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OA estimation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8초

다중센서 환경에서 위치추정 정확도 향상 방안 연구 (A Study on method to improve the detection accuracy of the location at Multi-sensor environment)

  • 나인석;김영길;정지훈;조제일;김산해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37-340
    • /
    • 2011
  • 신호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전파를 이격된 다중센서에서 수신하여 신호원의 위치를 추정하는 시스템에서는 신호원의 위치와 센서들의 위치에 따라 위치추정 정확도가 저하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을 GDOP 효과라 하며, 이러한 효과를 최소화하여 위치탐지정확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에 대해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격 배치된 센서들의 방위(AOA; Angle of Arrival) 정보를 이용하여 GDOP 효과의 발생 가능성을 추정하고, 위치 추정에서 오차 요인이 되는 센서를 제거하여 GDOP 효과로 인한 성능 저하를 최소화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 결과를 서술하겠다.

  • PDF

회전안테나를 이용한 고정 신호원 위치탐지 시스템 (The Geolocation Estimation System for a Stationary Emitter using Rotating Antenna)

  • 곽현규;김상원;최대규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681-689
    • /
    • 2016
  • In the direction and location finding field of application, AOA, TDOA and FDOA, etc. are us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geolocation. But, these methods cause some limitations such as the calibrations for phase and amplitude matching and precise time synchronization among receiving channels. In this paper, We suggest a method for generating FDOA using rotating antenna and the geolocation of stationary emitter using two receivers in one platform for minimizing the limitations. We present performance of simulation results and test results of the FDOA geolocation system. The direction finding errors of the system are less than $0.1^{\circ}$ rms and the distance errors are less than 3 % compared with the practical distance.

A Multi-Channel Correlative Vector Direction Finding System Using Active Dipole Antenna Array for Mobile Direction Finding Applications

  • Choi, Jun-Ho;Park, Cheol-Sun;Nah, Sun-Phil;Jang, Won
    • Journal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제7권4호
    • /
    • pp.161-168
    • /
    • 2007
  • A fast correlative vector direction finding(CVDF) system using active dipole antenna array for mobile direction finding(DF) applications is presented. To develop the CVDF system, the main elements such as active dipole antenna, multi-channel direction finder, and search receiver are designed and analyzed. The active antenna is designed as composite structure to improve the filed strength sensitivity over the wide frequency range, and the multi-channel direction finder and search receiver are designed using DDS-based PLL with settling time of below 35 us to achieve short signal processing time. This system provides the capabilities of the high DF sensitivity over the wide frequency range and allows for high probability of intercept and accurate angle of arrival(AOA) estimation for agile signals. The design and performance analysis according to the external noise and modulation schemes of the CVDF system with five-element circular array are presented in detail.

A Study on Estimation of Liquid Leakage Using Wide Angle Camera Based Angled of Arrival Algorithm in Bio Plant

  • Shin, Jaekwon;Mariappan, Vinayagam;Woo, Deokgun;Lee, Junghoon;Lee, Jisung;Kim, Minsoo;Kim, Jinta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7권1호
    • /
    • pp.1-6
    • /
    • 2018
  • In addition to the instability of energy import costs caused by the depletion of petroleum resources, which is a representative energy resource, and the strengthening of various regulations such as the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the plant for bio energy production, which is being watched as the next generation energy, and became subject of various complaint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bio-plant is underground and the ground is parked, making the convenience and accessibility of citizens more and more accessible. In this situation, the development of bioenergy production technology also increases the risk factor in bioenergy production process. Accordingly this paper explains method about apply the wide angle camera based AOA algorithm to the bio plant to prevent the accidents from spreading due to the lack of facilities and safety devices and the aging of the facilities and suggests a technique that can quickly identify the location and direction when it occurs.

셀룰라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경로손실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한 이동국의 위치와 속도 추정 방식 (On Estimating Position and Velocity of Mobile Stations by Path-loss Data Base in a Cellular System)

  • 이상헌;정우곤;최형진
    • 전자공학회논문지S
    • /
    • 제35S권11호
    • /
    • pp.19-27
    • /
    • 1998
  • 차세대 셀룰라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지국의 소형화와 서로 다른 크기의 기지국의 복합형태인 계층구조 셀룰라 형태를 가지게 되는데 이에 따른 시스템의 컨트롤은 이동국의 정확한 위치와 속도에 관한 추정을 전제로 한다[13].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연구되어온 이동국의 위치 추정 기법인 AOA(Angle of Arrival)와 TOA(Time of Arrival) 및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의 방법을 설명하고 그 문제점을 분석하였고, 반사와 회절이 심하여 이동국의 위치 및 속도 추정이 어려운 마이크로셀 환경에서는 서비스 지역내 경로손실 값의 이산 지역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이동국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속도의 추정은 위치의 추정치로부터 시간에 대한 변화값으로 얻었다.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시스템의 Causality를 만족하는 범위 안에서 이동평균(Moving Average) 방법의 Smoothing을 적용하여 그 성능을 개선하였다. 또한 이산지역 데이터 베이스의 탐색지역을 줄이는 방법을 제안함으로 시스템의 구현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TDOA/FDOA 복합 위치추정 시스템에서 FDOA 측정 정확도에 따른 추정 성능 기여도 분석 (Analysis on the Contribution of FDOA Measurement Accuracy to the Performance of Combined TDOA/FDOA Localization Systems)

  • 김동규;김용희;한진우;송규하;김형남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5호
    • /
    • pp.88-96
    • /
    • 2014
  • 현대 전자전 지원 시스템에서는 TDOA (time difference of arrival)나 FDOA (frequency difference of arrival)와 같은 비도래각 정보를 이용하여 미상 신호원의 위치를 추정하는 정밀 위치추정 기법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기존의 단일 TDOA 기반 기법에 관한 연구는 위치추정 알고리즘뿐만 아니라 측정 정확도 향상에 대해 다양한 진척이 이루어졌으며, 최근에는 TDOA와 FDOA 정보를 동시에 사용하여 적은 수신단 수로 보다 많은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신호원의 속도 추정이 가능한 복합 위치추정 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TDOA/FDOA 복합 위치추정 시스템이 기존 단일 TDOA 시스템을 대체할 수 있는 추정 성능을 갖기 위해 요구되는 FDOA 측정 정확도와 성능분석 과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CRLB (Cramer-Lao lower bound)의 분석을 통해 TDOA/FDOA 위치추정 시스템이 단일 TDOA 위치추정 시스템에 비해 향상된 추정 정확도를 갖기 위해 요구되는 FDOA 측정 정확도의 기준과 이에 따른 기여도를 분석하고, Gauss-Newton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 결과를 검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