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F Gel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2초

서로다른 APF 제재의 적용시간에 따른 법랑질내 불소 흡수량 및 우식 억제효과에 관한 비교 연구 (ASSESSMENT OF THE INFLUENCE OF APPLICATION TIME OF DIFFERENT APF AGENTS ON THE ENAMEL FLUORIDE UPTAKE AND ANTICARIOGENICITY)

  • 권순원;김용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06-326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namel fluoride uptake and anticariogenic effect following topical application with different physical form of fluoride and application time.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While the 4-minute applicaton increased the enamel fluoride uptake significantly than 1-minute application regardless of physical form of applied topical fluoride agents, no siginificant difference could be found between foam and gel type when applied for the identical period of time. 2. The application time or the physical form of topical agents had no singificant influence on the reduction of caries lesion. 3. Based upon the above-mentioned results of this study, it cannot be concluded that the amount of enamel fluoride uptake has an absolute impact on the change of lesion depth. Therefore, the clinical application of 1-minute topical fluoride application which appears to have a similar anticariogenic efficacy to 4-minute fluoride application may be encouraged.

  • PDF

불소 적용 후 교정용 브라켓 접착제 종류에 따른 불소 재흡수성과 표면 변화에 관한 연구 (Effect of Fluoride Recharging on Fluoride Release and Surface Properties of Orthodontic Bracket Adhesives)

  • 변선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18-226
    • /
    • 2018
  • 불소 적용 후 교정용 브라켓 접착제 종류에 따른 불소의 재흡수성과 표면의 변화를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불소가 방출되지 않은 복합레진 Transbond $XT^{(R)}$, 불소 방출성 복합레진 $Blugloo^{(R)}$$LightBond^{(R)}$, 레진강화형 글라스 아이오노머 Rely $X^{TM}$ Luting $2^{(R)}$, 재래형 글라스 아이오노머 Fuji $I^{(R)}$를 사용하였다. 시편에서 방출되는 불소 방출량을 측정하였고, 불소 재흡수 능력을 비교하기 위해서 시편에 3가지의 불소 제품(APF gel, Tooth Mousse $Plus^{(R)}$, Fluor Protector)을 도포하였으며, 불소함유 치약으로 잇솔질을 하여 불소방출량 변화를 측정하였고, 표면조도 측정기와 FE-SEM을 이용하여 시편의 표면 조도 및 변화를 비교 평가하였다. Rely $X^{TM}$ Luting $2^{(R)}$와 Fuji $I^{(R)}$에서는 다른 불소 제품인 Tooth Mousse $Plus^{(R)}$, Fluor Protector뿐만 아니라 불소함유 치약으로 잇솔질한 후에도 불소의 재흡수량을 관찰할 수 있었다. Tooth Mousse $Plus^{(R)}$를 도포한 후에는 Transbond $XT^{(R)}$를 제외하고 표면 조도 값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모든 교정용 접착제에서 부분적인 미세 필러 입자의 탈락을 보였다. Fluor Protector를 도포한 후에는 Transbond $XT^{(R)}$, Rely $X^{TM}$ Luting $2^{(R)}$를 제외하고 표면 조도 값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모든 교정용 접착제의 표면에 막을 형성하여 기포가 생긴 부분을 제외하고 매끄러운 양상을 나타내었다. 모든 교정용 접착제에 APF gel을 도포했을 때는 표면 조도 값이 유의하게 크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교정용 브라켓을 접착할 때 치아우식 예방 효과를 도모하기 위한 불소 방출량을 고려한다면 Rely $X^{TM}$ Luting $2^{(R)}$와 Fuji $I^{(R)}$가적극 추천되며, 불소 제품으로는 Tooth Mousse $Plus^{(R)}$, Fluor Protector가 APF gel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불소가 함유된 치약으로 잇솔질을 하였을 때도 치아우식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복합레진 표면에 대한 APF gel의 영향 (EFFECT OF APF GEL ON THE SURFACE OF COMPOSITE RESIN)

  • 육근영;양규호;김선미;최남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3-52
    • /
    • 2006
  • 소아의 치아우식증을 예방하기 위한 불소의 국소도포는 소아치과 영역에서 널리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잇점에도 불구하고 최근 수복물 표면을 거칠게 한다는 부작용에 대해 논란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불소도포가 심미 수복물의 표면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수종의 복합레진에 국소도포용 불소젤을 도포시킨 후 변화를 관찰하였다. 시판용 레진인 Z 250(3M ESPE, USA) Ultraseal $XT^{(R)}$(Ultradent, USA), Filtek $flow^{(R)}$(3M, USA), $Revolution^{(R)}$(Kerr, USA), Denfil(Vericom, Korea)를 이용하여 시편을 제작하고, 불소젤은 $Topex^{(R)}$(Sultan Dental Products, Canada)을 각각 1분과 4분 동안 도포시켰다. 각 제품마다 불소젤을 도포하지 않은 5개의 시편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그 후 이 시편들의 표면 거칠기$(R_a\;value,\;{\mu}m)$와 무게 차이를 측정하고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불소젤을 도포시키지 않은 대조군에서 가장 평활한 표면을 보였으며 1분군, 4분군 순으로 표면 거칠기가 증가하였다. 그리고 Revolution을 제외한 모든 제품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2. 국소도포용 불소젤을 도포한 각 레진 시편의 무게 차이를 비교한 결과 대조군, 1분군, 4분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3.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시 불소젤에 도포시킨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거친 표면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국소적 불소도포는 복합레진의 표면 거칠기에 영향을 미치며 이를 고려하여 사용한다면 4분보다는 1분간의 불소도포법을 이용하는 것을 추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대구치의 원심경사는 필연적으로 일어나며,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착제의 종류에 따른 전단결합강도를 비교한 결과, 영구치와 유치 모두에서 Clearfil SE Bond를 사용한 군의 전단결합강도가 가장 높았으며 AQ Bond를 사용한 군의 전단결합강도가 가장 낮았다.본에서 III군에 비해 크기가 큰 기포가 더욱 많이 관찰되었다.e의 약동학은 cimetidine에 의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CYP1A2유전자형에 따른 영향은 관찰할 수 없었다. CYP1A2유전자형에 따른 생체내 대사능을 관찰하는 실험이 향후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san film보다 큰 수증기 투과도를 보였다.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y tissue layer thinning은 3 군모두에서 관찰되었고 항암 3 일군이 가장 심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보면 술전 항암제투여가 초기에 시행한 경우에는 조직의 치유에 초기 5 일정도까지는 영향을 미치나 7 일이 지나면 정상범주로 회복함을 알수 있었고 실험결과 항암제 투여후 3 일째 피판 형성한 군에서 피판치유가 늦어진 것으로 관찰되어 인체에서 항암 투여후 수술시기는 인체면역계가 회복하는 시기를 3주이상 경과후 적어도 4주째 수술시기를 정하는 것이 유리하리라 생각되었다.한 복합레진은 개발의 초기단계이며, 물성의 증가를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또 다른 약물인 glycyrrhetinic acid($100{\mu}M$)도 CCh 자극으로 인한 타액분비를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gap junction은 흰쥐 악하선 세포로부터의 타액분비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는 gap junction이 세포막 $Ca^{2+}$ 통로를 조절함으로써 수용체 자극으로 유발된 세포내 $Ca^{2+}$ 농도 변화에

  • PDF

Effects of demineralizaton-inhibition procedures on the bond strength of brackets bonded to demineralized enamel surface

  • Ekizer, Abdullah;Zorba, Yahya Orcun;Uysal, Tancan;Ayrikcil, Servet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7-22
    • /
    • 2012
  • Objective: To study and compare the effects of different demineralization-inhibition methods on the shear bond strength (SBS) and fracture mode of an adhesive used to bond orthodontic brackets to demineralized enamel surfaces. Methods: Eighty freshly extracted, human maxillary premolars were divided into 4 equal groups and demineralized over the course of 21 days. Brackets were bonded to the demineralized enamel of teeth in Group 1. In Group 2, bonding was performed following resin infiltration ($ICON^{(R)}$, DMG, Hamburg, Germany). Before bonding, pre-treatment with acidulated phosphate fluoride (APF) or solutions containing casein phosphopeptide-amorphous calcium phosphate with 2% neutral sodium fluoride (CPP-ACP/wF) was performed in Groups 3 and 4, respectively. The SBS values of the brackets were measured and recorded following mechanical shearing of the bracket from the tooth surface. The adhesive remnant index (ARI) scores were determined aft er the brackets failed. Statistical comparisons were performed using one-way ANOVA, Tukey's post-tests, and G-tests.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ome of the intergroup comparisons of the SBS values (F = 39.287, p < 0.001).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values for the APF-gel and control groups, whereas significantly higher SBS values were recorded for the resin-infiltrated and CPP-ACP/wF-treated groups. The ARI scores were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4 groups (p < 0.001). Conclusions: Tooth surfaces exposed to resin infiltration and CPP-ACP/wF application showed higher debonding forces than the untreated, demineralized surfaces.

산성 불소가 복합레진 표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IDULATED PHOSPHATE FLUORIDE ON THE SURFACE OF COMPOSITE RESIN)

  • 양규호;육근영;최남기;김선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55-263
    • /
    • 2007
  • 복합레진 수복은 치아우식 및 치아우식 예방치료를 위한 대표적인 술식으로 소아치과 영역에서 널리 시행되고 있으며 불소도포는 치아우식 예방을 위한 대표적인 술식으로 1년에 2번 장도 실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이점에도 불구하고 Acidulated phosphate fluoride(APF)가 복합 레진의 표면을 거칠게 한다는 부작용에 대한 논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불소도포가 복합레진의 표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시판용 레진인 Solitaire $2^{(R)}$(Heraeus Kulzer, Germany), Metafil $CX^{(R)}$(Sun medical, Japan), Composan $LCM^{(R)}$(Promedica, Germany), $Charmseal^{(R)}$(DenKist, Korea)을 이용하여 시편을 제작하고, 불소젤은 $Topex^{(R)}$(Sultan Dental Products, Canada)를 각각 1분과 4분동안 도포시킨 후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불소젤을 도포시키지 않은 대조군에서 가장 평활한 표면을 보였으며 1분군, 4분군 순으로 표면 거칠기가 증가하였다. 그리고 Composan $LCM^{(R)}$을 제외한 모든 제품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2. 국소도포용 불소젤을 도포한 각 레진 시편의 무게 차이를 비교한 결과 대조군, 1분군, 4분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3.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시 불소젤을 도포시킨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거친 표면을 나타내었다.

  • PDF

불소 도포 방법과 적용 횟수에 따른 법랑질의 표면 특성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Enamel according to Fluoride Application Methods and Frequency)

  • 장선옥;최은미;오상환;강민경;김광만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69-76
    • /
    • 2011
  • 본 연구는 전문가불소도포로 사용되고 있는 1.23% APF겔과 2% NaF 용액의 적용 횟수와 방법을 달리하여 적용시 치아 경조직의 내산성에 영향을 줄 수 있을지 비교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불소도포를 실시한 모든 그룹에서 표면미세경도가 증가하였고(p<0.05), 불소도포의 횟수를 달리하는 경우 2% NaF 용액을 4회 이온 도포한 그룹에서 표면 미세경도값이 가장 높았다. 2. pH-cycling model 적용 후의 표면미세경도의 변화 비교는 모든 Group에서 불소도포 후에 비해 감소하였지만 불소 적용을 하지 않은 Control group은 가장 낮은 표면미세경도값을 나타내었으며, Control group과 전문가불소도포를 한 Group간에 표면미세경도값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3. 불소도포 하기 전 Baseline에 비해 pH-cycling model 적용 후 표면미세경도 값은 Control group에서 가장 많은 소실 값을 나타내었고, NaF 용액을 이용하여 4회 이온도포한 Group이 가장 적은 표면미세경도 소실값을 나타내었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4. Control group에 비해 1회씩 불소 도포한 Group에서 법랑질의 탈회가 적게 관찰되었고, 4회 불소 도포한 Group의 표면은 Control group과 1회씩 불소 도포한 Group에 비해 규칙적인 표면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종합해보면 법랑질 산부식증 유발환경에서 2% NaF 용액을 4회 이온도포하는 전문가불소도포법이 법랑질 탈회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나타났다.

불소함유 접착테잎의 법랑질 침식 예방효과 (PREVENTIVE EFFECT OF ADHESIVE TAPE SUPPLEMENTED WITH NaF ON ENAMEL EROSION IN VITRO)

  • 이상호;이난영;이인화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82-90
    • /
    • 2010
  • 본 연구는 불소함유 접착테잎의 법랑질 침식 예방효과를 평가하기 위해건강한 소의 치아를 절단하여 아크릴 주형에 매몰하고 정중선에 홈을 형성하여 대조면과 불소 제제를 도포할 실혐면으로 나누었다. 시편을 무작위로 18개씩 4군으로 나누었다. 1군은 APF gel를 도포하고, 2군은 불소 바니쉬를 도포하였으며, 3군과 4군은 5% NaF를 각각 첨가한 methyl cellulose와 poly vinyl alcohol 테잎을 부착하였다. 시편을 콜라에 5분, 증류수에 10분씩 6회 번갈아 처리하며 5일 동안 반복하였다. 시간 경과에 따라 표면미세경도를 측정하고 5일후 각 시편을 절단하여 침식병소의 깊이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표면미세경도 값은 5일째만 제외하고 2군, 3군, 4군의 실험면이 각각의 대조면에 비해 컸다 (p<0.05). 2군, 3군, 4군의 실험면 역시 5일째만 제외하고 1군의 실험면에 비해 표면미세경도가 컸다 (p<0.05). 3군과 4군 사이에는 표면미세 경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1군의 실험면과 대조면은 표면미세경도의 유의차가 없었다(p>0.05). 2. 침식병소의 깊이는 2군, 3군, 4군의 실험면이 각각의 대조면에 비해 컸다(p<0.05). 2군, 3군, 4군의 실험면은 1군의 실험면에 비해 침식병소의 깊이가 얕았다 (p<0.05). 2군, 3군, 4군의 실험면 사이의 침식병소의 깊이는 유의차가 없었다(p>0.05). 상기 결과로 보아 새로 개발된 불소함유 접착테잎은 기존의 불소 바니쉬와 같은 법랑질 침식 예방효과가 분명하게 나타나, 법랑질 침식에 감수성이 높은 어린이 환자에게 임상적인 예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수종(數種)의 불소제재(弗素製材)에 의해 전처치(前處置)된 재식(再植) 치아(齒牙)의 조직학적(組織學的) 반응(反應)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HISTOLOGIC RESPONSE OF REPLANTED TEETH PRETREATED WITH SEVERAL FLUORIDE COMPOUNDS)

  • 김은숙;김종수;김종호;김용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61-382
    • /
    • 1997
  • The effect of fluoride pretreatment upon root resorption after delayed replantation was studied in beagle dogs. Upper and lower incisors were extracted and bench dried for 45 minutes. 1% Stannous fluoride solution, 2% neutral sodium fluoride gel and 1.23% acidulated phosphate fluoride gel were used for the pre-treatment of replanted root surface in the experimental groups. Replantation was done with no treatment in control group. After of an experimental periods 3 weeks, animals were sacrificed by perfusion followed by sample preparation. A histomorphometric method was applied for evaluation of tissue reactions observed in each group under light microscope.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was done to find out any different surface topography between group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luoride-treated groups showed in general the better healing patterns than untreated control group. 2. Comparisons between three experimental groups revealed the general superiority of APF-treated group over the other groups in terms of tissue healing reaction by showing the highest frequency in uncomplicated healing pattern and surface resorption and the lowest in inflammatory resorption, but with no statistical significance(p>.05). 3. Scanning elecron micrographs showed the irregular distribution of resorption cavities and the attached bone of variable size and shape in all groups. 4.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types of fluoride did not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 early tissue reactions after delayed replantation under the condition of the present experiment.

  • PDF

개인 트레이를 이용한 불소도포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study of the fluoridation effect via individual tray compared with other methods)

  • 조병근;서은주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251-260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compare the fluoridation effect via individual tray with other professional methods. In oder to compare the fluoridation effect, 40 extracted human teeth was divided into 4 groups(each group was composed of 10 teeth) and the surface hardness of each group was tested in untreated, after fluoridation, after fluoridation and etching by 10% lactic acids. group I: no fluoridation(control) group II : fluoridation with 123%APF group III : fluoridation by iontophoresis with 2% NaF group IV : fluoridation by individual tray with 4% SnF2 gel Surface hardness was measured with Micro hardness tester(Shimadzu Co. Japan),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repeated measures ANOVA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our tested groups demonstrated nearly the same SMH in extracted state. 2. The SMH after fluoridation showed $330.57{\pm}139.09kg/mm^2$ in group IV, $221.79{\pm}187.48kg/mm^2$ in group II, $186.43{\pm}53.13kg/mm^2$ in group III. So the SMH of group IV, II were was significantly increased(p<0.01). 3. The SMH of group II, III, IV after acid etching wa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p<0.01). 4. The SMH between group II, III, and IV after acid etching was not different significantly.

  • PDF

대구광역시 초등학교 구강보건실 시범운영의 효과평가 - 사업 4차년도 평가 분석 - (The 4th Year Appraisal for Effectiveness of School-based Oral Health Program in Daegu, Korea)

  • 박지혜;정성화;송근배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1-81
    • /
    • 200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long term effects of school-based oral health program on the decrease of dental caries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otal 283 students of one elementary school in Deagu, Korea. They had received school-based oral health programs more than one year since 2004. This school-based oral health program included regular oral examination, fluoride mouthrinsing, pit-and-fissure sealing, APF gel application, tooth brushing instruction and chewing the xylitol tablets. The subjects' oral health status were examined and calibrated by a dentist every year from 2004 to 2007. Results: The change of DMFT index were as follows: (1)The subjects who entered the school at 2004 - 0.32(2004), 0.25(2005), 0.25(2006) and 0.38(2007), (2)the subjects who entered the school at 2005 - 0.18(2005), 0.31(2006) and 0.32(2007), and (3)the subjects who entered the school at 2006 - 0.19(2006) and 0.27(2007). Conclusions: This study partially showed the effects of school-based oral health programs on the increments of dental caries. This programs should be expanded widely among elementary schools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