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EP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33초

Aminoalkylphosphonic Acid를 가지는 Dipeptide의 합성 (Synthesis of Dipeptides Containing Aminoalkylphosphonic Acid)

  • 홍석인;노만균;김용준
    • 대한화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4-141
    • /
    • 1975
  • 1-Aminoalkylphosphonic acid인 DL-1-aminoethylphosphonic acid(1-AEP)와 DL-1-aminopropylphosphonic acid(1-APP)를 아미노산인 glycine, DL-alanine, DL-phenylalanine과 염기성 수용액 상에서 반응시켜 아직까지 발표되지 않은 다음의 dipeptide 들을 합성하였다. N-Phthalylglycyl-1-AEP, N-phthalyl-dl-alanyl-1-AEP, N-phthalyl-dl-phenylalanyl-1-AEP, N-phthalylglycyl-1-APP, N-tosylglycyl-1-App 및 N-tosyl-dl-alanyl-1-AEP 위의 화합물들은 모두 흰색의 고체로 얻어졌으며 ninhydrine test, IR spectra, 전위차적정, 원소분석에 의해 확인되었다.

  • PD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ppropriateness Evaluation Protocol for Public Hospitals in Korea

  • Lee, Clara;Kim, Stella Jung-Hyun;Lee, Changwoo;Shin, Euichul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2권5호
    • /
    • pp.316-322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applicability of the Appropriateness Evaluation Protocol (AEP) for public hospitals in Korea. Methods: In May 2016, 1500 admission claims were collected from Korean public district hospitals using stratified random sampling. Of these claims, 560 admissions to 37 hospitals were retrieved for analysis. Medical records administrators determined the appropriateness of admission using the criteria detailed in the AEP, and a physician separately assessed the appropriateness of admission based on her clinical judgment.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AEP, the concordance of the decisions made between a pair of AEP reviewers and between an AEP reviewer and a physician reviewer was compared. Results: The results showed an almost perfect inter-rater agreement between the AEP reviewers and a moderate agreement between the AEP reviewers and the physician.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AEP were calculated as 0.86 and 0.56, respectively. Conclusions: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AEP could potentially be applied to Korean public hospitals as a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 for assessing the appropriateness of admissions.

선형 배열 안테나의 방사패턴 계산을 위한 Mirror Active Element Pattern 방법 (The Mirror Active Element Pattern Method for The Radiation Pattern Computation of Linear Array Antennas)

  • 김재현;윤영민;김부균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8호
    • /
    • pp.94-102
    • /
    • 2013
  • 선형 배열 안테나의 구조가 배열 안테나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 구조인 점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배열 안테나의 빔 주사각에 따른 방사패턴을 계산할 수 있는 mirror AEP (active element pattern) 방법을 제안한다. Mirror AEP 방법은 AEP 방법과 비교하여 배열 안테나의 방사패턴을 계산하기 위하여 필요한 full-wave 전산모의를 이용하여 구하는 소자의 AEP 수를 약반으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계산 시간을 약 반으로 줄일 수 있다. 배열 안테나를 구성하는 단위 안테나 소자의 방사패턴이 대칭인 경우에는 mirror AEP 방법으로 계산한 방사패턴과 full-wave 전산모의를 이용하여 구한 방사패턴과의 차이가 넓은 빔 주사각 범위에서 매우 작았다.

Annual Energy Production Maximization for Tidal Power Plants with Evolutionary Algorithms

  • Kontoleontos, Evgenia;Weissenberger, Simon
    • International Journal of Fluid Machinery and Systems
    • /
    • 제10권3호
    • /
    • pp.264-273
    • /
    • 2017
  • In order to be able to predict the maximum Annual Energy Production (AEP) for tidal power plants, an AEP optimization tool based on Evolutionary Algorithms was developed by ANDRITZ HYDRO. This tool can simulate all operating modes of the units (bi-directional turbine, pump and sluicing mode) and provide the optimal plant operation that maximizes the AEP to the control system. For the Swansea Bay Tidal Power Plant, the AEP optimization evaluated all different hydraulic and operating concepts and defined the optimal concept that led to a significant AEP increase. A comparison between the optimal plant operation provided by the AEP optimization and the full load operating strategy is presented in the paper, highlighting the advantage of the method in providing the maximum AEP.

급성 및 만성 호산구성 폐렴의 임상적 고찰 (Acute and Chronic Eosinophilic Pneumonia;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 현대성;여동승;김진우;이상학;이숙영;김석찬;서지원;송소향;김치홍;문화식;송정섭;박성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4호
    • /
    • pp.795-804
    • /
    • 1998
  • 연구배경: 만성 호산구성 폐렴은 장기간의 호흡기계 증상, 흉부 엑스선상의 미만성 침윤, 폐 및 말초혈액의 호산구증 및 스테로이드 치료에 극적인 반응 등으로 특징지어지는 만성적이고 재발되는 간질성 폐 질환이다. 급성 호산구성 폐렴은 만성 호산구성 폐렴과 유사하나 임상경과가 빠르고 스테로이드 치료로 호전되며 재발이 없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진단 기준을 포함한 급성 호산구성 폐렴에 대한 재평가가 시도되고 있는 실정이며, 급성 호산구성 폐렴의 진단 기준이 다소 제한적이라는 연구도 보고되고 있다. 저자 등은 본원에 내원한 급성 및 만성 호산구성 폐렴환자의 임상적인 특정과 임상경과를 알아보고 서로 비교하여보았다. 방 법: 1992년부터 1997년까지 가톨릭 의과대학 7개 부속 병원에서 급성 및 만성 호산구성 폐렴으로 진단된 16예의 임상상을 요약하였다. 급성 및 만성 호산구성 폐렴의 진단 기준으로는 기침, 발열, 호흡곤란의 호흡기계 증상이 있고, 흉부 X-선과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폐침윤이 있는 환자로, 폐 호산구증은 기관지 폐포 세척과 경기관지 폐생검 및 개흉 폐생검으로 진단하였으며, 호산구증을 일으키는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는 제외하였다. 곁 과: 16명의 환자 중 급성 호산구성 폐렴환자가 7명 (남자 5명, 여자 2명), 만성 호산구성 폐렴환자가 9명 (남자 5명, 여자 4명) 이었다. 평균 연령은 AEP 환자 $24.6{\pm}7.9$세, CEP환자 $55.4{\pm}15.12$세로 CEP환자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p<0.05), $38^{\circ}C$ 이상의 고혈이 AEP 환자 100%(7/7), CEP환자는 11%(1/9)가 있었다. 내원 전 증상의 기간은 AEP환자가 $2.6{\pm}1$일, CEP환자가 $44.7{\pm}25.5$일이었다 (p<0.05). 흉부 방사선 소견상 양측성 폐렴 침윤은 AEP환자100%(7/7), CEP환자는 89%(8/9)가 있었으며, 흉수는 AEP환자86%(6/7), CEP환자 22%(2/9)가 있었다. 평균 말초 혈액 백혈구 수는 AEP환자 17, $186{\pm}8,134/mm^3$, CEP환자 $12,867{\pm}6,040/mm^3$이었고, 호산구분획은 AEP환자 $6.6{\pm}6.7%$(0~20%), CEP환자 $11.3{\pm}21.1%$(0~65%) 이었으며 AEP환자는 추적검사에서 내원 4~7 병일째 (23.7~51%) 가장 높았다, 평균 말초 혈액 호산구 수는 AEP환자 $939{\pm}1,042/mm^3$, CEP환자 $2,104{\pm}4,966/mm3^$이었다. 기관지 폐포 세척액 검사에서 평균 호산구분획은 AEP환자 $32.4{\pm}14.5%$(18~47%), CEP환자 $35.8{\pm}26.7%$(15.3~88.2%) 이었다. 동맥혈 가스 검사상 평균 $PaO_2$는 AEP환자 $44.1{\pm}15.5mmHg$, CEP환자 $62.7{\pm}6.9mmHg$로 AEP환자에서 더 낮았다 (p<0.05). 모든 환자에서 확진 전에 항생제를 투여하였으며, 확진 후에 AEP환자 7명 중 1명은 스테로이드 투여후 호전되었고, 6명은 스테로이드를 투여하지 않고서 호전되었다. CEP환자는 모두에서 확진 후에 스테로이드를 투여하였으며 임상적 호전을 보였다. AEP환자들은 재발이 없었으며, CEP환자 중 3명이 스테로이드 투여 중단 또는 감량 후에 재발이 있었으며 이들중 2명용 천식의 병력이 있는 환자들이었다. 결 론: 급성 호산구성 폐렴은 만성 호산구성 폐렴에 비해 비교적 젊은 사람에게서 고열, 기침, 호흡곤란의 급성 호흡기계 증상을 동반하며, 저산소증이 심하고, 스테로이드 치료에 반응 하지만, 대증요법으로 호전을 보이는 경우도 있는 질환으로 생각된다.

  • PDF

DL-1-Aminoethylphosphonic acid의 생물학적(生物學的) 기능연구(機能硏究) (A Study of Synthesis and Biological Function on DL-1-Aminoethylphosphonic Acid)

  • 김숙희;조정남;김용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권4호
    • /
    • pp.173-181
    • /
    • 1969
  • 생후 $40{\pm}5$ 일된 젖떨어진 Albino Rat female male 각각 30마리를 크게 Alanine(AL)과 Aminoethylphosphonic acid(AEP) group으로 나누고 각 group을 다시 각각 2 group으로 나누어 female male Alanine 0.1%, female male Alanine 0.2%와 female male AEP 0.1%, female male AEP 0.2% 합(合) 8 group으로 나누어 14 주동안 실험한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단백질 효율과 뇨중 질소배설량에 어떤 유의적인 차이가 없음으로 AEP도 다른 일반적인 Amino acid와 같은 정도로 체내에서 이용됨을 알 수 있다. AEP의 첨가로 인한 p의 이용율의 변화 유무를 판정하기 위하여 뇨중 p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모든 group사이에 유의성이 없었음으로 alanine 첨가 group에서나 AEP 첨가 group에서나 같은 정도로 체내에서 이용됨을 알 수있으나 AEP의 첨가로 인한 Dietary Phosphorus함량이 높음으로 인하여 체내 보유량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blood phosphorus 함량측정을 해본 결과와 일치함을 알 수 있다. 간질소 함량을 측정하여 본 결과 AEP 첨가가 간질소 함량을 높일 수 있으며 0.2%쪽이 더 많은 양을 간에 보유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간지방 함량도 간질소 함량과 같은 방향으로 나타났으며 조직 검사로 fat lumps를 발견할 수 없었으므로 AEP 첨가가 fatty liver의 요인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Amino acid의 생물학적 가치와 Amino acid의 조성사이에는 현저한 관계가 있어 양적으로 충분한 단백질을 섭취한다 하더라도 섭취한 단백질이 함유하고 있는 Amino acid의 종류 및 각종 Amino acid의 비율에 따라서 소화에 현저한 차이가 있어 생물학적 기능이 다르다는 것이 Oser와 그외 여러 학자들에 의하여 보고되었다. 이 보고에 비추어 보아 0.2% diet에서 Amino acid의 장내 흡수시 imbalanced condition을 초래 한 것으로 본다.

  • PDF

Vitamin D Status in South Korean Military Personnel with Acute Eosinophilic Pneumonia: A Pilot Study

  • Jhun, Byung Woo;Kim, Se Jin;Kim, Kang;Lee, Ji Eun;Hong, Duck Ji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8권3호
    • /
    • pp.232-238
    • /
    • 2015
  • Background: A relationship between low vitamin D levels and the development or outcomes of respiratory diseases has been identified. However, there is no data on the vitamin D status in patients with acute eosinophilic pneumonia (AEP). We evaluated the vitamin D status in patients with AEP among South Korean military personnel. Methods: We prospectively compared the serum levels of total 25-hydroxyvitamin D [25(OH)D], 25(OH)D3, and 25(OH)D2 among patients with AEP, pulmonary tuberculosis (PTB), and community-acquired pneumonia (CAP). Results: In total, 65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eases, including AEP (n=24), PTB (n=19), and CAP (n=22), were identified. Of the 24 patients with AEP, 2 (8%) had deficient total 25(OH)D levels (<10 ng/mL), 17 (71%) had insufficient total 25(OH)D levels (${\geq}10$ to <30 ng/mL), and only 5 (21%) had sufficient total 25(OH)D levels (${\geq}30$ to <100 ng/mL). The difference in the total 25(OH)D levels among patients with AEP, PTB, and CAP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230). The median levels of total 25(OH)D, 25(OH)D3, and 25(OH)D2 were 22.84, 22.84, and 0.00 ng/mL, respectively, and no differences in the 25(OH)D level were present among patients with AEP, PTB, and CAP with the exception of the total 25(OH)D level between patients with AEP and PTB (p=0.042). Conclusion: We have shown that low vitamin D levels are frequently found in patients with AEP and are comparable with those in patients with PTB and CAP.

Calculating Array Patterns Using an Active Element Pattern Method with Ground Edge Effects

  • Lee, Sun-Gyu;Lee, Jeong-Hae
    • Journal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제18권3호
    • /
    • pp.175-181
    • /
    • 2018
  • The array patterns of a patch array antenna were calculated using an active element pattern (AEP) method that considers ground edge effects. The classical equivalent radiation model of the patch antenna, which is characterized by two radiating slots, was adopted, and the AEPs that include mutual coupling were precisely calculated using full-wave simulated S-parameters.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calculation, the edge diffraction of a ground plane was incorporated into AEP using the uniform geometrical theory of diffraction. The array patterns were then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computed AEPs. The array patterns obtained through the conventional AEP approach and the AEP method that takes ground edge effects into account were compared with the findings derived through full-wave simulations conducted using a High Frequency Structure Simulator (HFSS) and FEKO software. Results showed that the array patterns calculated using the proposed AEP method are more accurate than those derived using the conventional AEP technique, especially under a small number of array elements or under increased steering angles.

성산 풍력발전단지의 연간발전량 예측 정확도 평가 (Accuracy Assessment of Annual Energy Production Estimated for Seongsan Wind Farm)

  • 주범철;신동헌;고경남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6권2호
    • /
    • pp.9-17
    • /
    • 2016
  • In order to examine how accurately the wind farm design software, WindPRO and Meteodyn WT, predict annual energy production (AEP), an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for Seongsan wind farm of Jeju Island. The one-year wind data was measured from wind sensors on met masts of Susan and Sumang which are 2.3 km, and 18 km away from Seongsan wind farm, respectively. MERRA (Modern-Era Retrospective Analysis for Research and Applications) reanalysis data was also analyzed for the same period of time. The real AEP data came from SCADA system of Seongsan wind farm, which was compare with AEP data predicted by WindPRO and Meteodyn WT. As a result, AEP predicted by Meteodyn WT was lower than that by WindPRO. The analysis of using wind data from met masts led to the conclusion that AEP prediction by CFD software, Meteodyn WT, is not always more accurate than that by linear program software, WindPRO. However, when MERRA reanalysis data was used, Meteodyn WT predicted AEP more accurately than WindPRO.

흡연에 의한 급성 호산구성 폐렴 1예 (A Case of Smoking Induced Acute Eosinophilic Pneumonia)

  • 조현철;이영주;박명재;강홍모;유지홍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8권5호
    • /
    • pp.515-520
    • /
    • 2005
  • 최근 일본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새로 시작한 흡연에 의해 발생한 급성 호산구성 폐렴의 증례 보고가 증가하고 있고 또 발병기전에 대한 연구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저자들도 흡연에 의해 발생한 급성 호산구성 페렴환자를 경험하고 이 환자에서 흡연유발검사를 통해 새로 시작한 흡연이 급성 호산구성폐렴의 원인임을 확인하여 이 환자의 임상적인 특징과 경과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