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HD-200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6초

An ADHD Diagnostic Approach Based on Binary-Coded Genetic Algorithm and Extreme Learning Machine

  • Sachnev, Vasily;Suresh, Sundaram
    • Journal of Computing Science and Engineering
    • /
    • 제10권4호
    • /
    • pp.111-117
    • /
    • 2016
  • An accurate approach for diagnosis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s presented in this paper. The presented technique efficiently classifies three subtypes of ADHD (ADHD-C, ADHD-H, ADHD-I) and typically developing control (TDC) by using only structur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The research examines structural MRI of the hippocampus from the ADHD-200 database. Each available MRI has been processed by a region-of-interest (ROI) to build a set of features for further analysis. The presented ADHD diagnostic approach unifies feature selection and classification techniques. The feature selection technique based on the proposed binary-coded genetic algorithm searches for an optimal subset of features extracted from the hippocampus. The classification technique uses a chosen optimal subset of features for accurate classification of three subtypes of ADHD and TDC. In this study, the famous Extreme Learning Machine is used as a classification technique. Experimental results clearly indicate that the presented BCGA-ELM (binary-coded genetic algorithm coupled with Extreme Learning Machine) efficiently classifies TDC and three subtypes of ADHD and outperforms existing techniques.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의 불안수준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간의 관계 (Relationship of Parenting Stress and Anxiety in Children With ADHD)

  • 김세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221-230
    • /
    • 2011
  • 본 연구는 ADHD 아동의 불안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간에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ADHD로 진단받은 만 7~9세 아동과 M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일반아동과 어머니를 대상으로 불안설문지와 양육스트레스를 실시하였다. 양육스트레스는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축약형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불안은 한국형 소아 상태 및 특성 불안척도 를 사용하였다. 총 200부를 방문 및 우편 배부하여, 112부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ADHD 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불안수준과 양육스트레스 점수가 더 높았으며, ADHD 아동은 성별, 연령, 유형에 따른 불안 수준과 양육스트레스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특성불안은 양육스트레스의 하위척도인 부모의 고통(r=.30)과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상태불안은 까다로운 아동(r=.30)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양육스트레스가 아동의 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임상현장의 전문가는 ADHD 아동의 불안수준이 일반아동과는 다르다는 것을 인식할 필요가 있으며, ADHD 아동의 불안증상에 대한 개입과 더불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상담과 개입이 필요하다.

약물 복용력이 없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남아의 시각적 Go/NoGo 과제 수행결과 및 수행시의 사건관련전위 (Event-Related Potentials During the Visual Go/NoGo Task in Drug-Naive Boy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 김건우;이중선;박수빈;홍진표;김성윤;유한익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0권2호
    • /
    • pp.61-67
    • /
    • 200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formance and electr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drug-naive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ADHD) during the Go/NoGo task. Methods: Twenty-three boys with ADHD and 18 age-matched normal boys were recruited at a child psychiatric outpatient clinic in Seoul. All subjects were assessed by the Kiddie Schedules for Affective Disorders and Schizophrenia Present and Lifetime version. The investigator also assessed all subjects using the ADHD Rating Scale-IV(ADHDRS). Event-related potentials were recorded from 8 scalp electrodes during the visual Go/NoGo task. Results: Children with ADHD showed a larger mean of standard deviation of response time during the Go/NoGo task than normal children. The temporal N200 and P300 amplitudes were larger in children with ADHD relative to controls. The parietal N200 and P300 latencies were more prolonged in children with ADHD compared to normal control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sychotropic-naive children with ADHD may have more variable performance ability, more difficulty in discriminating visual stimuli, and slower information processing speed than their normal age-matched counterparts.

  • PDF

가족 내의 위험 요인이 ADHD 아동의 행동 문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MILIAL RISK FACTORS ON THE BEHAVIOR PROBLEMS OF ADHD CHILDREN)

  • 김진희;유희정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0권2호
    • /
    • pp.195-200
    • /
    • 1999
  • 가족 내의 위험 요인들은 아동의 행동 문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정신과를 방문해 ADHD로 진단된 아동 29명과 정상 아동 180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가족 내의 환경적 요인과 아동 의 행동 문제에 대한 평가 척도를 실시하였다. ADHD 아동의 자료는 내원 당일 작성해 제출하도록 하였으며, 정상 아동의 자료는 아동을 통해 부모에게 질문지를 배부 ${\cdot}$ 수거하였다. 정상 아동의 자료 중 응답 누락 등을 이유로 49명을 제외한 나머지 131명의 자료와 ADHD 29명의 자료를 분석에 포함시켰다. 연구 결과, 가족환경적 요인들 중에서 결혼만족도, 어머니의 상태-특질 불안, 우울감이 ADHD 집단과 정상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ADHD 증상에 대한 유의미한 설명력을 지녔다. 또한 이러한 가족환경적 요인들과 아동의 행동 문제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가족 내의 위험 요인들 중 결혼만족도, 어머니의 정서상태가 ADHD 증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Affective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Quality of Life of Juvenile Inmate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 Focus on Items from the Korean Youth Self Report

  • Kim, Hyesoon;Kim, Bongseog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0권4호
    • /
    • pp.161-167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juvenile inmate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and the impact of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on quality of life. Methods: In total, 200 inmates were evaluat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Mini-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K-MINI)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Kiddie-Schedule for Affective Disorders and Schizophrenia-Present and Lifetime (K-SADS-PL-K). We extracted the inmates with ADHD and evaluated their quality of life, behavioral problems, and emotional problems with the Pediatric Quality of Life Inventory (PedsQL) and the Korean Youth Self Report (K-YSR) scale.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Among the 200 total inmates, 68 were diagnosed with ADHD by the K-SADS-PL-K. Most of the correlations between PedsQL scores and K-YSR items were significa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PedsQL could be predicted by affective problems (among the DSM-oriented scales of the K-YSR) and attention problems (among the syndrome scales of the K-YSR). Conclusion: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among juvenile inmates with ADHD, quality of lif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most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Meanwhile,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affective and attention problems on inmates' quality of life suggests the necessity of comprehensive treatments for this group.

아동의 모발 내 무기물 농도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와의 상호연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ssociation between Mineral Concentration in Children′s Hair and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유연아;정문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1-49
    • /
    • 2004
  •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s one of the most general childhood problems occurs locally and internationally, but the causes of ADHD are not cleared yet.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examine some parts of the causes of ADHD closely, and finally contribute to the medical treatment of ADHD and its precautionary measures, by measuring and comparing concentration of minerals in hairs of the patients of ADHD and their control group's children. which can analyze the relevance to ADHD and the mineral content in human bodies, and mutual relations between toxic minerals and essential minerals in human bodies. After collection of hairs from 200 children(5 to 7-year-old, boys: 159 girls:41) diagnosed as ADHD by medical specialists based on the standard of DSM-IV diagnosis and their control group's 177 children(boys: 138 girls:39), the mineral concentration of samples was measured through ICP-MS and compared. And correlations between toxic minerals and essential minerals in human bodies among patients group was analyzed. All the toxic minerals(Pb, Hg, Al, Cd, As) of hairs analyzed in the study showed more higher range of concentration in patients group in comparison with their control group. Among them, the concentration of Pb(3.27 $\pm$ 3.82 ppm) and As(0.16 $\pm$ 0.15 ppm) in patients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 compared to their control group. And in this study Pb among toxic mineral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Zn(r = -0.43), Mg(r = -0.15) among essential minerals. Cd among toxic mineral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Zn(r = -0.20) among essential minerals. As among toxic mineral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Ca(r = -0.14) among essential minerals.

Effects of lamotrigine on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pediatric epilepsy patients

  • Han, Seung-A;Yang, Eu Jeen;Song, Mi-Kyoung;Kim, Sun Ju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0권6호
    • /
    • pp.189-195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amotrigine for the treatment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symptoms in children with epilepsy. Methods: Pediatric patients newly diagnosed with epilepsy (n=90 [61 boys and 29 girls]; mean age, $9.1{\pm}3.4years$) were enrolled. All patients were evaluated with the Korean ADHD rating scale (K-ARS)-IV before treatment with lamotrigine and after doses had been administered. The mean interval of ADHD testing was approximately 12.3 months. The initial dosage of lamotrigine was 1 mg/kg/day (maximum 25 mg/day for the first 2 weeks), and increased by 1 mg/kg every 2 weeks until titrated up to 7 mg/kg/day (or maximum 200 mg/day). Results: The mean ADHD test score of the 90 subjects was $17.0{\pm}1.8$ at baseline. It was slightly reduced to $15.6{\pm}1.7$ after lamotrigine monotherapy (P>0.01). Prior to treatment, a total of 31 patients (34.4%) met the diagnostic criteria for ADHD according to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ition, Text Revision, Of these 31 patients, 27 (87.1%) had significantly improved ADHD scores with lamotrigine monotherapy ($28.0{\pm}1.6$ reduced to $18.1{\pm}2.6$, P<0.001). Among these 27 patients, 25 (92.6%) showed normalized electroencephalogram (EEG) and 26 (96.3%) achieved total freedom from seizures within 12 months of the initiation of lamotrigine monotherapy. Conclusion: The results from our study show that lamotrigine had a positive effect in pediatric epilepsy patients by reducing ADHD symptoms, preventing seizures, and normalizing EEG. However,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determine whether lamotrigine is efficacious against ADHD symptoms independent of its effects on epileptic seizures.

ADHD 진단에서 K-CBCL 6-18의 임상적 유용성 -아동복지시설 심리장애 아동에의 적용- (The clinical utility of K-CBCL 6-18 in diagnosing ADHD -focused on children with psychological disorders in child welfare institution-)

  • 김상아;하은혜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6호
    • /
    • pp.253-28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복지시설에 거주하는 심리장애 아동의 ADHD를 진단하는 데 있어 K-CBCL 6-18 주의력 관련 지표의 임상적 유용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013-2014 아동복지시설 아동 치료 재활 지원 시범 사업'에 참여하였던 심리장애 초등학생 509명이다. 그들에게 치료 전 실시하였던 사전 심리 검사 자료 중 K-ARS와 K-CBCL 6-18의 5가지 주의력 관련 지표인 문제행동총점, 외현화총점, 주의집중문제, 공격행동, DSM ADHD 척도만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K-ARS와 K-CBCL 6-18의 주의력 관련 지표와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K-ARS를 기준으로 대상 아동을 ADHD집단(n=334)과 비ADHD집단(n=175)으로 나누어 K-CBCL 6-18 주의력 관련 지표의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한 결과, 5가지 지표 모두 ADHD집단의 평균이 유의하게 높았다. K-CBCL 6-18 주의력 관련 지표의 임상적 절단점 64T, 70T를 기준으로 산출한 분류적중률은 모든 지표에서 60-70%의 백분율을 나타냈으며 문제행동총점과 외현화 총점 척도의 민감도가 높았고 주의집중문제와 DSM ADHD, 공격행동 척도의 특이도가 높게 나타났다. 한편, 종합심리검사 결과를 기준으로 ADHD집단(n=95)과 정서장애집단(n=30)을 나누어 K-CBCL 6-18 주의력 관련 지표의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한 결과, 주의집중문제 척도와 DSM ADHD 척도에서 ADHD 집단이 정서 장애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임상적 절단점 70T를 기준으로 산출한 두 척도의 분류적중률은 약 55%의 비슷한 값을 나타냈으며 두 척도 모두 민감도가 낮고 특이도가 높았다. 종합적으로 K-CBCL 6-18 주의력 관련 지표는 ADHD를 변별해내는 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DSM ADHD 척도가 주의집중척도와 함께 임상 집단 내에서 ADHD 진단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복지시설과 같이 여러 검사 도구를 통한 정확한 진단이 어려운 환경에서 ADHD 진단 능력이 높은 척도를 규명하였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Modafinil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Modafinil for the Treatment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 이유정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6-71
    • /
    • 2010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는 미국에서 약 200만 명의 어린이에게 나타나는 심각한 만성 신경행동학적 장애이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의 중심은 약물요법이다. 그러나 현재 환자의 약 30%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를 적응증으로 갖도록 허가된 의약품들을 사용해도 적절한 치료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Modafinil은 methylphenidate나 amphetamines와 같은 각성제와는 다른 약리학적 기전으로 중추신경계를 항진시킨다. 본 연구는 modafinil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효과에 대한 최신 지견을 얻고자, 1990년부터 2010년 3월까지 MEDLINE에 등재된 논문을 ADHD와 Modafinil이라는 MeSH terms로 검색하여 추출한 자료 중에서 대조군이 사용된 무작위 배정 및 이중맹검 임상연구 사례만을 선별하여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현재 modafinil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 치료제로 허가된 의약품은 아니지만 최근 여러 국가에서 시행된 연구들은 modafinil이 안전하고 효과적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제일 수 있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집중력 회복을 위한 감각 모달리티 별 피드백에 대한 연구 (A research on feedback effect according to different sensory modality for attention recovery)

  • 현혜정;황민철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41-47
    • /
    • 2007
  • 한정된 주의력 자원을 회복시키기 위한 방법 중 피드백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피드백의 구체적 내용에 대한 집중력 회복의 연구는 미미하다. 본 연구는 집중력을 회복할 수 있는 감각적 자극 중 정서적 피드백 간의 효과 차이를 분석 하였다. 집중력을 평가하기위한 온라인 실험 시스템을 구축하고 시각, 청각, 촉각 피드백 자극을 제시하여 각각의 감각자극과 집중력 회복의 효과를 분석 하였다. 실험 참여자의 감각 피드백의 선호도에 따른 영향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 후 주관적 설문을 실시하였다. 감각 피드백을 6명의 대학원생에게 일주일에 걸쳐 반복적으로 약200개의 자극을 제시하고 5회 이상 실험을 통하여 얻어진 30회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피드백 효과가 집중력 회복에 통계적 유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