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H-1

검색결과 5,275건 처리시간 0.033초

친환경 구연산처리를 통한 폐흑연 재활용 연구 (A Study of Recycling Lithium-ion Battery Graphite by Eco-friendly Citric Acid Treatment Method)

  • 손동규;박원진;김준영;윤지희;현정은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2권3호
    • /
    • pp.246-252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구연산 처리를 통하여 폐흑연의 Li, F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였으며, 이에 따른 재생 흑연의 구조적 특성, 용량 및 내구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질소 분위기에서 전처리를 진행한 재생 흑연은 구연산에서 산처리를 진행하였고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T-IR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XRD (X-ray Diffraction), XPS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를 통해 구조와 특성 분석을 진행하였다. 산처리를 진행하지 않은 폐흑연은 70 사이클 이전에서 용량이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나 구연산 처리를 진행한 흑연은 100 사이클에서 302.9 mAh g-1의 용량과 93.1%의 용량 유지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Rate performance의 전류 밀도 변화에도 구연산 처리한 샘플은 용량의 변화없이 1.0C에서 340.2 mAh g-1의 성능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구연산 처리는 효과적으로 불순물을 제거하여 높은 용량 유지율을 나타내었을 뿐만 아니라 높은 전류 밀도에서도 안정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혐기성세균모델을 이용한 봉함제(Sealer)의 미세누출에 관한 연구 (LEAKAGE EVALUATION OF SEVERAL SEALERS USING ANAEROBIC BACTERIAL LEAKAGE MODEL)

  • 배용규;오태석;윤수한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5권2호
    • /
    • pp.235-242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evaluate the sealing ability of three sealers(Sealapex, Pulp canal sealer, AH26) used with continuous wave method using an anaerobic bacterial leakage model. 53 extracted human teeth with straight and single canals were prepared with crown-down pressureless technique using .04, .06 taper Profile(Maillefer, Swiss). Master apical file was maintained as #35 K-file. All canals of the experimental teeth were obturated with continuous wave method using System B(Analytic technology, U.S.A.) The teeth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experimental groups of 15 and two control groups of 4. Experimental group 1 was obturated with Sealapex and group 2 with Pulp canal sealer, and group 3 with AH26. A dual chamber anaerobic bacterial leakage model was assembled. Brain heart infusion with yeast extract, hemin, menadion, and the chromogenic indicator bromocresol purple was used as the culture broth for Fusobacterium nucleatum(VPI 10197), The specimens were incubated in anaerobic chamber at $37^{\circ}C$ and were observed every 2 to 3 clays, The coronal leakage was evaluated through the color change of culture broth in lower chamber for 60 day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bacterial leakage in group 1 (Sealapex group was 80%, 53% in group 2 (Pulp canal sealer), 27% in group 3 (AH26). 2.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kage scores between group 1 and group 2, and between group 1 and group 3, respectively. (P<0.05) 3.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in leakage score between group 2 and group 3. (P>0 05)

  • PDF

PEI(Polyethyleneimine)를 이용하여 음이온계 레진에 고정화된 Lipase AH 제조 및 효소적 Interesterification을 통한 반응 특성 연구 (Immobilization of Burkholderia cepacia Lipase on Weak Base Styrene Resin Using Polyethyleneimine with Cross-linking)

  • 이치우;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7호
    • /
    • pp.1025-1035
    • /
    • 2014
  • 본 연구는 polyethyleneimine(PEI)을 이용하여 음이온계 레진에 비 고정화 효소인 lipase AH(Burkholderia cepacia)를 고정화한 후 효소적 interesterification을 통해 고정화 효소의 반응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효소적 interesterification에 canola oil, palmitic ethyl ester와 stearic ethyl ester를 기질로 사용하였으며 합성물의 TAG 조성 분석을 통해 특성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두 가지 고정화방법(multi layer, mono layer)으로 고정화를 진행하였으며 사용된 lipase solution의 농도와 pH를 달리하여 실시하였다. 먼저 효소와 support 간의 친화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고정화에 사용된 lipase solution의 농도가 8 mg/mL일 때 친화력이 좋았으며 MUIM의 경우 pH 7.5에서, MOIM의 경우 pH 8.0에서 고정화 효율이 가장 좋았다. 또한 고정화 효소의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interesterification을 진행하였고 TAG와 sn-2 position 분석을 통하여 활성을 비교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참고하여 가장 친화력이 좋았던 조건에서 고정화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MUIM의 경우 total saturated fatty acid(${\Sigma}SFA$)의 함량이 16.79 area%였으며 MOIM의 경우는 ${\Sigma}SFA$의 함량이 26.17 area%로 나타났다. 반면에 sn-2 position 분석결과 MUIM과 MOIM 모두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의 함량이 증가한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기존의 sn-1, 3 특이성을 가지는 lipase AH가 고정화를 통해 무작위 특이성으로 변화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RP-HPLC를 이용하여 TAG의 조성을 확인한 결과, 기질은 canola oil이 주로 OOO와 LOO로 조성되었으나 고정화 효소의 interesterification 반응 후 합성물은 주로 POO/SLO, LPO/LOP와 SOO, SOS 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생산된 MUIM과 MOIM을 이용하여 interesterification 반응을 온도, 시간을 달리하여 진행하였다. 전체적으로 MOIM의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lipase AH, MOIM과 MUIM 모두 반응시간이 증가할수록 ${\Sigma}SFA$의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12시간 이후로는 시간대비 효율은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또한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sn-2 position의 ${\Sigma}SFA$ 함량이 높아졌다. 한편 반응온도가 높을수록 ${\Sigma}SFA$의 함량도 증가하였는데, 이는 상온인 $25^{\circ}C$보다 높은 melting point를 가지는 stearic ethyl ester와 palmitic ethyl ester가 semi solid 형태로 존재하여 활성이 저해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lipase AH는 재사용이 불가능하였지만 고정화 효소인 MUIM과 MOIM은 5번을 재사용하여도 그 효소의 활성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음이온계 레진에 PEI를 이용하여 lipase AH를 고정화하였을 경우 비 고정화 효소인 lipase AH보다 MUIM과 MOIM의 활성이 더 높아 산업적으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Lithium Vanadium Oxi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 Kim, Hyung-Sun;Cho, Byung-W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1권5호
    • /
    • pp.1267-1269
    • /
    • 2010
  • The pure crystalline $Li_{1.1}V_{0.9}O_2$ powder has been prepared by a simple solid state reaction of $Li_2CO_3$ and $V_2O_3$ precursors under nitrogen gas containing 10 mol % hydrogen gas flow. The structure of $Li_{1.1}V_{0.9}O_2$ powder was analyzed using Xray diffraction (XRD)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The stoichiometric $Li_{1.1}V_{0.9}O_2$ powder was used as an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Its electrochem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by cyclic voltammetry and constant current methods using lithium foil electrode. The observed specific discharge capacity and charge capacity were 360 mAh/g and 260 mAh/g during the first cycle,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yclic efficiency of this cell was 72.2% in the first cycle. The specific capacity of $Li_{1.1}V_{0.9}O_2$ anode rapidly declines as the current rate increases and retains only 30 % of the capacity of 0.1C rate at 1C rate. The crystallinity of the $Li_{1.1}V_{0.9}O_2$ anode decrease as discharge reaction proceeds. However, the relative intensity of main peaks was almost recovered when the cell was charged up to 1.5 V.

사람의 정상 피부세포 및 폐세포의 발암에 미치는 2,3,7,8-Tetrachlorodibenzo-$\rho$-dioxin의 영향 (Tumorigenic Effects of 2,3,7,8-Tetrachlorodibenzo-$\rho$-dioxin in Normal Human Skin and Lung Fibroblasts)

  • 강미경;염태경;김강련;김옥희;강호일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77-85
    • /
    • 2006
  • 2,3,7,8-Tetrachlorodibenzo-$\rho$-dioxin(TCDD) displays high toxicity in animals and has been implicated in human carcinogenesis. Although TCDD is recognized as potent carcinogens, relatively little is known about their role in the tumor promotion and carcinogenesis. It is known that TCDD can increase of cancer risk from various types of tissue by a mechanism possibly involving the aryl hydrocarbon receptor (AhR) activation. In this study, effects of TCDD on cellular proliferation of normal human skin and lung fibroblasts, Detroit551 and WI38 cell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TCDD-mediated carcinogenesis, we have investigated process in which expression of Erk1/2, cyclinD1, oncogene such as Ha-ras and c-myc, and their cognate signaling pathway. TCDD that are potent activators of AhR-mediated activity was found to induce significant increase of cytochrome P4501A1 mRNA expression, suggesting a presence of functional AhR. These results support that CYP1A1 enzyme may be involved in the generation of TCDD-induced toxicity. Moreover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RKs) phosphorylation and cyclin D1 overexpression are induced by TCDD, which corresponded with the progression of cellular proliferation. However, TCDD did not affected Ha-ras and c-myc mRNA expression. Taken together, it seems that TCDD are could be a part of cellular proliferation in non-tumorigenic normal human cells such as Detroit551 and WI38 cells through the upregulation of MAPKs signaling pathway regulating growth of cell population. Therefore, AhR-activating TCDD could potentially contribute to tumor promotion and Detroit551 and WI38 cells have been used as a detection system of tumorigenic effects of TCDD.

  • PDF

근관 전색재의 방사선 불투과성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RADIOPACITY OF ROOT CANAL SEALERS)

  • 김태민;김서경;황인남;황윤찬;강병철;윤숙자;이재서;오원만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1호
    • /
    • pp.61-68
    • /
    • 2009
  • 다양한 근관전색제는 방사선 사진상 주위 해부학적 구조와 구별될 만한 방사선 불투과성을 나타내야 한다. 따라서 이런 물질들이 근관에 충전될 때의 방사선 불투과성 정도를 평가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다양한 근관전색제들의 방사선 불투과성을 평가하고자, 방사선 노출조건에 따른 aluminium step wedge에 대한 광학 밀도를 알아보고, 그 중 적절한 노출조건을 선택하여 수종의 근관 전색재의 방사선 불투과성 정도를 알루미늄 두께로 환산하여 비교해 보고자 한다. 방사선 불투과성의 기준을 위해 11개의 step으로 구성된 aluminum step wedge을 사용하여, 60kVp, 70kVp 관전압 상태에서 각각 0.2, 0.3, 0.4초 그리고 0.2, 0.3, 0.33초의 노출시간으로 교합필름상에서 방사선 촬영후 적절한 노출 조건을 구하였다. 직경 5 mm, 각각의 두께 0.5, 1.0, 1.5, 2.0, 2.5, 3.0 mm인 10종 (Tubli-$Seal^{TM}$, Kerr pulp Canal $Sealer^{TM}$, $AH26^{(R)}$, $AHplus^{(R)}$, AH plus jet starter $kit^{TM}$, Ad $seal^{TM}$ $Sealapex^{TM}$, Nogenol root canal $sealer^{TM}$, ZOB $seal^{TM}$, $Epiphany^{TM}$)의 근관전색재 시편을 각 재료와 두께당 10개씩 제작한 후, 동일한 두께의 상아질 시편, aluminum step wedge와 함께 정해진 노출시간에 따라 방사선 촬영을 하였다. 모든 필름은 자동현상기로 현상하였다. 시편의 방사선 흑화도를 densitometer로 5회 반복 측정 후, 평균값을 구하여 알루미늄 두께로 환산하였다. 얻어진 정보를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관전압 60 kVp에서 노출시간 0.2, 0.3, 0.4초, 70 kVp에서 0.2, 0.3, 0.33초로 변화를 주어 방사선 촬영을 하였을 때, 흑화도가 ISO No. 6876 규격에 가장 적합한 것은 60 kVp, 0.2초 일 경우였다. 2. 측정된 근관 전색제의 방사선 불투과성은 2.29 mm Al (NOGENOL)로부터 13.69 mm Al (AH Plus jet)까지 다양하게 나타났으나, 모두 ANSI/ADA specification (2000) 또는 ISO No. 6876 (2001) 규격이 제시한 최소한 3 mm Al이상의 방사선 불투과성을 지녀야 한다는 기준에 적합하였다. 3. 재료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방사선 불투과성은 증가하지만, 정비례하지는 않았다. 4. 각 실험재료의 1 mm 두께의 시편에 대한 mm Al값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본 실험에 사용된 수종의 근관 전색재는 모든 규격에 적합한 방사선 불투과성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Sol-Gel 법에 의한 LiMn$_2$O$_4$의 합성 및 리튬이차전지용 전극물질로의 특성 (The Synthesis of LiMn$_2$O$_4$by sol-gel method and properties as electrode materials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 이진식;박용성;우제완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19-225
    • /
    • 2000
  • 스피넬형의 $LiMn_2$O$_4$는 출발물질로 LiOH와 Mn($CH_3$COO)$_2$.$4H_2$O를 사용하여 졸-겔법으로 합성한 xerogel을 $150^{\circ}C$로 1차 열처리한 후 $350^{\circ}C$로 2차 열처리하여 합성하였다. 그러나 $350^{\circ}C$ 이상으로 열처리할 경우 $Mn_2O_3$가 생겼으며, 이로 인해서 Li/lM $LiClO_4$(in PC)$LiMn_2O_4$cell을 구성하여 0.25 mA/$\textrm{cm}^2$의 전류밀도로 충.방전 실험을 한 결과 $350^{\circ}C$에서 열처리한 것은 15 cycle후에 88 mAh/g에서 56 mAh/g으로 35.7%의 용량감소가 나타났으나 $500^{\circ}C$에서 열처리한 것은 89 mAh/g에 51 mAh/g으로 42.5%의 용량감소가 나타났으며 이는 $Mn^{3+}$ 의 증가로 인한 Jahn-Teller distortion의 결과로 볼 수 있다.

  • PDF

한탄바이러스가 혈소판활성인자 수용체 발현 및 혈소판활성인자 분해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antaan Virus on the Expression of Platelet Activating Factor Receptor and on the Activity of Platelet Activating Factor Acetylhydrolase)

  • 황지영;박종원;홍세용;박호선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5권1호
    • /
    • pp.41-49
    • /
    • 2008
  • 한탄바이러스가 혈소판활성인자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간접적으로 혈소판활성인자 수용체의 발현과 분해효소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혈관내피세포에서 혈소판활성인자 수용체의 유전자를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단백질은 western blot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세포표면에 발현된 혈소판활성인자 수용체의 양은 FACS로 분석하였다. 한탄바이러스에 감염된 혈관내피세포에서 혈소판활성인자 수용체의 유전자, 단백질, 세포 표면의 발현 모두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 대조 세포보다 감염 후 2, 3일째 증가 하였다. 혈액 내 혈소판활성인자 분해효소의 활성을 비교한 결과 신증후출혈열 환자에서 정상인에 비하여 2.5배 낮았다. 그리고 신증후출혈열 환자가 회복됨에 따라 혈소판활성인자의 활성이 다시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탄바이러스에 의해 증가된 혈소판활성인자 수용체의 발현이 혈소판활성인자와 혈관내피세포와 반응성을 증가시키고, 신증후출혈열 환자 혈액에서 감소된 혈소판활성인자 분해효소가 혈소판활성인자의 분해를 지연 시켜 작용시간을 증가 시킴으로써 과다한 혈소판활성인자의 생물학적 작용이 신증후출혈열의 병리현상을 초래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사할린가자미(Limanda sakhalinensis)의 난발생 과정 및 자치어 형태발달 (Egg Development and Morphological Change of Larvae and Juveniles of the Sakhalin Sole Limanda sakhalinensis)

  • 한경호;나해춘;박애전;박재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87-295
    • /
    • 2017
  • Egg development and morphological change of larvae of the Sakhalin sole Limanda sakhalinensis were studied by observing specimens obtained in a rearing experiment from fertilized eggs to the juvenile stage. The wild broodstock was collected in January 2010 and kept in a circular water tank (${\O}1.5{\times}1m$) at a temperature of $14.5{\pm}0.5^{\circ}C$. Fertilized eggs ranged from 0.72 to 0.82 mm ($0.77{\pm}0.07mm$, $mean{\pm}SD$) in diameter. The eggs were spherical, transparent and adhesive demersal. The egg yolk was divided from the oocyte 10 min after fertilization (AF), and an embryo was formed in 36 h AF. More than 50% of the eggs hatched within 133 h AF. The mouth and anus did not open until $3.5{\pm}0.25mm$ total length (TL). At 4, days after hatching (AH), the fish became larvae 3.7 to 4.2 mm ($4.0{\pm}0.36mm\;TL$), yolk absorption was completed and the mouth began to open. The left eye moved upward and the nostril moved to the right at 39 days AH. These post-larvae ranged from 8.0 to 9.9 mm TL ($8.9{\pm}1.33mm\;TL$). At 50 days AH, the fish became juveniles ($12.4{\pm}1.20mm\;TL$) There were 70-72 dorsal fin rays, 55-56 anal fin rays, 11 pectoral fin rays, and 6 ventral fin rays and the juveniles adopted a benthic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