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dominal aorta

검색결과 229건 처리시간 0.03초

급성 Type A 대동맥 박리에서 내막 파열의 위치에 따른 수술 성적의 분석 (Clinical Analysis of the Operative Results of the Type A Aortic Dissec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Intimal Tear)

  • 김혁;정기천;지행옥;강정호;정원상;이철범;전순호;김영학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6호
    • /
    • pp.517-523
    • /
    • 2004
  • 배경: 급성 type A 대동맥 박리에서 내막 파열의 위치는 다양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막 파열의 위치에 따른 수술 성적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3년 5월까지 급성 type A 대동맥 박리로 수술받은 18명의 환자에서 내막 파열이 상행대동맥에 존재했던 경우(Group I, 11명)와 대동맥궁이나 하행대동맥에 위치하거나 대동맥 벽 내 혈종 (intramural hematoma)만이 있었던 경우(Group II, 7명)로 나누어 술 전, 술 중 소견, 수술 방법, 합병증, 사망 원인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시간, 체외순환 시간, 대동맥 차단 시간 및 순환 정지 시간은 Group I에서 각각 381.5$\pm$81.0분, 223.5$\pm$42.5분, 146.4$\pm$34.8 분, 36.5$\pm$17.4분이었고, Group II에서는 각각 461.7$\pm$54.0분, 252.5$\pm$45.3분, 162.5$\pm$45.3분, 47.0$\pm$14.4분으로 Group II에서 더 길었다. 전체적으로 5명이 사망하여 27.8%(5/18)의 사망률을 나타냈으며 Group I에서는 9.1% (1/11), Group II에서는 57.1% (4/7)로 Group II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03). 사망 원인으로는 출혈이 Group I에서 1명, Group II에서 2명, 저심박출 및 다발성 장기 기능 부전 1명, 술 후 복부대동맥 파열 1명이었다. 결론: 내막 파열이 상행 대동맥에 존재하는 type A 대동맥 박리에서의 수술 사망률은 크게 높지 않으나 내막 파열이 대동맥궁부 또는 하행대동맥에 위치했을 때 상행대동맥만을 대치한 경우 아직 높은 사망률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향후 수술 성적의 향상을 위해서는 내막 파열 부위를 수술 범위에 포함시키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복부대동맥류 환자에서의 수술 후 사망의 위험인자 분석 (The Risk Factors Influencing the Postoperative Mortality of the Patients with an Abdominal Aortic Aneurysm)

  • 이성광;전희재;박경택;윤영철;한일용;이양행;조광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6호
    • /
    • pp.655-662
    • /
    • 2010
  • 배경: 최근에 경피적 대동맥 스텐트 삽입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외과적 수술이 감소하고는 있으나, 여전히 근치를 위한 치료로 인정되고 있다. 저자들은 지난 6년 8개월간 시행한 복부 대동맥류의 수술성적 및 그 예후에 미치는 영향인자에 대해 분석하여 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5월부터 2005년 6월까지, 2007년 4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복부 대동맥류로 수술 받은 환자 3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의 적응은 파열, 60 mm 이상의 최대직경, 내과적으로 조절 안되는 고혈압이나 통증이 있는 경우 등이었다. 결과: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69.67{\pm}6.97$세 (57~84세)였고, 남자가 32명(89.2%), 여자가 4명 (10.8%)이었다 신동맥 하부부터 장골동맥 위까지 진행된 경우는 8명(22.2%), 장골동맥까지 진행된 경우는 28명(77.8%)이었다. 진단 당시 대동맥이 파열되어 있었던 환자들은 13명(36.l%)이었다. 대동맥의 평균 최대직경은 $73.7{\pm}13.3 mm$ (60~100 mm)였다. 수술은 대부분 정중 복부절개를 통한 복강 내 접근으로 시행하였고, 응급수술은 10명의 환자(27.8%)에서 시행하였다. 전체 환자 중 3명이 사망하여 전체 사망률은 8.3%였고, 파열된 환자의 사망률은 23.1%, 파열되지 않은 환자의 사망률은 0%였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는 창상감염 3예, 패혈증 2예, 신부전 2예, 폐렴 1예씩 있었다. 사망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는 수술 전 불안정한 활력징후 수혈, 또는 실신이 있었던 경우, 과거력 상 당뇨병이 있는 경우, 동맥류가 파열된 경우와 응급수술 등이 있으며, 합병증 중 패혈증, 신부전이 발생한 경우와 술중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경우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었다(p<0.05). 결론: 파열된 복부대동맥류에 대한 응급수술은 여전히 높은 사망률을 보이나, 파열되지 않은 복부대동맥류의 수술은 비교적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다. 비록 경피적 대동맥 스탠트 삽입술이 최근의 치료 경향이나 파열되지 않은 동맥류의 계획된 수술은 시술과 관련된 부작용이나 반복된 검사의 불편함을 줄이고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가와사끼병에서 복부 대동맥의 물리적 특성의 임상적 의의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abdominal aorta in Kawasaki disease)

  • 김미진;이상윤;김용범;길홍량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9호
    • /
    • pp.1012-1017
    • /
    • 2008
  • 목 적 : 가와사끼병은 회복기나 사춘기와 성인기에 정상인보다 동맥경화의 위험성이 크다고 알려져 있어 이에 대한 조기진단과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이에 저자들은 가와사끼병을 앓은 학동기나 학동전기 아동을 대상으로 복부대동맥의 신전성과 동맥경화의 조기예측인자인 지질 성분과 혈액학적 염증 지표들을 조사하여 가와사끼병의 장기 관리의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충남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1998년 6월부터 2005년 3월까지 가와사끼병으로 치료받았던 28명을 관상동맥병변이 지속되고 있는 8명(1군)과 관상동맥병변이 없었던 20명(2군)으로 나누어 조사하였고, 가와사끼병이 있는 군과 연령, 체중, 신장이 일치하는 건강한 소아 30명을 대조군(3군)으로 하였다. 지질 성분과 혈액학적 염증지표를 측정하였고, 혈압은 자동혈압계를 이용하여 앙와위에서 15분 안정 후 3회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구하였다. 심장초음파검사는 심실기능과 관상동맥병변 등을 조사하였으며 복부의 subxiphoid long axis view에서 복부 대동맥의 최대 수축기 직경과 최소 이완기직경을 측정하였다. 결 과 : 호모시스테인은 환자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P=0.008)가 있었으나 지질성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복부대동맥의 경직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Ep, $Ep^*$는 대조군에 비해 환자군에서 유의(P<0.05)하게 증가되었으며, 관상동맥병변의 유무에 따라 비교해 보면 관상동맥병변이 있는 군(1군)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관상동맥병변이 없는 군(2군)은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1군과 2군을 비교해 보았을 때 Ep, $Ep^*$이 1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해 있었다. 결 론 : 가와사끼병을 앓은 후 조기동맥경화의 변화는 학동기에도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관상동맥병변이 있는 환자에서 더욱 현저하다. 이에 대한 선별검사로 성인에서 이용되고 있는 동맥경화의 조기예측인자인 지질 성분과 혈액학적 염증지표들 및 혈관의 물리적 특성(PWV, FMD) 이외에도 복부 대동맥경직도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선천성 낭성 폐질환의 외과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congenital cystic lung disease -Report of 47 cases-)

  • 문석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3권4호
    • /
    • pp.698-706
    • /
    • 1990
  • Congenital Cystic Lung Disease is a spectrum of closed related anomalies that arise during an early stage of embryonic lung bud maturation-namely bronchogenic cyst, congenital lobar emphysema, pulmonary sequestration and congenital cystic adenomatoid malformation. And they show similar surgical strategies. So they are called as the term bronchopulmonary-foregut malformations, firstly proposed by Gerle[1968]. From Aug. 1979 to Aug 1989, 47 patients were operated upon on Dept. of Thoracic & Cardiovascular Surgery at the CUMC. There were 21 females and 26 males ranging in age from age of 21 day to age of 56 year [15 cases under 15 years old]. 30 patients had bronchogenic cysts - 23 of intrapulmonary type, 7 of mediastinal type in location. Affected lobes and locations were as follows: 11 in upper lobe, 3 in middle lobe, 11 in lower lobe and anterosuperior, middle, and posterior mediastinal type were 3, 2, 2 respectively. There were 9 pulmonary sequestrations[all intralobar type] with the distribution of 5 in right lower lobe and 4 in left lower lobe. And associated anomalies were presented with arterial supply originating from thoracic aorta[8 cases], abdominal aorta[1 case] and with venous drainage into azygos vein[1 case]. They all were operated upon lower lobectomy [8 case], pneumonectomy[1 case] in case of pulmonary hypoplasia Congenital lobar emphysema and congenital cystic adenomatoid malformation had 4 cases respectively. Their affected lobes were as follows: the former were 3 in upper lobes, 1 in middle lobe and the latter were 3 in upper lobe, 1 in lower lobe. They were treated with lobectomy and segmentectomy. Diagnosis was aided by chest X - ray, bronchography, aortography, DSA and CT scan, They all were confirmed by pathologic exams. There were no hospital death but few minor morbidities such as, atelectasis-pneumonia[2], wound infection[2], prolonged chest tube placement[2]. We experienced surgical treatments of 47 cases for 10 years and reported them with literature review.

  • PDF

Aortic valve replacement surgery for a case of infantile Takayasu arteritis

  • Kwon, Hye-Won;Suh, Yoon-Jung;Bang, Ji-Seok;Kwon, Bo-Sang;Kim, Gi-Beom;Bae, Eun-Jung;Kim, Woong-Han;Noh, Chung-Il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5권7호
    • /
    • pp.254-258
    • /
    • 2012
  • Takayasu arteritis is a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of unknown etiology primarily affecting the aorta and its major branches and usually occurring in the second or third decade of life. Here, we report a case of Takayasu arteritis in a 10-month-old patient. The infant presented with signs of congestive heart failure and severe aortic regurgitation. Echocardiography and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showed an abnormally dilated thoracic and abdominal aorta. The infant was initially treated with prednisolone, followed by commissuroplasty of the aortic valve but neither approach ameliorated the heart failure. The patient was eventually treated with a mechanical aortic valve replacement surgery at the age of 12 months, and her condition stabilized. Although unusual, this case indicates that the diagnosis of Takayasu arteritis should be considered in children with unexplained systemic symptoms, aortic valve regurgitation, and heart failure. Because severe aortic regurgitation may be a fatal complication of Takayasu arteritis, early aortic valve replacement surgery should be considered, even in very young children.

비글견의 간 CT 혈관조영상에서의 Iopamidol과 Iopromide, Iohexol 조명제의 비교실험 (A Comparison of Iopamidol with Iopromide and Iohexol Contrast Media in Hepatic CT Angiography in Beagle Dogs)

  • 정유철;임창윤;김경민;이성옥;정주현;장진화;오선경;송경진;윤정희;최민철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29-13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compare the clinical efficacy of iopamidol and iopromide, iohexol nonionic contrast media in terms of their image quality in Beagle dogs with hepatic CT angiography and their application in veterinary clinics. With 9 Beagle dogs, contrast media of iopamidol (pamiray-$300^(R)$) and iopromide (ultravist-$300^(R)$, iohexol (omnipaque-$300^(R)$) were induced intravenously (600 mg I/kg, BW) and CT angiography was done under general anesthesia. CT scan included scout, pre-contrast and cine examinations. During CT angiography, peak HU (Hounsfield unit) and peak time were examined on each site (ROI; region of interest) of the aorta, caudal vena cava, potral vein and liver parenchyma. Any side effects were also examined. After experiment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of HU and maximal enhancing time of each ROIs of aorta, caudal vena cava, portal vein and liver parenchyma between these contrast media. And any side effects were not noted. So it is concluded that iopamidol has similiar contrast enhancement like as iopromide and iohexol in hepatic angiography and and it is thought to be useful for evaluation of the abdominal organs by CT scan in veterinary clinics.

좌위동맥으로부터 공급받는 폐결리증 1예 (A Case of Pulmonary Sequestration Supplied with Left Gastric Artery)

  • 강지향;이공섭;이창선;최현주;홍종서;고영민;이재용;이은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4호
    • /
    • pp.550-555
    • /
    • 2000
  • 폐격리증은 비정상적으로 발생한 폐조직과 이상동맥에 의해 형성된 선천성 질환으로 비교적 드문질환이다. 폐격리증에서 이상동맥의 해부학적 위치는 수술합병증의 발생에 매우 중요하다. 저자들은 객혈을 주소로 내원한 61세 남자환자에서 대동맥촬영상 좌위동맥에서 기시하는 비비꼬인 형태의 이상동맥에 의해 공급받는 폐격리증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개에서 발생한 전신 순환계의 심장사상충 이소기생 증례 (A Case of Canine Ectopic Parasitism of Heartworm in the Systemic Circulation)

  • 장효미;이희천;정동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47-351
    • /
    • 2015
  • 3세의 암컷 닥스훈트견이 뒷다리의 부전마비와 사지냉감을 주증으로 본원에 내원하였고 진단을 위해 병력청취, 신체검사, 신경계 검사 및 혈액검사를 실시하였다. 복부 및 심장 초음파 검사 결과, 심장사상충의 성충으로 의심되는 소견이 정상 기생부위 이외의 장소에서 관찰되었다. 효소면역측정법을 이용한 심장사상충 항원 키트 검사 결과 양성반응이 확인되었다. 환자는 입원 당일 혼수상태에 빠져 보호자의 요청으로 안락사 되었다. 보호자의 동의 하에서 실시된 사후 부검 결과 심장의 4방과 대동맥, 복대동맥 및 엉덩동맥에서 높은 충체 부하의 심장사상충 성충이 확인되었으며, 이로 인한 다량의 전신성 혈전색전증 또한 관찰되었다. 본 증례에서는 전신 순환계로의 개 심장사상충 이소기생의 임상적 특징과 진단 영상 및 사후 부검 결과를 소개하였다.

동맥경화증이 유발된 $ApoE^{(-/-)}$ mouse에서 소풍활혈탕(疎風活血湯)과 Clopidogrel의 병용투여 효과에 대한 연구 (Effects of Concurrent Administration of Sopunghwalhyeol-tang and Clopidogrel on Atherosclerosis in the $ApoE^{(-/-)}$ Mouse)

  • 이범준;오세춘;김영찬;이정숙;강덕희;이우경;이영일;류재환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24-135
    • /
    • 2010
  • Background and Objective: Atherosclerosis is a diffuse, systemic disease that affects the coronary, cerebral, and peripheral arterial trees. Clopidogrel is widely used antiplatelet agent and its efficacy has been proven in cardiac and extracardiac vascular diseases, but it has several side effects. Therefore we investigated whether Sopunghwalhyeoltang, which is widely used for treating the blood stasis syndrome in traditional medicine, could decrease the side effect of antiplatelets and have a synergic effect. Methods & Materials: Male $ApoE^{(-/-)}$ mice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experimental groups, non-treated group (Control group), clopidogrel-treated group (CP group) and clopidogrel with Sopunghwalhyeol-tang treated group (CPS group). The control group was fed with only an atherogenic diet, the CP group an atherogenic diet plus clopidogrel 25mg/kg and the CPS group an atherogenic diet plus clopidogrel 25mg/kg with Sopunghwalhyeol-tang 100 mg/kg. We investigated plasma lipids with liver function test, and performed a histological investigation of liver and abdominal aorta. Results: 1. Photomicrographs of liver and abdominal aorta tissue showed lower histological injury and lipid accumulation in the CP and CPS groups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2. In the CPS group, plasma triglyceride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Control and CP groups. 3. In the CPS group, the plasma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CP group. Conclusions: The above results shows that a combined treatment of Sopunghwalhyeol-tang and clopidogrel have a synergic effect through inhibiting vessel injury and decrease the side effects of clopidogrel alone.

Clinical Outcomes of Surgical Repair with a Composite Graft for Abdominal Aortic Aneurysm Accompanied by Iliac Artery Aneurysm

  • Sohn, Bongyeon;Kim, Hak Ju;Chang, Hyoung Woo;Lee, Jae Hang;Kim, Dong Jung;Kim, Jun Sung;Lim, Cheong;Park, Kay Hyu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3권6호
    • /
    • pp.339-345
    • /
    • 2020
  • Background: Iliac artery aneurysm is frequently found in patients undergoing surgical repair of an abdominal aortic aneurysm. The use of commercial bifurcated grafts is insufficient for aorto-biiliac replacement with complete iliac artery aneurysm resection. We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handmade composite grafts for this purpose. Methods: A total of 233 patients underwent open surgery for abdominal aortic aneurysm between 2003 and 2019, including 155 patients (67%) treated with commercial grafts and 78 patients (33%) treated with handmade composite grafts. Their operative characteristics, postoperative outcomes, and late outcome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Results: The early mortality rat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groups. On average, the handmade composite graft technique took approximately 15 minutes longer than the commercial graft technique (p=0.037). Among patients who underwent elective surgery,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nventional and composite groups were observed in the major outcomes, including red blood cell transfusion volume (2.8±4.7 units vs. 3.1±4.7 units, respectively; p=0.680), reoperation for bleeding (2.7% vs. 3.1%, respectively; p>0.999), bowel ischemia (0% vs. 1.6%, respectively; p=0.364), and intensive care unit stay duration (1.9±6.6 days vs. 1.6±2.4 days, respectively; p=0.680). The incidence of target vessel occlusion also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groups. Conclusion: The increased technical demand involved with handmade composite grafting did not negatively impact the outcomes. This technique may be a viable option because it overcomes problems associated with commercial graf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