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oveground Biomass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32초

Allometry, Biomass and Productivity of Quercus Forests in Korea: A Literature-based Review

  • Li, Xiaodong;Yi, Myong-Jong;Son, Yo-Whan;Jin, Guangze;Lee, Kyeong-Hak;Son, Yeong-Mo;Kim, Rae-Hyun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5호
    • /
    • pp.726-735
    • /
    • 2010
  • Publications with the data on allometric equation, biomass and productivity of major oak forests in Korea were reviewed. Different allometric equations of major oak species showed site- or speciesspecific dependences. The biomass of major oak forests varied with age, dominant species, and location. Aboveground tree biomass over the different oak species was expressed as a power equation of the stand age. The proportion of tree component (stem, branch and leaf) to total aboveground biomass differed among oak species, however, biomass ranked stem > branch > leaf in general. The leaf biomass allocation over the different oak species was expressed as a power equation of total aboveground biomass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patterns of biomass allocation from stem and branch to the aboveground biomass. Tree root biomass continuously increased with the aboveground biomass for the major oak fores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ot to shoot ratio and the aboveground tree biomass was expressed by a logarithmic equation for major oak forests in Korea. Thirteen sets of data were used for estimating the net primary production (NPP) and net ecosystem production (NEP) of oak forests. The mean NPP and NEP across different oak forests was 10.2 and 1.9 Mg C $ha^{-1}year^{-1}$. The results in biomass allocation, NPP and NEP generally make Korean oak forests an important carbon sinks.

포항 지역의 상수리나무 천연림 생태계의 물질생산에 관한 연구 (Biomass and Net Primary Production of Quercus acutissima Natural Forest Ecosystems in Pohang)

  • 박관수;권기원;송호경
    • 임산에너지
    • /
    • 제21권1호
    • /
    • pp.25-31
    • /
    • 2002
  • 경상북도 포항 지역에서 생육하는 평균 수령 37년생 상수리나무 천연림 생태계의 지상부 현존생물량 및 연순생산량을 분석하기 위해 2001년 8월에 총 10주의 표본목을 선정 벌목하였다. 수식 Wt=aD/sup b/ 를 사용하여 추정한 지상부 총 현존생물량은 115.47ton/ha으로 나타났다. 부위별 구성비는 수간목부 63.9%, 생지부 19.8%, 수피 14.0%, 그리고 잎 1.2%의 순으로 높았다. 총 연순생산량은 7.89ton/ha이었으며, 부위별 구성비는 현존생물량의 경우와는 다르게 수간목부, 수피, 생지부, 그리고 잎의 순 이었다.

  • PDF

Allometric equations, stem density and biomass expansion factors for Cryptomeria japonica in Mount Halla, Jeju Island, Korea

  • Jung, Sung Cheol;Lumbres, Roscinto Ian C.;Won, Hyun Kyu;Seo, Yeon 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7권4호
    • /
    • pp.177-184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llometric equations and to determine the stem density and biomass expansion factor (BEF) for the estimation of the aboveground and belowground biomass of Cryptomeria japonica in Jeju Island, Korea. A total of 18 trees were harvested from the 40-year-old C. japonica stands in Hannam experimental forest, Jeju Island. The mean biomass of the C. japonica was $50.4Mg\;ha^{-1}$ in stem wood, $23.1Mg\;ha^{-1}$ in root, $9.6Mg\;ha^{-1}$ in branch, $4.6Mg\;ha^{-1}$ in needle and $4.3Mg\;ha^{-1}$ in stem bark. The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was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 for the development of allometric equation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se equations,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and root mean square error (RMSE) were used and results of the evaluation showed that $R^2$ ranged from 71% (root biomass equation) to 96% (aboveground biomass equation) and the RMSE ranged from 0.10 (aboveground biomass equation) to 0.33 (root biomass equation). The mean stem density of C. japonica was $0.37g\;cm^{-3}$ and the mean aboveground BEF was $1.28g\;g^{-1}$. Furthermore, the ratio of the root biomass to aboveground biomass was 0.32.

하천연변에 식재된 3년생 포플러 클론의 지상부 biomass의 질소 저장능력 추정추정 (Nitrogen Storage Potential in Aboveground Biomass of Three-year-old Poplar Clones in a Riparian Area)

  • 여진기;이원우;구영본;우관수;변재경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3호
    • /
    • pp.15-21
    • /
    • 2010
  • 수변완충림으로 조성된 3년생 포플러 4클론에 대하여 biomass 생산능력과 주요 비점오염원 중 하나인 질소의 저장능력을 조사하였다. 현사시 72-31 및 미루나무 교잡종 Dorskamp 클론의 지상부 biomass 구성 비율은 줄기, 가지, 잎의 순으로 높았으며, 잎과 가지의 비율은 두 클론간에 차이를 보였다. 지상부 biomass의 질소 함량은 잎, 가지, 줄기의 순으로 높았고 72-31 클론의 잎과 가지의 질 소함량은 Dorskamp에 비해 높았으나 줄기의 질소 함량은 낮게 나타났다. 3년생 Ay48 클론의 지상부 biomass 추정량은 $37.5ton{\cdot}ha^{-1}$ 로 가장 높았으며, 72-31 클론이 가장 낮았다. 3년생 포플러 클론의 지상부 biomass의 질소 저장능력은 biomass 생산량의 순위와 일치하였다. 지상부 biomass 생산능력이 가장 우수한 3년생 Ay48 클론은 $218.3kg{\cdot}ha^{-1}$의 질소를 지상부 biomass에 저장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공주(公州), 포항(浦港), 그리고 양양(襄陽) 지역(地域) 굴참나무 천연림(天然林) 생태계(生態系)의 물질생산(物質生産)에 관(關)한 연구(硏究) (Biomass and Net Primary Production of Quercus variabilis Natural Forest Ecosystems in Gongju, Pohang, and Yangyang Areas)

  • 박관수;이승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6호
    • /
    • pp.692-698
    • /
    • 2001
  • 충청남도 공주, 경상북도 포항, 그리고 강원도 양양 지역에서 생육하는 평균수령 41년, 45년, 그리고 54년생 굴참나무 천연림 생태계의 지상부 현존생물량 및 연순생산량을 추정하기 위해 2000년 7-8월에 각 지역별 10주씩 총 30주의 표본목을 선정 벌목하였다. 수식 $Wt=aD^b$를 사용하여 추정한 지상부 총 현존생물량은 공주지역에서 91.31ton/ha, 포항지역에서 207.6ton/ha, 그리고 양양지역에서 71.39ton/ha으로 나타났다. 포항지역에서의 현존생물량 207.6ton/ha은 국내에서 보고된 굴참나무림의 현존생물량 중 가장 높은 값을 보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부위별 구성비는 모든 조사지역에서 수간목부, 수피, 생지부, 그리고 잎의 순으로 높았다. 총 연순생산량은 공주지역 7.81ton/ha, 포항 11.5ton/ha, 그리고, 양양 6.40ton/ha으로 포항지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른 조사 지역에 비해 평균 연령이 비슷하거나 낮았던 포항지역에서 지상부 현존생물량이 최소 2배 이상 높게 나타난 것은 조사지역간 기후특성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양돈분뇨 처리에 따른 수목의 질소저장 및 지상부 바이오매스 추정 (Estimation of Nitrogen Storage Potential and Aboveground Biomass of Tree Species Treated with Liquid Pig Manure)

  • 김현철;여진기;신한나;이헌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4호
    • /
    • pp.715-721
    • /
    • 2011
  • 본 연구는 시험림에 양돈분뇨를 처리하여 수목의 지상부 biomass 및 질소저장 능력을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공시수종은 8개의 포플러(Dorskamp, 72-30, 72-31, Bonghwa1, Eco28, 62-10, Suwon, 97-18) 및 버드나무 클론(131-27) 그리고 기타 4수종(Liriodendron tulipifera L.,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Hu and W.C.Cheng, Quercus palustris $M{\ddot{u}}nchh.$, Acer okamotoanum Nakai)이다. 지상부 biomass 구성 비율은 줄기, 가지, 잎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지상부 biomass의 부위별 질소함량은 잎, 가지, 줄기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지상부 biomass 생산량은 양돈분뇨 처리구의 모든 수종 및 클론들이 평균 ha당 30 ton, 무처리구가 ha당 16 ton으로 나타나 양돈분뇨 처리구가 높았으며 양돈분뇨 처리구에서 Dorskamp 클론의 지상부 biomass 생산량이 ha당 48.3 ton으로 가장 높았다. 수목의 질소저장 능력은 양돈분뇨 처리구의 모든 수종 및 클론들이 평균 ha당 159 kg, 무처리구가 ha당 90 kg으로 나타나 양돈분뇨를 처리한 수종들의 질소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Dorskamp 클론이 ha당 286.5 kg의 질소를 저장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Dorskamp 클론이 양돈분뇨 처리에 적합한 클론으로 나타났지만 양돈분뇨에 대한 내성 및 피해 등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Study on Aboveground Biomass of Pinus sylvesris var. mongolica Plantation Forest in Northeast China Based on Prediction Equations

  • Jia, Weiwei;Li, Lu;Li, Fengri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8권2호
    • /
    • pp.68-74
    • /
    • 2012
  • A total of 45 Pinus sylvestnis var. mongolica trees from 9 plots in northeast China were destructively sampled to develop aboveground prediction equations for inventory application. Sampling plots covered a range of stand ages (12-47-years-old) and densities (450-3,840/ha). The distribution of aboveground biomass of whole-trees and tree component (stems, branches and leaves) of individual trees were studied and 4 equations were developed as functions of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total height (HT). All the equations have good estimation effect with high prediction precision over 90%. Forest biomass was estimated based on the individual biomass prediction equations. It was found forest biomass of all organs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of stand age and density. And the period of 45-50 years was the suitable harvest time for Pinus sylvesris plantation.

충주지역(忠州地域)의 자작나무와 가래나무 조림지(造林地)의 물질생산(物質生産)에 관(關)한 연구(硏究) (Biomass and Net Primary Production of Betula platyphylla and Juglans mandshurica Plantations in Chungju Area)

  • 박관수;송호경;권기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2호
    • /
    • pp.249-255
    • /
    • 2000
  • 충청북도 충주지역에서 식재된 22년생 자작나무와 24년생 가래나무 인공림의 지상부 현존생물량 및 연순생산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임분별 9주씩 총 18주의 표본목을 선정 벌목하였다. 수식 $Wt=aD^b$를 사용하여 추정한 자작나무와 가래나무의 지상부 총 현존생물량은 자작나무림에서 79.33t/ha와 가래나우림에서 67.47t/ha으로 가래나무림보다 연령이 작은 자작나무림에서 높은 현존생물량을 보였다. 부위별 구성비는 자작나무림과 가래나무림 모두에서 수간목질부, 가지, 수피, 그리고 잎의 순으로 높았다. 총 연순생산량은 자작나무림이 9.92t/ha, 가래나무림이 11.79t/ha으로 총 현존생물량이 많았던 자작나무림보다 가래나무림에서 높게 나다났는데, 이 결과는 잎을 제외한 수간목질부, 수피, 소지 그리고 가지에서의 연순생산량이 가래나무림에서 높았기 때문이다.

  • PDF

강원도(江原道) 지방(地方) 잣나무 인공림(人工林)의 임령변화(林齡變化)에 따른 지상부(地上部) 현존량(現存量)과 양분축적(養分蓄積) (Changes in Aboveground Biomass and Nutrient Accumulation of the Korean-pine (Pinus koraiensis) Plantation by Stand Age at kangwondo Province)

  • 이명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2호
    • /
    • pp.276-285
    • /
    • 1998
  • 강원대학교 연습림 내에서 지위지수가 13.5-14.2인 입지조건에서 생육하는 임령 9년에서 66년까지 임령이 서로 다른 잣나무 인공식재림에 대하여 지상부 현존량과 양분량(질소, 인, 칼륨, 칼슘, 마그네슘)을 측정했다. 지상부 잣나무의 현존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줄기, 가지 및 잎의 건조중량과 흉고직경 간의 상대성장식 (logY=alogX+b, Y는 각 기관의 건조중량, X는 흉고직경)을 구하였다. 지상부 잣나무의 전체 현존량은 9년생 임분의 $21.8t\;ha^{-1}$에서 66년생 임분은 $130t\;ha^{-1}$으로 임령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지상부 잣나무 현존량은 가지의 현존량보다 잎의 현존량이 더 큰 9년생 임분을 제외하면, 줄기>가지>잎의 순서로 분배되어 있었다. 임령이 높아짐에 따라 줄기의 현존량은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하층식생의 현존량은 목본과 초본이 각각 $0.4-3.9t\;ha^{-1}$$0.05-0.6t\;ha^{-1}$였으며, 잣나무림의 임령과의 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고사목질부 유기물과 임상유기물은 각각 $0.59-1.54t\;ha^{-1}$$6.0-21.63t\;ha^{-1}$였다. 잣나무 지상부의 양분축척은 임령이 높아짐에 따리 증가하였으며, 질소>칼슘>칼륨>인>마그네슘의 순서였다. 평균 양분축적율은 임분의 초기 발달과정에서 가장 컸으며 임령의 증가와 함께 낮아졌다. 각 기관별로 양분농도는 잎>가지>줄기 순서였다. 임상유기물과 광질토양의 양분함량은 임령과의 상관이 없었다. 하층의 식생은 잣나무림의 양분 저장소로서의 역할이 작았다. 광질토양은 잣나무림의 계내 여러 구성요소 중에서 가장 큰 양분원이었다.

  • PDF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조림지(落葉松造林地)의 지상부(地上部) 양분분포(養分分布) 특성(特性) (Aboveground Nutrient Distribution in Pitch Pine (Pinus rigida) and Japanese Larch (Larix leptolepis) Plantations)

  • 김춘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2호
    • /
    • pp.266-272
    • /
    • 1999
  • 경기도 광릉의 중부임업시험장내 31년생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조림지를 대상으로 임분별 3개의 $20{\times}10m$ 조사구를 선정하고 각 조사구로부터 1본씩 표본목을 선정한 후 벌도하여 지상부 현존량을 측정하고 각 부위별 양분분포를 조사하였다. 조사된 임분의 지상부 현존량은 리기다소나무의 경우 170.2ton/ha, 낙엽송은 87.2ton/ha로서 리기다소나무 임분이 낙엽송 임분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두 임분의 현존량의 차이는 임분 밀도의 차가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각 부위별 현존량 분배율은 줄기>가지>수피>잎 순이었으며, 각 부위별 조직내 양분농도는 낙엽송이 리기다소나무에 비해 높았고, 두 임분 모두 잎>가지>수피>줄기 순으로 양분농도에 차이가 있었다. 양분 축적량은 리기다소나무 임분이 질소 335.9kg/ha, 칼슘 188.6kg/ha, 칼륨 121.4kg/ha, 마그네슘 93.8kg/ha, 인산 40.4kg/ha 순이었으며 낙엽송 임분은 질소 225kg/ha, 칼슘 75.7kg/ha, 칼륨 72.9kg/ha, 마그네슘 37.1kg/ha, 인산 11.5kg/ha으로 리기다소나무 임분에서 양분 축적량이 높게 나타났다. 양분에 대한 지상부 현존량의 비로 표시되는 양분이용효율중 질소이용효율은 낙엽송 임분이 리기다소나무 임분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리기다소나무가 낙엽송에 비해 척박지에서 더 잘 견딜 수 있는 임목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