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28p%29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6초

감마선 조사 황기의 기능성 및 화학적 성분에 대한 안정성 평가 (Stability of Functional Properties and Chemical Components of Gamma-Irradiated Astragali Radix)

  • 정일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55-260
    • /
    • 2005
  • 방사선 조사 황기(Astragall Radix)에 대한 기능성 및 화학적 성분에 대한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기능성 평가시험으로서 방사선 조사 황기의 ethanol추출물 및 ethyl acetate분획물에 대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4∼28%및 13∼50%를 각각 보였으며 비조사 황기는 4∼29% 및 17∼57%로서 거의 동등한 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였다(p>0.07).지질과 산화 억제시험에서 방사선 조사 황기의 ethanol추출물 및 ethyl acetate 분회 물은 각각 17∼54% 및 50∼84%의 억제활성을 보였고 비조사 황기는 각각 16∼58% 및 52∼86%를 나타냄으로써 지질과산화 억제활성도 방사선 조사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p>0.05). Comet assay를 이용한 DNA 방어효과 시험에서 방사선 조사 황기의 ethanol 추출물 및 ethyl acetate 분획물은 24∼55% 및 49∼58%였고 비조사 황기는 각각 20∼46% 및 38∼54%로써 거의 동등한 DNA의 산화적 경감효과를 보였다(p>0.05).화학적 성분에 대한 안정성 평가시험인 HPLC분석시험에서 방사선 조사 황기의 ethyl acetate 분획물은 비조사 황기의 ethyl acetate 분획물과 거의 대등한 peak 양상을 나타냄으로써 화학적 성분의 안정성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방사선 조사 황기에 대한 본 연구의 결과와 이전의 유전독성학적 안전성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부가적인 실험이 동반된다면 실제적으로 위생화를 위한 방사선 조사 품목의 하나로서 그 적용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Role of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in the Occurrence of Benign Uterine Leiomyomata: Special Emphasis on AhR Tissue Levels

  • Bidgoli, Sepideh Arbabi;Khorasani, Hoda;Keihan, Heideh;Sadeghipour, Alireza;Mehdizadeh, Abolfazl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1호
    • /
    • pp.5445-5450
    • /
    • 2012
  • Although benign uterine leiomyomata (LMA) is the most common reproductive tumor in premenopausal women, its etiology is largely unknown. We aimed in the present study to demonstrate the potential role of environmental factors with estrogenic activity in tumor etiology by focusing on the role of aryl hydrocarbon receptor (AhR) which mediates the effects of many environmental endocrine disruptors and contributes to the loss of normal ovarian function in polluted environments. This case-control study aimed to compare the interactions between AhR and lifestyle factors in a clinical setting for the first time among 138 newly diagnosed LMA patients and 138 normal controls who lived in Tehran and Mashhad, respectively, during the last 10 years. To conduct immunohistochemical studies using appropriate monoclonal antibodies, 30 cases were selected retrospectively from 2009-2011 from the pathology departments of two university hospitals in Tehran. Although the levels of sex steroid receptors were similar in adjacent myometrium and uterine leiomyomas of all cases, AhR was significantly overexpressed (p=0.034, OR=1.667) in uterine LMA and this overexpression was correlated with living in Tehran [(p=0.04, OR=16 (1.216-210.58)], smoking[P=0.04, OR=2.085 (1.29-3.371)], living near polycyclic aromative hydrocarbon producing companies [p=0.007, OR=2.22 (1.256-3.926)] and eating grilled meat [p=0.042, OR=1.28 (1.92-3.842)]. Our study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of EDCs on AhR levels as well as women's health and points out possible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uterine LMA. It seems that the development of LMA could be the result of interactions between horm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대동맥교약증 환아의 해부학적 형태, 동반심기형, 연령, 수술방법등이 수술결과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natomy, Associated Anomalies, Age, and Surgical Methods on the Surgical Results of Aortic Coarctation)

  • 이정렬;김혜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4호
    • /
    • pp.363-372
    • /
    • 1997
  • 본 연구는 1986년 6월 3일부터 1995년 12월 31일까지 서울대학교 어린이 병원 흉부외과에서 경험한 144례의 대동맥 교약증 환아를 대상으로, 술후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환아의 평균 연령은 15.73+32.43(범 위 0.1-191.0, 중앙값=3.3)개월이 었고, 이중 11)례(78.5%)의 환아는 영아, 25례(17.4%)는 신생아였다. 환아를 대동맥궁 협 착 부위와 동반 심기형에 따라(제 1형:국소 협착, 제2형:대동맥 헙부 협착, 제3형 :대동맥 협부 및 횡대동맥궁 협착, h:심실중격결손증 동반, B:기타 복 잡 심기 형 동반) 9가지로 분류한 결과, 1, IA, IB, I, IIA, IIB, III, IIIA, IIIB형이 각각 25, 9, 6, 24, 35, 15, 4, 19, 7례 였다. 수술방법은 쇄골하동맥편 교약성형술(subclavian-flap coarctoplasty, SFC: 60례), 절단 및 문합술(resection and anastomo sis, R&A: 44례), 확장된 대동맥성형술(extended aortoplasty, Ex-Ao: 26 례), 덮개포편술(onlay patch, Onlay: 14례)이 사용되었다. 총수술 사망률은 16.0%(23/144)였고, 수술 사망률을 높이는 인자로 협착부위(I, II, III형) 동반 심기형(0, A, B), 환아의 연령, 수술방법, 단계수술 \ulcorner부 등이 분석되었는데 이중 횡대동맥궁협착을 동반하는 III형(I형 사망률=2.5%(1/40), II형=17.6% (13/74), III형=30%(9/30); p(0.01), B형(0형 사망률=3.8%(2/53), A형 =15.9%(10/63), B형 =39.3%(11/28); p(0.01) 등이 의미있는 위험 인자였다. 생존환아 121례는 술후 평균 29.1+28.8(범위 0-129.2)개월 외래 추 적되 었으며 이중 술후 협착을 보였던 경우는 18례로 14.9%의 헙착률은 보였다. 생존환자중 77례의 환자 (I형 20명. ll형 42명, 111형 15명)에서 술전, 술후 3개월 이내, 술후 6개월이후의 심에코도상의 대동맥 각 부위 크기에 관한 자료의 입수가 가능하였으며 이를토대로무명동맥 직근위부의 상행대동맥 직경에 대 한 대동맥협부 직경의 비율(대동맥협부지수)및 경동맥부위의 횡대동맥 직경비율(횡대동맥지수)을구하 여 형태 별로 술전, 수술 직후 6개월이상 경과후의 대동맥 크기 변화의 양상을 관찰하였다. 제 I, II, III형 모두에서 술전에 비하여 술후 평균 대동맥협부지수의 의미있는 증가가 관찰되었으며(p<0.01),제 III형에서는 횡대동맥지수의 의미있는 증가도 관찰되었다(p<0.01). 재헙착으로 진단된 I, II형의 수술직후 대 동맥협부지수와 111형의 횡대동맥 지수는 비협착군에 비하여 의미있게 작았는데 이는 아마도수술 당시 협 착 부위의 완전제거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원인이라고 사료되었다. 본 분석에서는 어린 연령(3개월 이하), 3개월이하에 시행한 쇄골하동맥편 교약성형술이 의미있는 재협착의 위험요소로 밝혀졌다. 결론 적으로 저자등은 본연구를 통하여 대동맥협부지수, 횡대동맥 지수 등이 개개 대동맥교약 환아의 해부학 적, 임상적 특징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는 도구라는 사실을 발견하였고 아울러 교약의 해부학적 특성, 동반 심기 형, 연령, 수술방법 등이 수술사망 및 재협착에 영향한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 PDF

Fundamental Parameter 법에 의한 만장굴용암 쌍자석주의 형광X선분포

  • 택훈;고문옥;김경식
    • 동굴
    • /
    • 제19권20호
    • /
    • pp.29-62
    • /
    • 1989
  • Cheju Island, which was formed by volcanic activity, is an oval in its shape with the major axis 80km and the minor axis of 40km. The island holds in its heart Mt. Hanala rising 1,950m above the sea. Petrological study of this volcanic island has been made actively by Sang-Man Lee, Chong-Kwang Won and Moon-Won Li. The chronological measurements of the island by Chong-Kwan Won and Moon-Won Lee showed that it is composed of Sanbangsan trachytes and Backlokdam trachytes(25,000 year ago). These reports are based on the chemical analysis and the rediometric chronological measurements on the ground. However, there has been no reports about the inside of caves. We made an (composition) analysis of the inside of Manjang Cave by the fundamental parameter method in X-ray fluorescence spectrometry. The fundamental parameter method in X-ray fluorescence spectrometry is nondestructive analysis. and it enables us to make the values processed by a computer. The results obtained by this methods are as follows: SiO$_2$(49%), $Al_2$O$_3$(17%), Fe$_2$O$_3$(13%), CaO(8.1%), MgO(5.5%), Na2O(3.6%), TiO$_2$(2.1%), $K_2$O(0.86%), P$_2$O$_{5}$(0.28%), and MnO(0.20%) respectively. The data obtained by the fundamental parameter method in X-ray fluorescene was compared with the data provided by Chong-Kwan Won and Moon-Won Lee. Our measurement was made by K-Ar-method in cooperation with T. ITAYA. The samples are of 30,000-420,000 years ago. The composition of the values of our underground analysis with the existing values obtained by the analyses on the ground produced new data about Cehju volcanic island.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