동을 하게 된 동기를 상대방 잘못에 두고, 보호관찰소에 왔을 때 심정을 억울하다고 함으로써, 도덕적 이탈이 시사되었다. 가장 자신있게 잘 할 수 있는 일로 학업을 지적한 경우가 적었으며, 가장 자신이 멋있다고 느낀 때가 없다고 함으로써 자기효능감도 낮았다. 또한 친구와 활동 내용 및 장소로 PC방/오락실을 많이 지적하였고, 1년 내에 이루고 싶은 일 또는 가장 신경 쓰이는 문제로서, 학업/진로문제에 대한 반응률이 낮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보호관찰 청소년이 가출을 유혹하는 환경에 많이 접하고 학업성취에 대한 관심이 적음을 보여준다. 양적 분석을 위해 두 집단 차이를 공변량분석한 결과는, 보호관찰 청소년이 일반 청소년보다 도덕적 이탈 정도가 높았으며, 사회성 효능감이 높고, 자기조절학습 효능감은 낮았다. 또한 가출을 많이 했으며, 학업성취도는 낮았다. 판별분석 결과 가출정도와 사회성 효능감 및 도덕적 이탈은 보호관찰 청소년을 판별하고, 학업성취도와 자기조절학습 효능감은 일반 청소년을 판별하는 의미있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대면 및 비대면 수업 형태가 과학고 학생들의 화학II 및 고급화학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lasse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Chemistry II and Advanced Chemistry in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 신동선;박종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2호
    • /
    • pp.237-244
    • /
    • 2024
  • 우리는 수업 형태 (대면, 비대면)에 따라 과학고 학생들의 화학II 및 고급화학 과목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남 소재 G 과학고등학교 1학년 학생 19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020년의 비대면 수업과 2021년의 대면 수업에 의한 화학II 및 고급화학 평균 점수를 비교·분석하였다. 수업 형태에 따른 학업성취도를 비교·분석한 결과, 비대면 수업에서 학생들의 화학II 및 고급화학 성적이 높게 나타났다. 수업 형태에 따른 수준별 학업성취도 비교에서, 화학II는 하위권일수록 비대면 수업의 평균 성적이 높게 나타났고, 고급화학은 상위권일수록 비대면 수업의 평균 성적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수업 형태의 변화가 화학II의 학업성취도 상위 및 하위 10%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위 10%는 대면 수업에서 높은 성적을 보였고, 하위 10%는 비대면 수업에서 높게 나타났다. 반면, 고급화학에서 상위 10%는 비대면 수업의 평균 성적이 대면 수업의 평균 성적보다 높았고, 하위 10% 수준은 대면 수업의 평균 성적이 비대면 수업의 평균 성적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과학고 학생들의 교수-학습에서, 교수자는 학업성취 수준에 적합한 교수-학습의 설계 및 수업 처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