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dominal Pressure Belt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45초

The Study of the Influence of Intra-Abdominal Pressure to Manual Materials Handling

  • Woo, Tsun-Yu
    • Industrial Engineering and Management Systems
    • /
    • 제7권1호
    • /
    • pp.90-98
    • /
    • 2008
  • This research selects the lifting task to be the main subject. Four experiments were designed to measure which among lifting postures, lifting heights, waist-belt, and breathing control significantly influences intra-abdominal pressure (Gallagher, 1991; Lavender, Andersson and Natarajan, 1999).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taken to be the recommendations of the manual materials handling work design. The research findings reveal that the symmetrical stoop posture is the most significant to the intra-abdominal pressure within all lifting postures. When the lifting height is increased, the intra-abdominal pressure produced relatively goes up. Also, the combination of symmetrical stoop posture, waist-belt use, and inspiration and holding at the same time is the most efficient in carrying out lifting tasks. Simultaneously, the research discovers that for any posture, the volume of the intra-abdominal pressure is much bigger when using the waist-belt compared to when it is not used. Therefore, the waist-belt design for the lifting works might be the future research approach.

The Effect of Abdominal-Compression Belt on Balance Ability with One Leg Standing

  • Chang, Ki-Yeon;Chon, Seung-Chul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37-343
    • /
    • 2012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bdominal-compression belt in one leg standing on balance in normal adult. Background: With the effects of increased intra-abdominal pressure, the abdominal-compression belt is contributing to a static balance control. However, specific study is still insufficient. Method: Forty subjec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two groups: control(n=20) and experimental group(n=20),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group used an abdominal-compression belt, whereas the control group did not that. All subjects were educated using pressure biofeedback unit and ultrasound imaging for exact application by abdominal-compression belt. Main outcome measurement was used a general stability index, fourier harmony index, weight distribution index, and fall index in tetrax balance system. Results: Experimental group improved significantly on general stability, only 2 factors(eyes closed with head turned forward and eyes closed with head turned backward) among fourier harmony index, and fall index, However, weight distribution index did not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application of abdominal-compression belt could be effective on improving balance ability in one leg standing of normal adults. Application: The results of the abdominal-compression belt might help to control balance in workers.

한 발 서기 시 복부 압박 벨트가 요통 환자의 정적 균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bdominal Compression Belt on Static Balance During One Leg Standing in Low Back Pain Patients)

  • 주화평;최솔아;정다혜;한나린;우영근
    • PNF and Movement
    • /
    • 제15권3호
    • /
    • pp.353-360
    • /
    • 2017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measure static balance of low back pain patients while one-leg standing in abdominal compression belts. Methods: The study included 40 adult males and females at J university, divided into a low back pain patient group and a normal group through the Oswestry disability questionnaire (ODQ). The subjects were instructed to hold a one-leg standing posture for 15 seconds on a balance measurement plate while wearing an abdominal compression belt. Shifting distance (0.1 cm), mean velocity (cm/s), pressure, and contact area were analyzed using BioRescue (BioRescue, RMINGEIEIRIE, Rodez, France). The average value was used to measure the result 3 times for each condition. Results: Both normal and low back pain group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speed of sway while wearing the abdominal compression belt. Furthermore, the pressure of the center of motion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low back pain groups while wearing abdominal compression belt.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peed of sway or the pressure of center of motion between groups after wearing the abdominal pressure belt.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bdominal compression belts are one option for improving balance temporarily. However, balance after wearing abdominal compression vests depends on onset of back pain, age, and symptoms of pain in the groups with low back pain.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muscle activity, dynamic balance, and the effect of the period of wearing abdominal compression belts in the variety of low back pain patients.

뇌졸중 환자에게 복부압박벨트 적용이 폐 기능, 균형 및 보행 능력에 미치는 즉각적인 영향 (The Immediate Effects of Abdominal Pressure Belt on Pulmonary Function, Balance and Gait Ability in Stroke Patients)

  • 임규리;고현정;강지현;오다운;박신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76-18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복부압박벨트가 뇌졸중 환자의 폐 기능, 균형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즉각적으로 알아보고자 함이다. 20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복부압박벨트 착용 전에 폐기능, 압력중심, 버그균형검사, 일어서서 걷기 검사, 10m 보행, 기능적 보행검사를 실시하였다. 복부압박벨트를 착용한 직후에 사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복부압박벨트를 착용하였을 때 노력성 폐활량과 1초간 노력성 날숨 유량을 제외한 모든 결과값이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뇌졸중 환자가 복부압박벨트를 착용하였을 때 균형과 보행 능력의 증가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폐 기능을 개선시키기 위해 압박 수준과 자세 변경과 같은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복부압박벨트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에 즉각적으로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Immediate Effects of Abdominal Pressure Belt on Limited of Stability and Gait Parameter in Patients after Chronic Stroke: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 박신준;조균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63-69
    • /
    • 2020
  • 본 연구는 복부압박벨트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안정성한계와 보행 변수에 즉각적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뇌졸중 환자 30명을 모집하여 복부압박벨트 착용 전과 복부압박벨트 착용 후 변화를 확인하였다. 측정은 균형변수인 안정성한계(limited of stability), 시공간적 보행 변수(spatiotemporal gait parameter)를 측정하였다. 복부압박벨트 착용 후 마비측, 비마비측, 전방, 후방 이동면적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시간적 보행 변수인 분속수(cadence), 보행속도(gait velocity), 공간적 보행변수인 보폭(stride length)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본 연구를 통해 복부압박벨트 착용은 뇌졸중 환자에게 균형과 보행 기능 개선에 즉각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 기능 개선에 효율적인 복부압박 수준과 중재기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Effects of Lower Rib Expansion Limitation on Maximal Respiratory Pressure and Abdominal Muscle Activity During Maximal Breathing in Healthy Subjects

  • Lee, Gyu-wan;Yoon, Tae-Lim;Lee, Young-jung;Kim, Ki-song;Yi, Chung-hwi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32권6호
    • /
    • pp.394-399
    • /
    • 2020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lower rib cage lateral expansion limitation on the maximal inspiratory and expiratory pressures and on abdominal muscle activity during maximal respiratory breathing in healthy subjects. Methods: Fifteen healthy male subject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cross-sectional study. During maximal breathing, maximal inspiratory and expiratory pressures were measured, and abdominal muscle activity was determined with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 Also, the measurement was repeated with using a non-elastic belt to the lower rib cage for limiting of lateral expansion. A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performed for obtaining the statistical difference with a significance level of 0.05. Resul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ximal inspiratory and expiratory pressure with and without lower rib cage lateral expansion (p>0.05),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bdominal muscle activity during the maximal inspiratory phase (p>0.05). However, right external oblique muscle activity decreased significantly during maximum exhalation with lower rib expansion limitation (p<0.05).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indicate that a non-elastic belt was effective in decreasing right external oblique muscle activity during forced expiratory breathing in healthy subjects.

스트레치 센서를 활용한 EMS 복압벨트가 호흡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EMS Ventilation Belt Using Stretch Sensor Effect on Respiratory Activation)

  • 김대연;박진희;김주용
    • 감성과학
    • /
    • 제24권4호
    • /
    • pp.69-78
    • /
    • 2021
  • 요즘은 건강을 위한 스마트 헬스 케어 웨어러블의 개발이 가속화되는 시대이다. 그 중 활발한 연구 분야 중 하나인 EMS 전기자극을 활용한 웨어러블 제품이 많이 출시되었다. 하지만 연구되거나 출시되어있는 EMS 웨어러블은 근육의 세분화에 집중하지 못한 포괄적인 전신 슈트나 복부 전체를 덮는 벨트 형식으로 출시되어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정 근육을 세분화시킨 EMS 패턴을 적용하고 복압 벨트에 호흡을 측정할 수 있는 스트레치 센서를 부착하여 두 가지 호흡법을 활용해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측정방법은 들숨과 날숨으로 실험을 진행하며 대상자는 건강한 신체의 20대 남성 1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본 연구의 결과 흉식호흡과 복식호흡 모두 센서의 민감도는 5mm, 3mm, 기본 센서 순으로 센서별 순위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EMS 복압 벨트를 통해 전기자극을 적용 전, 후로 나누었을 때 전기자극을 적용한 후 호흡의 활성화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의 결론은 2가지 호흡법을 신체 기능적 근거로 제작한 2가지 패턴으로 인해 호흡법에 적합한 전기자극을 적용 시 적용하지 않았을 때 보다 3가지 센서로 호흡 활성화 효과와 센서 간 민감도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후속 연구에서는 EMS 패턴과 스트레치 센서가 통합된 의복형 웨어러블 제품에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호흡 스마트 의류를 개발하고자 한다.

실시간 운전자 호흡 모니터링 (Real Time Driver's Respiration Monitoring)

  • 박재희;김재우;이재천
    • 센서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42-147
    • /
    • 2014
  • Real time driver's respiration monitoring method for detecting driver's drowsiness is investigated. The sensor to obtain driver's respiration signal was a piezoelectric pressure sensor attached at the abdominal region of the seat belt. The resistance of the pressure sensor was changed according to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eat belt due to the driver's respiration. Monitoring driver's respiration was carried out by driving on the virtual road in a driving simulator from Cheonan to Seoul and monitoring results were compared to the PELCLOS.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the driver's respiration signal can be used for detecting driver's drowsiness.

근육모양의 패턴을 달리한 EMS 복압벨트가 요추 안정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EMS Compression Belts with Different Muscular Patterns on Lumbar Stabilization)

  • 김대연;박진희;김주용
    • 감성과학
    • /
    • 제24권2호
    • /
    • pp.81-9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해부학적 근거로 제작한 5가지의 EMS 요추 복압 벨트가 요추 안정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요방형근, 척추세움근, 내복사근, 외복사근, 대요근으로 총 5가지의 코어 근육을 선정하여 이에 맞는 근육 모양과 통증 유발점인 압통점을 고려해 전도성 원단으로 패턴을 설계하여 복압 벨트에 결합했다. 총 4가지 동작으로 실험을 진행하여 각각 다른 EMS복압 벨트가 요추 안정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건강한 신체의 20대 남성 5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고 선정 조건은 최근 3개월 동안 요통 과거력이 없고 사전 검사를 통해 제한되는 동작이 없고, 체간의 근력이 정상등급에 속한 대상이다. 실험 동작의 순서는 하지직거상 검사, 좌전굴, 체전굴, 배근력으로 다음 동작에 제한되지 않게 선정하였다. 동작 간의 휴식은 2분으로 진행하였고, EMS복압 벨트를 착용 후 실험을 진행할 때는 혈류량 증가와 근 활성화를 위해 전기자극을 10분씩 적용하고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의 통계는 비모수 검정으로 윌콕슨 검정과 프리드만 검정을 실시함으로 구체적인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5가지의 패턴 중 5,4,3,1,2 순으로 Type별 순위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각 근육의 움직임과 연관성이 있는 실험 동작에 조금 더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해부학적 근거로 제작된 패턴으로 인해 각 근육에 각기 다른 모양으로 전기자극을 전달하였을 때 구분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일반인 대상으로 일상생활이나 트레이닝에 있어 요추 안정화를 향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호흡기반 운전자 졸음 감지를 위한 압력센서 시스템 (A pressure sensor system for detecting driver's drowsiness based on the respiration Paper Template for the KITS Review)

  • 김재우;박재희;이재천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45-51
    • /
    • 2013
  • 본 논문에서 호흡 기반의 운전자 졸음 감지 센서 시스템에 대해 언급하였다. 센서 시스템은 운전자의 복부 부분 안전벨트에 장착된 PZT 압력센서와 개인용 컴퓨터로 구성됐다. PZT 압력센서는 호흡 시 운전자 복부의 움직임에 의해 압력센서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었고 운전자의 졸음을 감지하기 위한 신호처리는 Labview를 사용하여 개발됐다. 30세 남자 운전자를 상대로 운전자 졸음 감지 관련 실험들이 수행되어 졌다. 운전자가 각성상태일때 호흡의 크기는 졸음상태일 때보다 컸으며 반대로 호흡 주파수는 낮았다. 이런 실험을 바탕으로 제작된 졸음 감지 센서 시스템은 운전자의 졸음을 성공적으로 실시간 감지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