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I score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8초

직접 부착법과 간접 부착법이 열순환 후 부착강도와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Effects of direct and indirect bonding techniques on bond strength and microleakage after thermocycling)

  • Ozturk, Firat;Babacan, Hasan;Nalcaci, Ruhi;Kustarci, Alper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393-401
    • /
    • 2009
  • 본 연구는 직접 또는 간접 부착법으로 부착한 교정용 브라켓을 열순환 처리 후에 전단 결합 강도(shear bond strength, SBS)와 치아-접착제-브라켓 복합체의 미세 누출을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50개의 치아우식증이 없는 사람 소구치를 구하여 동등한 2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직접 부착군에서는 광중합 접착제 및 primer (Transbond XT)를 사용하였고 간접 부착군에서는 광중합 접착제와(Transbond XT) 화학중합 primer (Sondhi Rapid Set)를 사용하였다. 중합 후에 치아는 24시간 동안 증류수에 보관하였고 이후 500회 열순환 처리를 하였다. 미세누출의 평가를 위해 각 군에서 10개의 치아에 nail varnish로 추가 봉연을 실시하고 0.5% basic fuchsin에 24시간 동안 염색한 후 입체현미경으로 검경하였다. 만능시험기를 이용하여 각 군의 치아 15개로 SBS를 계측하였고 adhesive remnant index (ARI)를 평가하였다. 결과 자료는 Mann-Whitney U test,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로 통계 분석하였다. 직접 부착군과 간접 부착군 사이에 SBS 및 미세누출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간접 부착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ARI 점수가 낮았다. 브라켓의 탈락은 법랑질-레진 계면에서 발생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부착법의 차이는 미세누출의 양과 SBS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Preliminary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DSM-5 Level 2 Cross-Cutting Symptom Measure: Depression and Irritability for Parents of Children Aged 6-17 Years

  • Shin, Min-Sup;Kim, Bung-Nyun;Jang, Mirae;Shin, Hanbyul;Seo, Gyujin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3권3호
    • /
    • pp.67-72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 (DSM-5) Level 2 Cross-Cutting Symptom Measure-Patient-Reported Outcomes Measurement Information System (PROMIS)-Depression and the Irritability for parents of children aged 6-17 years. Methods: Participants were 190 children diagnosed with depressive disorder (n=14), anxiety disorder (n=21),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n=111), ADHD with anxious depression (n=13), and tic disorder with somatic symptoms (n=31). Patients were 8-15 years of age. The participants' mothers completed the Korean versions of the DSM-5 Level 2 Cross-Cutting Symptom Measure-PROMIS Depression and Irritability (Affective Reactivity Index, ARI), and the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Using these data, we calculated the reliability coefficient and examined the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PROMIS Depression and the Irritability (ARI) scales for assessing depression and irritability in children. Results: The reliability coefficient of the PROMIS Depression scale (Cronbach's α) was 0.93.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the K-CBCL DSM emotional problem score was 0.71. The PROMIS Depression scale significantly discriminated children with depressive disorders from those with other conditions. The reliability coefficient of the Irritability (ARI) scale was 0.91, suggesting its high reliability.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e DSM-5 Level 2 Cross-Cutting Symptom Measure for Depression and Irritability Scales for parents of children aged 6-17 years is reliable and valid and may be an efficient alternative to the K-CBCL.

The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Questionnaire in Adolescents: What Is the Best Cutoff Score?

  • Artanti, Dian;Hegar, Badriul;Kaswandani, Nastiti;Soedjatmiko, Soedjatmiko;Prayitno, Ari;Devaera, Yoga;Vandenplas, Yvan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2권4호
    • /
    • pp.341-349
    • /
    • 2019
  • Background: A self-assessment questionnaire, the GERD-Questionnaire (GERD-Q) was used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GERD in adolescents, describe the related factors, and determine the impact on quality of life (QoL). Methods: The incidence of GERD was evaluated using the GERD-Q in adolescents aged 12-18 years. The Pediatric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Symptom Questionnaire and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PGSQ-A) for adolescents were additionally administered. Some factors considered related to GERD were also evaluated. Results: The 520 adolescents were included. The prevalence of suspected GERD, according to a GERD-Q cutoff score of ${\geq}7$ was 32.9%, and those drinking soda were 1.7 times more likely to have GERD (95% confidence interval, 1.3-2.2; p<0.001). However, soda consumption was not a risk factor for development of GERD symptoms. Applying a cutoff score of ${\geq}8$, only 10.9% of the participants had a positive GERD score, but the association with soda consumption persisted. The median PGSQ-A score in subjects suspected of GERD was 8 (range 0-37) on weekends and 1 (range 0-17) during weekdays (p<0.001) compared to those not suspected of GERD, with a median of 2 (range 0-27) during weekends and 0 (range 0-10) during weekdays. Heartburn, regurgitation, and extraesophageal symptom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QoL (p<0.001).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suspected GERD in adolescents was 32.9% or 10.9%, depending on the cutoff score use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GSQ-A scores between the subjects suspected or not of GERD, indicating an impaired QoL.

Comparison of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brackets using various zirconia primers

  • Lee, Ji-Yeon;Kim, Jin-Seok;Hwang, Chung-Ju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164-170
    • /
    • 2015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hear bond strength (SBS) of orthodontic brackets bonded to zirconia surfaces using three different zirconia primers and one silane primer, and subjected to thermocycling. Methods: We designed 10 experimental groups following the surface treatment and thermocycling. The surface was treated with one of the following method: no-primer (NP), Porcelain Conditioner (PC), Z-PRIME Plus (ZP), Monobond Plus (MP) and Zirconia Liner Premium (ZL) (n=20). Then each group was subdivided to non-thermocycled and thermocycled groups (NPT, PC, ZPT, MPT, ZLT) (n=10). Orthodontic brackets were bonded to the specimens using $Transbond^{TM}$ XT Paste and light cured for 15 s at $1,100mW/cm^2$. The SBS was measured at a 1 mm/min crosshead speed. The failure mode was assessed by examination with a stereomicroscope and the amount of bonding resin remaining on the zirconia surface was scored using the modified adhesive remnant index (ARI). Results: The SBS of all experimental groups decreased after thermocycling. Before thermocycling, the SBS was ZL, $ZP{\geq}MP{\geq}PC>NP$ but after thermocycling, the SBS was $ZLT{\geq}MPT{\geq}ZPT>PCT=NPT$ (p > 0.05). For the ARI score, both of the groups lacking primer (NP and NPT) displayed adhesive failure modes, but the groups with zirconia primers (ZP, ZPT, MP, MPT, ZL, and ZLT) were associated with mixed failure modes. Conclusions: Surface treatment with a zirconia primer increases the SBS relative to no-primer or silane primer application between orthodontic brackets and zirconia prostheses.

Comparison of bond strengths of ceramic brackets bonded to zirconia surfaces using different zirconia primers and a universal adhesive

  • Lee, Ji-Yeon;Ahn, Jaechan;An, Sang In;Park, Jeong-won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3권1호
    • /
    • pp.7.1-7.7
    • /
    • 2018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hear bond strengths of ceramic brackets bonded to zirconia surfaces using different zirconia primers and universal adhesive. Materials and Methods: Fifty zirconia blocks ($15{\times}15{\times}10mm$, Zpex, Tosoh Corporation) were polished with 1,000 grit sand paper and air-abraded with $50{\mu}m$ $Al_2O_3$ for 10 seconds (40 psi). They were divided into 5 groups: control (CO), Metal/Zirconia primer (MZ, Ivoclar Vivadent), Z-PRIME Plus (ZP, Bisco), Zirconia Liner (ZL, Sun Medical), and Scotchbond Universal adhesive (SU, 3M ESPE). Transbond XT Primer (used for CO, MZ, ZP, and ZL) and Transbond XT Paste was used for bracket bonding (Gemini clear ceramic brackets, 3M Unitek). After 24 hours at $37^{\circ}C$ storage, specimens underwent 2,000 thermocycles, and then, shear bond strengths were measured (1 mm/min). An adhesive remnant index (ARI) score was calculat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the Bonferroni test (p = 0.05). Results: Surface treatment with primers resulted in increased shear bond strength. The SU group showed the highest shear bond strength followed by the ZP, ZL, MZ, and CO groups, in that order. The median ARI scores were as follows: CO = 0, MZ = 0, ZP = 0, ZL = 0, and SU = 3 (p < 0.05). Conclusions: Within this experiment, zirconia primer can increase the shear bond strength of bracket bonding. The highest shear bond strength is observed in SU group, even when no primer is used.

하악 전치 설측면에 대한 다양한 접착시스템의 접착강도 (Bond strength of different bonding systems to the lingual surface enamel of mandibular incisors)

  • Turkoz, Cagri;Tuncer, Burcu Balos;Ulusoy, Mehmet Cagri;Tuncer, Cumhur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60-266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서로 다른 종류의 접착시스템과 법랑질 보호제 등이 설측 브라켓의 인장강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75개의 발치된 하악 전치를 5개의 그룹으로 임의로 나눈 후 설측 브라켓을 부착하였다. Group 1은 Transbond XT를, Group 2는 Transbond XT와 함께 불소 유리레진(Ortho-coat)을 Group 3는 Transbond XT와 Chlorohexidine varnish (Cervitec Plus)를 Group 4는 광중합 접착제(Aegis Ortho)를 Group 5는 antimicrobial self-etching primer (Clearfil Protect Bond)을 사용하였다. 불소유리 레진이나 Chlorohexidine varnish의 사용유무는 접착력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Group 5이 다른 그룹에 비해 접착력과 접착제 잔류지수(adhesive remnant index, ARI)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p < 0.001). 법랑질 보호제 적용 시 설측 브라켓의 접착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이번에 사용한 제품들은 설측 교정치료 기간 동안 환자의 구강위생을 개선시킬 수 있어 환자와 술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에나멜 층이 얇은 경우 Clearfil Protect Bond의 과도한 접착강도에 대해 고려해야 할 것이다.

브라켓 간접부착시 레진 베이스의 재료에 따른 전단결합강도와 파절양상 비교 (SHEAR BOND STRENGTH AND FAILURE PATTERNS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RESIN BASE IN INDIRECT BRACKET BONDING)

  • 전만배;황현식;김종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77-284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브라켓 간접부착술식에서 레진 베이스의 재료에 따른 전단결합강도와 파절양상을 비교해 봄으로써 광중합형 레진 베이스 사용의 타당성을 평가해보는데 있다. 소의 하악 중절치를 포매하여 만든 시편의 석고 모형에 화학중합형 레진 접착제인 Excel과 광중합형 레진 접착제인 Light-Bond 및 열중합형 레진 접착제 인 Therma-Cure를 이용하여 금속 브라켓을 위치시 킨 후 transfer tray를 사용하여 시편에 옮겨 부착한 다음 만능물성 시험기를 이용하여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파절양상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평균 전단결합강도가 화학중합형 레진 베이스를 사용한 군에서 $154.20{\pm}35.53kg/cm^2$, 광중합형 레진 베이스를 사용한 군에서 $148.61{\pm}39.21kg/cm^2$, 열중합형 레진 베이스를 사용한 군에서 $145.69{\pm}36.69kg/cm^2$로 나타났으며, 세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2. 접착제 잔류지수를 통하여 파절양상을 비교 관찰한 결과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이상의 실험결과는 브라켓 간접부착술식에서 레진 베이스의 재료로 화학중합형, 열중합형 레진과 함께 광중합형 레진도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 PDF

치과용 금합금에 대한 금속 프라이머 처리와 열순환 처리가 교정용 브라켓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tal primer and thermocycling on shear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orthodontic bracket and gold alloy)

  • 이영기;차정열;유형석;황충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320-329
    • /
    • 2009
  • 치과용 금합금에 교정용 브라켓 접착 시 금속 프라이머와 열순환 처리가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80개의 치과용 금합금 시편을 샌드블라스팅만 처리한 군과 3종류의 금속 프라이머(Alloy Primer, Metaltite, V-Primer)처리를 시행한 군으로 분류하고, 이를 열순환 처리 시행 여부에 따라 모두 8개 군으로 분류하였다. 만능물성 시험기를 사용하여 브라켓의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modified ARI (Adhesive Remnant Index) scores를 통해 브라켓 접착면의 파절 양상을 평가하였다. 열순환 처리 미시행 시에는 금속 프라이머의 적용 시 샌드블라스팅만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전단결합강도의 증가가 있었다 (p < 0.05). 열순환 처리를 시행한 군에는 금속 프라이머의 처리에 의한 전단결합강도의 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 > 0.05). 금속 프라이머를 적용한 경우 열순환 처리 미시행 시에는 파절 양상이 브라켓과 접착제 계면에서의 파절 발생 빈도가 높았으나, 열순환 처리 시행 시에는 각 군 간 파절 양상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금속 프라이머의 적용이 치과용 금합금에 대한 교정용 브라켓 접착 시 초기 접착 강도에서는 유의성 있는 결합력의 증가를 보이나, 열순환 처리 시행 후에는 결합 강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금속 프라이머에 의한 결합력 증가가 감소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Plasma arc light를 이용한 금속 브라켓의 부착시 광조사 방향과 중합시간이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ght direction and exposure times of plasma arc light on shear bond strength of metal brackets)

  • 노상정;이현정;전영미;김정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29-438
    • /
    • 2004
  • 본 연구는 Plasma arc light를 이용하여 금속 브라켓의 부착시 광조사 방향, 중합시간 그리고 경화시간이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240개의 발거된 소구츠를 16군으로 나눈 후. 광중합기(Plasma arc light와 Halogen light), 중합시간(Plasma arc light 2. 4. 6초와 Halogen light 20초). 그리고 광조사 방향(Vertical 방향과 Oblique 방향)을 다르게 하여 브라켓을 부착하였다. 광증합 접착제는 Transbond XT를 이용하였으며 브라켓 부착 후 5분과 24시간 후에 만능물성시험기를 이용하여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광중합기의 종류와 중합시간에 관계없이 Vertical군과 Oblique군간의 전단결합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Plasma arc light를 이용하여 2초 동안 광중합한 군들의 전단결합강도는 다른 중합시간의 군들보다 현저히 낮았다(P<0.05). 부착 5분 후의 전단결합강도는 24시간 후보다 현저히 낮았다(P<005), ARI 점수는 군들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는 plasma arc light를 사용한 금속 브라켓의 부착시 광조사 방향은 전단결합강도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며. Halogen light와 유사한 결합강도를 얻기 위해서는 4초 이상의 중합시간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Self-etching primer를 이용하여 접착된 교정용 브라켓의 전단결합강도 (Shear bond strength of metal orthodontic brackets bonded with Self-Etching Primer)

  • 안윤표;김효영;전영미;김정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1-61
    • /
    • 2003
  • 본 연구는 6세대 교정용 접착 시스템인 Transbond Plus Self-Etching Primer(3M/Unitek Dental Products, Monorovia, Calif)를 이용하여 법랑질면에 브라켓을 접착하는 방법과, 통상적인 산부식 방법에 의해 브라켓를 접착한 경우의 전단결합강도 차이를 비교$\cdot$평가하고, self etching primer를 이용하여 브라켓을 접착할 때 치면에 존재하는 수분이 브라켓의 저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37\%$ 인산용액과 Self-Etching Primer를 이 용하여 법랑질을 표면 처 리하고 Transbond XT를 이 용하여 브라켓을 치면에 부착하였다. 또한 수분의 존재에 따른 전단결합강포의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 인공타액을 치면예 도보후 Self-Etching Primer를 사용하여 브라켓을 부착한 후 30분과 24시간에 따른 전단결합강도를 비교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Self-etching primer군에서 건조군과 습윤군의 전단결합강도는 $37\%$인산처리군의 결합강도보다 낮았다(p<0.05). 그러나 Self-etching primer군의 전단결합강도는 일상적으로 유용한 수준의 이상이었다. 2. 모든군에서 24시간군의 전단결합강도가 30분군의 전단결합강도보다 높았으며 (p<0.05), 이는 브라켓 접착후 일정시간의 경과가 결합강도를 증가시켜 줌을 알 수 있었다. 3. Self-etcing primer군에서 습윤군의 전단결합강도는 건조군보다 높은 경향이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P>0.05). 4 ARI 점수의 비교결과 인산처리군에서는 0점과 1점의 빈도가 높았으며, Self-etching primer 건조군과 습윤군에서는 2점과 3점의 빈도가 높아(p<0.05) Self-etching primer군이 인산처리군보다 법랑질-레진 접착계면부위에서의 파절이 많이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