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

검색결과 4,485건 처리시간 0.038초

다중 성분의 저표본화된 AM, FM 및 AM-FM 신호들의 복조와 성능 (Demodulation and Performance of Multicomponent Undersampled AM, FM and AM-FM Signals)

  • 손태호;황의천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시스템및제어부문D
    • /
    • 제49권7호
    • /
    • pp.399-406
    • /
    • 2000
  • We propose an nonlinear demodulation algorithm for undersampled multicomponent AM(Amplitude Modulation), FM(Frequency Modulation) and AM-FM signals. First, we derive respectively undersampling frequency of the AM, FM and AM-FM using undersampling scheme, and separate respectively monocomponent signals from multicomponent signals using periodic algebraic separation algorithm. In this case augmented separation matrix is very regular and sparse, it has a special structure. The proposed demodulation algorithm detects respectively message signals of the IA(Instantaneous Amplitude) and IF(Instantaneous Frequency) from descrete monocomponent AM, FM and AM-FM signals with an undersampling frequency to be controllable. Verifying the RMS(Root Mean Squares) errors of the detected signals, we show that the performance is excellent.

  • PDF

Cyanex 301 추출제에 의한 Am(III)과 Eu(III)의 상호분리

  • 양한범;임재관;이일희;유재형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2)
    • /
    • pp.533-538
    • /
    • 1998
  • 추출제 Cyanex 301에 대한 NaN $O_3$ 매질에서 Am과 Eu의 추출 및 상호분리 거동에 대해 고찰하였다. Cyanex 301에 대한 Am과 Eu의 추출거동은 매우 유사하여 상호 분리할 수 없었으나 Cyanex 301을 8M NaOH로 비누화 처리하여 NaN $O_3$ 용액 매질에서 Eu에 대한 미량의 Am의 분배계수를 측정한 결과 Am에 대한 선택적 추출성이 높게 나타났다. Cyanex 301의 비누화을, 수용상의 pH 및 Eu 농도가 높아질수록 Am과 Eu의 상호 분리계수인 S $F_{AM}$Eu/는 930까지 증가되었으나 Cyanex 301에 옥탄올을 첨가할 경우에는 S $F_{Am}$ Eu/는 32.3까지 감소하였으며, Am과 Eu의 추출에 미치는 NaN $O_3$ 농도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Cyanex 301에 추출된 Am과 Eu은 pH가 4인 lM NaN $O_3$ 용액으로는 97.7% 그리고 0.05M DTPA/1.5M Lactic acid에 의해서 99% 이상 역추출되었다.

  • PDF

수용액중의 Am의 상태 (States of Am in Aqueous Solution)

  • Won Mok Jae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172-177
    • /
    • 1982
  • pH변화 5~10 범위에서 $10^{-5}$M Am 수용액의 상태를 여과법 및 인심분리법에 의하여 조사하였다. 이 실험에서 Am의 가능한 가수분해 생성물 및 용해도 상수를 추정할 수 있었다. 이때 Baes 및 Mesmer에 의하여 이론적으로 계산한 Am(OH)$_3$의 용해도를 약 10배 증가하면 즉 log k=-18.7를 log k=-17.5로 변화시키면 계산에 의한 PH변화에 따른 Am농도곡선은 실험치와 완전히 일치하였다.

  • PDF

저표본화된 주성분의 AM-FM 신호들로부터 대수적 분리와 에너지 연산자를 사용한 복조기 설계 및 특성 (Digital Demodulator Design and Characteristics Using Algebraic Separation and Energy Operator from Undersampled Two-Component AM-FM Signals)

  • 손태호;이민호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력기술부문A
    • /
    • 제48권5호
    • /
    • pp.643-649
    • /
    • 1999
  • In this paper, we proposed that i) noise-tolerant four kinds of AM(Amplitude Modulation)-FM(Frequency Modulation) demodulators are designed, ⅱ) we derived undersampling frequency through the product via energy operator of the monocomponent AM-FM signals separated form two-component AM-FM signals, and ⅲ) these four kinds of AM-FM demodulators detect respectively information signals of the IA(Instantaneous Amplitude) and IF(Instantaneous Frequency) by undersampling frequency to be different each other from the undersampled monocomponet AM-FM signals. Particularly, the proposed algorithm can control undersampling frequency by an integer factor. And these efficient AM-FM demodulators are well worked with the undersampled AM-FM signals.

  • PDF

방사분석과 분광학을 이용한 Am(III) 가수분해와 옥살레이트 착물 화학종 연구 (Radioanalytical and Spectroscopic Characterizations of Hydroxo- and Oxalato-Am(III) Complexes)

  • 김희경;조혜륜;정의창;차완식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97-410
    • /
    • 2018
  • 아메리슘(Am)은 사용후핵연료의 장기 방사성 독성에 크게 영향을 주기 때문에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의 장기 안전성 평가에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원소이다. 분광학적 방법을 이용한 일부 악티나이드 원소의 화학반응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반면, 아메리슘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비한 상황이다. 이 연구에서는 고순도의 시료를 필요로 하는 화학반응 연구를 위하여 $^{241}Am$ 시료를 정제한 후, 액체섬광계수기와 감마선 및 알파선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정량과 정성분석을 하였다. 액체 광도파 모세관 셀을 이용한 고감도의 UV-Vis 흡수 분광학과 시간분해 레이저 형광 분광학을 이용하여 Am(III) 가수분해물과 옥살레이트(oxalate, Ox) 착물반응을 조사하였다. 산성조건에서 $Am^{3+}$은 503 nm에서 최대 흡수봉우리를 보이며, 몰흡광계수는 $424{\pm}8cm^{-1}{\cdot}M^{-1}$임을 확인하였다. 중성 이상의 pH 조건에서 형성되는 $Am(OH)_3(s)$ 콜로이드 입자에서는 506-507 nm 파장에서 최대 흡수봉우리가 관측되었다. ${Am(Ox)_3}^{3-}$ 착물은 $Am^{3+}$에 비교하여 흡수 및 발광스펙트럼이 각각 4와 5 nm정도 장파장으로 이동하였고 몰흡광계수와 발광세기도 크게 증가하였다. ${Am(Ox)_3}^{3-}$의 발광수명은 23에서 56ns으로 증가하였고 이는 Am(III)의 내부권에 결합하고 있던 약 여섯 개의 물분자가 옥살레이트의 카르복실기로 치환되었음을 의미한다. 이 결과로부터 ${Am(Ox)_3}^{3-}$은 각 옥살레이트 리간드가 두 자리 결합(bidentate)을 하고 있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위상고정회로를 사용한 AM신호 검파방식의 해석 (An Analysis of a Phase Locked AM signal Detection)

  • 문상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4-29
    • /
    • 1976
  • Phase locked AM신호 검파방식에서는 위상고정회로를 사용하여 입력신호로부터 반송신호를 분리 재생시킨다. 입력잡음은 백색 Gaussian잡음이고, 전려제어발진기의 자유발진주파수와 입력반송신호주파수가 같다는 가정하에 위상고정회로의 동작특성을 해석하고, 본 검파방식의 신호대 잡음비를 정량적으로 고찰하였다. Phase locked AM신호 검파방식은 종래의 검파방식에 비해서 잡음의 영향을 적게 받게됨을 본 해석에서 알 수 있다. In the phase locked AM signal detection, phase locked loop is used to extract a synchronous carrier from an input AM signal. Under the assumption that input noise is white Gaussian and free-running frequency of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is the same that of an input carrier, operational behaviours of phase locked loop is analyzed and signal to noise ratio of the detection is derived quentitatively. The results show that the phase locked AM signal detection method offers a higher degree of noise mmunity than conventional AM signal detections.

  • PDF

적층식 제조(Additive manufacturing) 기술동향 (Technology Trend of the additive Manufacturing (AM))

  • 오지원;나현웅;최한신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494-507
    • /
    • 2017
  • A three-dimensional physical part can be fabricated from a three-dimensional digital model in a layer-wise manner via additive manufacturing (AM) technology, which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subtrac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Numer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take advantage of the AM opportunities to penetrate bespoke custom product markets, functional engineering part markets, volatile low-volume markets, and spare part markets. Nevertheless, materials issues, machines issues, product issues, and qualification/certification issues still prevent the AM technology from being extensively adopted in industries. The present study briefly reviews the standard classification, technological structures, industrial applications, technological advances, and qualification/certification activities of the AM technology. The economics, productivity, quality, and reliability of the AM technology should be further improved to pass through the technology adoption lifecycle of innovation technology. The AM technology is continuously evolving through the introduction of PM materials, hybridization of AM and conventional manufacturing technologies, adoption of process diagnostics and control systems, and enhanced standardization of the whole lifecycle qualification and certification methodology.

Kinetics of nitrification and acrylamide biodegradation by Enterobacter aerogenes and mixed culture bacteria in sequencing batch reactor wastewater treatment systems

  • Madmanang, Romsan;Jangkorn, Siriprapha;Charoenpanich, Jittima;Sriwiriyarat, Tongchai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4권2호
    • /
    • pp.309-317
    • /
    • 2019
  • This study evaluated the kinetics of acrylamide (AM) biodegradation by mixed culture bacteria and Enterobacter aerogenes (E. aerogenes) in sequencing batch reactor (SBR) systems with AQUASIM and linear regression. The zero-order, first-order, and Monod kinetic models were used to evaluate the kinetic parameters of both autotrophic and heterotrophic nitrifications and both AM and chemical oxygen demand (COD) removals at different AM concentrations of 100, 200, 300, and 400 mg AM/L. The results revealed that both autotrophic and heterotrophic nitrifications and both AM and COD removals followed the Monod kinetics. High AM loadings resulted in the transformation of Monod kinetics to the first-order reaction for AM and COD removals as the results of the compositions of mixed substrates and the inhibition of the free ammonia nitrogen (FAN). The kinetic parameters indicated that E. aerogenes degraded AM and COD at higher rates than mixed culture bacteria. The FAN from the AM biodegradation increased both heterotrophic and autotrophic nitrification rates at the AM concentrations of 100-300 mg AM/L. At higher AM concentrations, the FAN accumulated in the SBR system inhibited the autotrophic nitrification of mixed culture bacteria. The accumulation of intracellular polyphosphate caused the heterotrophic nitrification of E. aerogenes to follow the first-order approximation.

뱀장어 병어로부터 분리한 Edwardsiella tarda의 약제내성 (Survey of drug resistance in Edwardsiella tarda isolated from diseased eels(Anguilla japonica))

  • 최민순;최상훈;박관하;장선일;윤창용;조정곤;송희종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95-201
    • /
    • 1996
  • 군산근교의 양만장에서 애드와드병에 이환된 뱀장어로부터 총 96균주의 E.tarda균을 분리한 후 이들 분리균의 약제감수성 검사를 실시하고 아울러 내성균의 내성인자 전달 시험을 실시하였다. 공시한 모든 균주는 SM, AK, NF 및 GM등에는 100% 감수성을 보였으나, 대부분의 균주가 SD(86균주), AM(84균주), PM(80균주), NA(67균주), OT(44균주) 및 OA(37균주) 등의 내성을 보였다. 내성유형은 20유형으로서 거의 모든 균주가 2제 이상의 다제내성을 보였으며, 그중 SD-AM-PM-NA-OA(16균주), SD-AM-PM-NA(14균주), SD-AM-PM-NA-OT-OA(12균주), SD-AM-PM-OT(10균주) 및 SD-AM-PM-NA-OT(8균주) 유형등이 고빈도로 출현하였다. 내성균주의 내성인자 전달 빈도는 94균주중에서 78균주가 단계에서 6제까지의 다제내성인자의 전달을 보였다. 그중 AM 및 AM-PM-NA유형(8균주), PM,SD 및 AM-SD유형(6균주), AM-PM, PM-SD 및 AM-SD-OT유형(4균주)등이 고빈도 출현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양만장에서 다양한 항균제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다제내성현상이 확산되어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허브제품(Animunin Powder$^{?}$)의 급여가 산란계의 계란품질과 혈액성상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Herb Products(Animunin Powder$^{?}$) on Egg Characteristic, Blood Components,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Laying Hens)

  • 손경승;권오석;민병준;조진호;진영걸;김인호;김흥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37-244
    • /
    • 2004
  • 본 연구는 산란계에 Animunin Powder$^{(R)}$를 첨가 급여시 계란 품질, 혈액 성상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22주령 Hy-line Brown 270수를 공시하였고 사양시험은 10일간의 적응기간 후, 5주간 실시하였다. 시험처리구는 Animunin Powder$^{?}$의 첨가수준에 따라 1) Control(CON), 2) Control + $0.1\%$ Animunin Powder$^{(R)}$ (AM1), 3) Control + $0.2\%$ Animunin Powder$^{(R)}$ (AM2)로 3개 처리를 하여 처리당 15반복 반복당 6수씩 임의배치하였다. 산란률은 4주 동안의 기간에서 AM1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산란률을 보였으며(P<0.05), 8주 동안의 기간에서도 AM1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산란률을 보였다(P<0.05). 난중에 있어서는 시험 기간동안 유의적인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난황색은 8주에서 AM2 처리구가 대조구 및 AM1 처리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Haugh unit은 4주에서 AM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보였다(P<0.05). 난각 강도는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으나, 8주에서 AM2 처리구가 대조구 및 AM1 처리구에 비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난각 두께는 전 기간에 걸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청내 콜레스테롤에서는 Animunin Powder$^{(R)}$ 첨가한 시험구에서 콜레스테롤 함량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RBC 및 WBC에서는 허브의 첨가 수준에 따라서 혈액내 RBC및 WBC의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Lymphocyte는 개시시와 종료시의 변화에서 AM1 처리구가 대조구와 AM2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4주 및 8주에서 AM1 처리구가 건물의 소화율에서 대조구 및 AM1 처리구에 비해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산란계에 Animunin Powder$^{(R)}$를 급여 시 생산성 향상에 도움을 주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