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V

검색결과 384건 처리시간 0.027초

Development of an Automatic Silkworm Breeding System

  • Sang Kwun Jeong;Sung Wook Jang;Jin kook Son;Seong Wan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7권2호
    • /
    • pp.79-89
    • /
    • 2023
  • This paper is about the development results of an automatic silkworm breeding system to reduce labor and time by automatically performing the works for silkworm droppings changing and feed its food. It consists of an automatic guided vehicle and a processing unit. The automatic guided vehicle transports a silkworm dropping changing frame mounted on a silkworm tray stand, and the processing unit takes over the dropping changing frame on it, removes excrement contained the droppings changing frame and feeds silkworm food. In the case of the current silkworm farming, because the breeding period for large silkworms (4 to 5 stage) is short to 14 days and the supply of mulberry leaves takes 98% of the total amount of mulberry leaves needed for breeding silkworms at this time, labor concentration is intensive, and all breeding works depends on manpower. Therefore, it was difficult to breed large silkworms on a large scale. Moreover, silkworms are bred by adding Silkworm bed (Seop) and mulberry in the silkworm tray, and their droppings changing is to separate silkworms and excrement by moving silkworm trays one by one, and the production cost increases due to the high-cost manpower for silkworm breeding. To solve this problem, technology for automating silkworm breeding has also been developed. However, there is still a limitation that silkworm feeding and droppings changing works are not suitable for mass breeding because a lot of labor and time are spent depending on manual work. Therefore, a new silkworm breeding system for breeding silkworm automatically is needed and so we developed an Automatic Silkworm Breeding System applying the droppings change frame, the inverting unit, the feeding silkworm food device and automatic guided vehicle.

이송장비의 Pooling 운행방식에 따른 터미널하역생산성 효과 (A study on the productivity effects of transport vehicle by pooling system at container terminals)

  • 하태영;신재영;최용석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7-38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이송장비의 조별운행방식과 Pooling 운행방식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의 하역시스템 생산성을 비교분석하였다. 기존 컨테이너 터미널에서는 다수의 이송장비가 1개조로 구성되어 하나의 컨테이너 크레인(C/C)에 대해서만 양 ${\cdot}$ 적하작업을 지원하는 고정할당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할당방식은 하역작업시 혼선이 적고 차량이 일괄적 운행경로를 가지므로 지금까지 매우 광범위하게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각기 다른 조에 편성된 이송장비간에는 상호지원을 하지 않기 때문에 이송장비의 작업융통성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비해 본 연구에서는 이송장비의 작업조를 편성하지 않고 투입된 모든 이송장비가 자유롭게 다수의 C/C에 대한 이송작업을 지원할 수 있는 4가지의 동적할당기법을 제시한다. 제시된 4가지의 동적할당은 차량할당시에 C/C의 순번(Se), 대기시간(Qt), 생산성(Pr), 차량할당수(Nv), 버퍼수(Nb)를 고려하는 것으로 연구결과에서 C/C의 현재대기시간, 할당수, 버퍼수를 동시에 고려한 동적할당방식이 가장 효율적이였고, 그 다음으로 할당순서에 기준한 방식이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C/C의 현재생산성이나 대기시간만을 고려한 할당방식은 상대적으로 고정할당방식보다 낮은 효율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nti-G 슈트 공압 제어를 위한 제어법칙 개발 (Development of a Control Law to Pneumatic Control for an Anti-G Suit)

  • 김종섭;황병문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548-556
    • /
    • 2015
  • F-22, F-16 및 F-15와 같은 고성능 전투기는 전투성능의 극대화를 위해 고기동성(highly maneuverable)을 보유하고 있다. 이로 인해 고기동 시에 조종사는 고중력가속도(high gravity acceleration)에 노출되고 피로도(fatigue)의 증가로 임무효율의 저하가 발생하며, 심할 경우에는 의식상실(Gravity-induced Loss Of Consciousness, GLOC)에 직면할 수 있다. 선진 항공업체에서는 조종사가 고중력가속도에 견딜 수 있는 내성을 향상시켜 의식상실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다양한 기술을 항공기에 적용하고 있다. 특히, 가속도방호복(Anti-G Suit)은 GLOC으로 인한 의식 상실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투 기동 시에 조종사의 피로를 감소시킴으로써 임무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초음속 고등훈련기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고기동 시에 중력가속도의 증가에 따라 AGS에 최적의 공기압을 제공할 수 있는 제어알고리즘을 개발하고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에 체계개발이 진행될 한국형전투기개발사업(Korean Fighter eXperimental, KF-X)에서 핵심기술을 개발하는데 기여하리라 기대한다.

양극성 자기유도센서의 성능 향상을 위한 퍼지 추론 시스템 (Improvement of Bipolar Magnetic Guidance Sensor Performance using Fuzzy Inference System)

  • 박문호;조현학;김광백;김성신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58-63
    • /
    • 2014
  • 자기테이프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경량무인운반차들(AGCs)은 디지털 자기유도센서를 사용한다. 디지털 자기유도센서는 On/Off 타입으로 자기테이프의 위치측정 정밀도가 10~50 mm의 오차를 가진다. 또한 경량무인운반차에 설치된 모터의 자기장이나 주변 환경의 외부 자기장, 지자기 등으로 인하여 정확한 위치를 추정하기 힘들다. 이러한 오차로 인하여 경량무인운반차의 주행 시에 잦은 흔들림이 발생하게 되고, 정도가 심할 경우 이탈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양극성 아날로그 자기유도센서에 퍼지 추론 시스템의 적용을 제안한다. 퍼지는 다른 알고리즘에 비하여 내고장성과 불확실성에 강인하고, 실시간 작동에 유리하며, 비선형시스템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선행과제에서 제작한 양극성 아날로그 자기유도센서로 threshold를 두어 디지털 자기유도센서를 형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자석위치 값을 계산한다. On으로 인식된 아날로그 Hall sensor의 출력을 이용하여 퍼지 추론 시스템을 설계하고, 그 출력으로 디지털출력 값을 개선한다. 실험 결과, 제안된 방법이 기존의 자기유도센서보다 성능이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