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I

검색결과 2,756건 처리시간 0.045초

전자상거래 보안 인터페이스를 위한 CSSM API의 적용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pplying the CSSM API for Security Interface to Electronic Commerce)

  • 김영덕;신동명;최용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13-20
    • /
    • 2000
  • 전자상거래 활동은 인터넷과 같은 안전하지 않은 공중망을 사용하기 때문에 많은 보안 위협요소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보안 어플리케이션들이 안전한 전자상거래의 구현을 위하여 CAPI(Cryptographic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가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CAPI는 각 수준별 암호 서비스와 다양한 보안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CSSM API는 다른 CAPI들에 비하여 모듈성, 단순성, 다양한 Add-in 모듈과 인터페이스에 의한 확장성을 제공한다. 본 논문은 다른 CAPI와 CSSM API의 비교분석과 전자상거래에 다양한 확장성과 멀티플랫폼을 지원하는 CSSM API의 적용 방안을 제안한다. CSSM API CSP 인터페이스의 암호화, 디지털서명 오퍼레이션에 대하여 기술하고, 전자상거래 위협요소에 대응한 보안 서비스의 연관관계로 CSSM API 적용에 따른 안전성 평가를 하였다.

  • PDF

QoS제공을 위한 비동기 모델에 기반의 웹 서비스 (The Web Service based on Asynchronous Model for QoS Provisioning)

  • 정의헌;최영일;이병선;김화성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3)
    • /
    • pp.388-390
    • /
    • 2004
  • 통신환경이 개방형 네트워크로 새로운 통신네트워크의 변화를 가져오게 되면서 third-party업체들이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런 광대역통합망의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third-party에게 Open API를 통하여 하부 전달망 특성을 개방한다. Parlay API는 대표적인 Open API이며 Parlay API와 웹 서비스를 접목시키고 한 단계 더 추상화한 Parlay X API가 있다. Parlay X API는 웹 서비스의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QoS제공을 위한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Messaging Sever를 추가하여 QoS를 제공하기위한 방법에 대하여 제시한다.

  • PDF

자바카드에서 Post-issuance API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st-issuance API in Java Card)

  • 이정우;전성익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 (1)
    • /
    • pp.583-585
    • /
    • 2002
  • 자바카드의 큰 특징 중의 하나는 바로 필요한 응용프로그램이나 Library를 카드가 발급된 후에도 카드 상에 업로드 시켜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카드를 발급할 때 Mask형태로 ROM상에 올려져 있는 API의 경우 수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또한 단순히 새로운 API를 추가한다 하더라도 기존에 이를 사용하던 애플릿의 변경이 불가피 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발급 후 API를 추가하는 예를 보이고 이런 문제점을 개선한 모델을 제시하여 보다 유연한 API 개발 환경을 제공하게 한다.

  • PDF

PCS 정보단말기용 소형 운영체제에 적합한 다중 메시지 처리 API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ultiple Message Handling API for PCS Operating Systems)

  • 김정수;염근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3)
    • /
    • pp.694-696
    • /
    • 1999
  • 최근에는 Non-PC 디바이스들을 위한 Embedded OS들이 PCS, PDA, 핸드헬드(Handheld) 컴퓨터, 터미널, 산업용 제어기 및 다른 소형 컴퓨터에서부터 인터넷 TV, 디지털 셋탑 박스, 웹폰, 인터넷 디바이스, 및 Mobile Computing 분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그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현재 이러한 응용들은 사용자의 응답시간이 빠른 표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Window System의 Application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보통 Win32 API를 사용한다. 그런, Win32 API에서 제공하는 자료형과 관련 함수들이 크기가 크고 속도가 느려서 소형의 적은 메모리와 빠른 속도를 필요로 하는 PCS 단말기에는 적합하지가 않다. 따라서 기존의 API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면서 PCS에 최적화된 API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PCS 정보단말기용 소형 운영체제에 적합한 API를 GWES(Graphics, Windowing, and Events Subsystem) 모델을 기반으로 설계하였으며 사용자 응답시간 지연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Event 처리를 최소화하는 다중 메시지 처리 방식을 개발하였다.

  • PDF

모바일 3D API 기술 표준화 연구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for the Technology of Mobile 3D API)

  • 이범렬;류성원;이은주;박재형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0권4호통권94호
    • /
    • pp.110-119
    • /
    • 2005
  • 본 고에서는 모바일 3D 그래픽스 기술에 대한 국내외 표준화 연구 활동과 표준화 발전전망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다. 모바일 3D API 표준으로는 국제사실표준으로서 크로노스 그룹에서 OpenGL|ES를 제안하고 있어 국내에 많은 모바일 3D 콘텐츠 개발사에서 채택하고 있으며, 자바진영의 M3G(JSR-184) 표준은 응용 콘텐트에 사용하는 상위레벨의 API를 규정하고 있다. 국내에는 모바일 3D 표준화 포럼을 중심으로 MPEG-4SNHC의 3D 압축 프로파일 제안을 위한 TFT 활동과 국내 모바일 3D API 표준을 위한 TFT를 운영하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국제 표준화 활동 및 크로노스 그룹과의 긴밀한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모바일 3D 표준화의 향후 전망으로는 프로그래머블 그래픽 파이프라인에 대한 API의 표준화와 데이터의 압축을 포함한 모바일 게임 데이터 포맷의 표준화, 모바일 3D 그래픽 API를 기반으로 한 상위 수준의 애니메이션, 3D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API에 대한 표준화 및 미디어 프로세싱의 표준화 일환으로 진행되는 크로노스 그룹의 OpenMAX의 표준화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이다.

DOI 수집 API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OI Lookup API)

  • 김선태;예용희
    • 정보관리연구
    • /
    • 제39권1호
    • /
    • pp.221-237
    • /
    • 2008
  • CrossRef는 DOI 식별자 및 학술메타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다양한 쿼리(OpenAPI)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해 출판사 및 정보서비스 기관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하도록 독려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rossRef에서 제공하는 쿼리를 면밀히 분석하였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DOI를 자동수집 하는 API를 개발하였다. 또한 자체적으로 학술메타데이터를 보유한 기관이 개발된 API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REST Open API 기반 정보시스템 성능 분석 (A Performance Analysis of RESTful Open API Information System)

  • 최민;오세창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24-426
    • /
    • 2012
  • REST 웹 서비스는 HTTP 프로토콜을 통해 손쉽게 적용 및 배포할 수 있다. 최근 다양한 정보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가 REST Open API 웹서비스를 통하여 배포되고 있으며, 이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웹(Web)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오픈 API 에 대한 시스템의 성능의 포인트에 서비스 평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REST 오픈 API 의 수행 성능 평가를 통하여 REST 오픈 API 웹 서비스의 확장성에 초점을 둔다. 이를 위해 REST 오픈 API 가 미래에 모바일 클라우드 플랫폼으로써 충분한 성능 및 활용될 수 있는지 검증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큐잉 네트워크(Queueing Network)을 활용하여 REST Open API 웹서비스 서버 시스템을 모델링하고 성능을 분석하였다.

윈도우즈 Crypto API를 이용한 악성코드 무력화 방안 연구 및 도구 구현 (A study on neutralization malicious code using Windows Crypto API and an implementation of Crypto API hooking tool)

  • 송정환;황인태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111-117
    • /
    • 2011
  • 암호기술의 발전으로 통신의 비밀이나 정보보호가 강화되었지만, 암호기술을 역이용하는 Cryptovirus가 등장하였고 윈도우즈 CAPI(Crypto API)를 사용하는 악성코드도 누구나 쉽게 제작하여 배포할 수 있는 환경이 되었다. CAPI를 사용하는 악성코드는 윈도우즈에서 제공하는 정상적인 API를 사용하기 때문에 IPS(Intrusion Prevention System) 등 정보보호시스템은 물론 백신프로그램에서도 탐지 및 분석이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Cryptovirus를 비롯하여 윈도우즈 CAPI를 사용하는 악성코드 무력화 방안 연구 및 이와 관련된 Hooking 도구 구현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API 정보와 기계학습을 통한 윈도우 실행파일 분류 (Classifying Windows Executables using API-based Information and Machine Learning)

  • 조대희;임경환;조성제;한상철;황영섭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3권12호
    • /
    • pp.1325-1333
    • /
    • 2016
  • 소프트웨어 분류 기법은 저작권 침해 탐지, 악성코드의 분류, 소프트웨어 보관소의 소프트웨어 자동분류 등에 활용할 수 있으며, 불법 소프트웨어의 전송을 차단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필터링 시스템에도 활용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필터링 시스템에서 유사도 측정을 통해 불법 소프트웨어를 식별할 경우, 소프트웨어 분류를 활용하여 탐색 범위를 축소하면 평균 비교 횟수를 줄일 수 있다. 본 논문은 API 호출 정보와 기계학습을 통한 윈도우즈 실행파일 분류를 연구한다. 다양한 API 호출 정보 정제 방식과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실행파일 분류 성능을 평가한다. 실험 결과, PolyKernel을 사용한 SVM (Support Vector Machine)이 가장 높은 성공률을 보였다. API 호출 정보는 바이너리 실행파일에서 추출할 수 있는 정보이며, 기계학습을 적용하여 변조 프로그램을 식별하고 실행파일의 빠른 분류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API 호출 정보와 기계학습에 기반한 소프트웨어 분류는 소프트웨어 필터링 시스템에 활용하기에 적당하다.

u-GIS 환경에서 OpenAPI와 매쉬업 가능 서비스에 대한 통합 검색 기법 개발 (Development Integrated Retrieval Methods for OpenAPIs and Mashup Capable Services in u-GIS Environments)

  • 천동석;차승준;김경옥;이규철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25-34
    • /
    • 2009
  • 웹의 양상이 '웹 2.0'으로 변화해감에 따라, '웹 2.0'의 핵심요소인 OpenAPI의 사용이 늘어가고 있다. OpenAPI란 자신들의 사이트에서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외부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공개한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이다. u-GIS 국토정보도 이러한 OpenAPI를 활용하여 여러 벤더들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매쉬업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OpenAPI는 이미 많이 존재하며 빠르게 증가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정확하게 찾는 것은 어렵게 되었다. 또한 여러 개의 OpenAPI를 연결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만드는 매쉬업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검색에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서비스 검색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웹서비스 검색 엔진을 확장하여 통합서비스 정보모델을 정의하고, 정보모델을 바탕으로 통합 검색과 매쉬업 가능 서비스 검색 기법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한 검색 기법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JSP를 통해 구현함으로써 유사도 기반의 순위화 된 검색 결과, OpenAPI 통합검색, 카테고리 검색, 매쉬업가능 서비스 검색을 제공함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