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E Root Mean Square(AE-RMS)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3초

암석시편 파괴에 따른 acoustic emission 특성인자 분석 (Analysis of acoustic emission parameters according to failure of rock specimens)

  • 이종원;오태민;김현우;김민준;송기일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657-673
    • /
    • 2019
  • 최근 음향방출(Acoustic Emission, AE) 센서를 이용하여 지하 암반 내 구조물의 손상을 평가하는 기법이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암반 손상 시 발생되는 미소파괴음은 시간 및 주파수 영역에서 다양한 음향방출 특성인자로 분석된다. 암반 내 초기 균열 발생부터 최종 파괴까지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외부응력 수준과 암반 강도에 따른 음향방출 특성인자 발생 양상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경암과 연암 강도를 가진 화강암 시편을 이용하여 일축 압축시험을 수행하여, 암석 시편 파괴 시 발생하는 음향방출 특성인자를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응력 비율이 증가할수록 이벤트 횟수, 실효값, 최대 진폭, 절대 에너지가 경암 시편에서 연암 시편 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주파수 관련 특성인자는 응력 비율 증가나 시편의 물성특성에 대해 민감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암석 시편 파괴에 따른 음향방출 특성인자 분석 결과, 실효값(RMS)이 가장 민감한 인자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음향방출 기반 모니터링 수행 시 암반 손상 정도 평가를 위하여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Validation of Significant Wave Height from Satellite Altimeter in the Seas around Korea and Error Characteristics

  • Park, Kyung-Ae;Woo, Hye-Jin;Lee, Eun-Young;Hong, Sungwook;Kim, Kum-Lan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31-644
    • /
    • 2013
  • Significant Wave Height (SWH) data measured by satellite altimeters (Topex/Poseidon, Jason-1, Envisat, and Jason-2) were validated in the seas around Korea by comparison with wave height measurements from marine meteorological buoy stations of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A total of 1,070 collocation matchups between Ku-band satellite altimeter data and buoy data were obtained for the periods of the four satellites from 1992 to the present. In the case of C-band and S-band observations, 1,086 matchups were obtained and used to assess the accuracy of satellite SWH. Root-Mean-Square (RMS) errors of satellite SWH measured with Ku-band were evaluated to roughly 0.2_2.1 m. Comparisons of the RMS errors and bias errors between different frequency bands revealed that SWH observed with Ku-band was much more accurate than other frequencies, such as C-band or S-band. The differences between satellite SWH and buoy wave height, satellite minus buoy, revealed some dependence on the magnitude of the wave height. Satellite SWH tended to be overestimated at a range of low wave height of less than 1 m, and underestimated for high wave height of greater than 2 m. Such regional characteristics imply that satellite SWH should be carefully used when employed for diverse purposes such as validating wave model results or data assimilation procedures. Thus, this study confirmed that satellite SWH products should be continuously validated for regional applications.

Estimation of Coastal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using Satellite Data and Oceanic In-Situ Measurements

  • Lee, Min-Sun;Park, Kyung-Ae;Chung, Jong-Yul;Ahn, Yu-Hwan;Moon, Jeong-Eun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77-692
    • /
    • 2011
  • Suspended sediment is an important oceanic variable for monitoring changes in coastal environment related to physical and biogeochemical processes. In order to estimate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SSC) from satellite data, we derived SSC coefficients by fitting satellite remote sensing reflectances to in-situ suspended sediment measurements. To collect in-situ suspended sediment, we conducted ship cruises at 16 different locations three times for the periods of Sep.-November 2009 and Jul. 2010 at the passing time of Landsat $ETM_+$. Satellite data and in-situ data measured by spectroradiometers were converted to remote sensing reflectances ($R_{rs}$). Statistical approaches proved that the exponential formula using a single band of $R_{rs}$(565) was the most appropriate equation for the estimation of SSC in this study. Satellite suspended sediment using the newly-derived coefficients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insitu suspended sediment with an Root Mean Square (RMS) error of 1-3 g/$m^3$. Satellite-observed SSCs tended to be overestimated at shallow depths due to bottom reflection presumably. This implies that the satellite-based SSCs should be carefully understood at the shallow coastal regions. Nevertheless, the satellite-derived SSCs based on the derived SSC coefficients, for the most cases, reasonably coincided with the pattern of in-situ suspended sediment measurements in the study region.

Validation of Sea Surface Temperature (SST) from Satellite Passive Microwave Sensor (GPM/GMI) and Causes of SST Errors in the Northwest Pacific

  • Kim, Hee-Young;Park, Kyung-Ae;Chung, Sung-Rae;Baek, Seon-Kyun;Lee, Byung-Il;Shin, In-Chul;Chung, Chu-Yong;Kim, Jae-Gwan;Jung, Won-Chan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15
    • /
    • 2018
  • Passive microwave sea surface temperatures (SST) were validated in the Northwest Pacific using a total of 102,294 collocated matchup data between Global Precipitation Measurement (GPM) / GPM Microwave Sensor(GMI) data and oceanic in-situ temperature measurements from March 2014 to December 2016. A root-mean-square (RMS) error and a bias error of the GMI SST measurements were evaluated to $0.93^{\circ}C$ and $0.05^{\circ}C$, respectively. The SST differences between GMI and in-situ measurements were caus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wind speed, columnar atmospheric water vapor, land contamination near coastline or islands. The GMI SSTs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the in-situ temperature measurements at low wind speed (<6 m/s) during the daytime. As the wind speed increased at night, SST errors showed positive bias. In addition, other factors, coming from atmospheric water vapor, sensitivity degradation at a low temperature range, and land contamination, also contributed to the errors. One of remarkable characteristics of the errors was their latitudinal dependence with large errors at high latitudes above $30^{\circ}N$. Seasonal characteristics revealed that the errors were most frequently observed in winter with a significant positive deviation. This implies that SST errors tend to be large under conditions of high wind speeds and low SSTs. Understanding of microwave SST errors in this study is anticipated to compensate less temporal capability of Infrared SSTs and to contribute to increase a satellite observation rate with time, especially in SST composite process.

L밴드 인공위성 SAR를 이용한 동해 연안 해상풍 산출 및 오차 특성 (L-band SAR-derived Sea Surface Wind Retrieval off the East Coast of Korea and Error Characteristics)

  • 김태성;박경애;최원문;홍성욱;최병철;신인철;김경렬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477-487
    • /
    • 2012
  • L밴드 ALOS SAR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동해 연안해역의 해상풍을 산출하고 오차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동안 인공위성 산란계를 이용한 해상풍 산출이 본질적으로 불가능하였던 연안 해역에 대하여 SAR 자료로부터 고해상도 해상풍을 산출할 수 있었다. 산출된 SAR 바람을 해양 부이 자료와 비교한 결과 0.67 m/s의 작은 오차로 잘 일치함을 보여주었다. 서로 다른 L밴드 ALOS PALSAR GMF 2007 모델과 2009 모델로 산출된 해상풍을 인공위성 산란계 해상풍과 비교한 결과, 풍속과 풍향 각각 2.16 m/s와 $19.24^{\circ}$, 3.62 m/s와 $28.02^{\circ}$의 제곱평균근오차를 보이며, 인공위성 산란계의 기대 오차보다 다소 큰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산출된 L밴드 SAR 바람장은 풍향과 입사각에 대하여 특징적인 의존성을 보였다. L밴드 GMF 2007 모델은 $21^{\circ}$ 보다 작은 입사각에 대하여 큰 오차를 보인 반면, L밴드 GMF 2009 모델은 입사각에 대한 효과를 선형함수가 아니라 이차함수로 고려하여 주었기 때문에 작은 입사각 범위에서 풍속 오차가 6.8 m/s에서 1.14 m/s로 크게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L밴드 SAR 바람장의 다양한 활용을 위해서는 풍향과 입사각 효과, 그리고 다른 잠재적인 오차의 요인을 집중적으로 연구하여야 함을 강조하였다.

북서태평양 GCOM-W1/AMSR2 해수면온도 검증 및 오차 특성 (Validation of GCOM-W1/AMSR2 Sea Surface Temperature and Error Characteristics in the Northwest Pacific)

  • 김희영;박경애;우혜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21-732
    • /
    • 2016
  • 2012년 7월부터 2016년 8월까지 GCOM-W1/AMSR2 마이크로파 센서 자료와 해양 현장수온 관측 자료 사이에서 획득된 총 162,264개의 일치점 자료를 활용하여 북서태평양 해역에서의 마이크로파 해수면온도 정확도를 검증하고 오차 특성을 분석하였다. AMSR2 해수면온도는 실측 자료에 대해 $0.63^{\circ}C$의 평균제곱근오차와 $0.05^{\circ}C$의 편차를 보였다. 위성 해수면온도와 현장 관측 해수면온도의 차이는 풍속, 해수면 온도, 연안으로부터의 거리, 열전선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되었다. AMSR2 해수면온도는 낮시간 동안 낮은 풍속(< 6 m/s)에서 실측 해수면온도보다 높게 산출되는 일변동(diurnal effect)에 의한 오차를 보였다. 또한 겨울철에 평균제곱근오차가 커지는 경향이 나타났는데, 이는 해상풍의 풍속이 커질수록 해수면의 방사율이 높아져 해수면온도 산출 시 양의 편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겨울철의 강한 바람이 해수면온도 오차를 증가시킨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 외에도 저온에서 저하되는 민감도와 육지에 의한 자료오염 또한 AMSR2 해수면온도의 오차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열전선에 따른 해수면온도 오차 특성을 분석한 결과 해수면온도의 공간 구배 크기가 커질수록, 열전선에 근접할수록 해수면온도 오차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북서태평양 해역 마이크로파 해수면온도의 정확도 검증 및 오차 특성 분석을 통해 향후 마이크로파 해수면온도를 활용하는 연구의 바탕을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연구 지역의 환경적 요인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오차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보다 정확한 위성 관측 해수면온도를 얻을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