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CTUAL VEGETATION

검색결과 314건 처리시간 0.028초

NOAA-AVHRR 인공위성 영상을 이용한 월 실제증발산량 산정 (Estimation of Monthly Actual Evapotranspiration Using NOAA-AVHRR Satellite Images)

  • 권형중;신사철;김성준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6권1호
    • /
    • pp.15-24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monthly evapotranspiration (ET) using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obtained from NOAA-AVHRR data sets. Actual evapotranspiration was evaluated by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and monthly NDVI was obtained by maximum value composite method from daily NDVI images in the Korean peninsula for the year 2001 The monthly actual ETs for each land cover were compared with the monthly NDVIs to determine relationships between actual ET and NDVI for each land cover category,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monthly NDVI and monthly mean actual ET. This study presents an alternative approach for land surface evapotranspiration based on remote sensing techniques.

전남 진도군 관매도 해안 방풍림의 식생과 관리방안 (Management Methods and Vegetation in a Windbreak Forest around the Coast of Gwanmaedo, Jindo-gun, Jeonnam)

  • 김하송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11
    • /
    • 2008
  • 본 조사는 2005년 12월부터 2007년 4월까지 총 4회에 걸처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관매도 해안 방풍림을 지역을 중심으로 곰솔군락의 특성을 조사하고 생태학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관매도 해안 방풍림인 곰솔군락을 주요 구성종과 식생유형에 따라 교란형, 성장형, 혼합형, 안정형, 배후산지형 식생 등으로 구분하였다. 교란형 식생과 성장형 식생의 곰솔군락에서는 간벌, 풀베기, 솔아내기, 휴식공간 활용, 병든 소나무 벌목 등을 통하여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며, 혼합형 식생, 안정형 식생 그리고 배후산지형의 곰솔군락에서는 방풍림 산책로, 삼림완충지대 조성, 식생천이를 유도함으로서 자연식생을 복원할 수 있는 적극적인 해안 방풍림 보전이 필요하다. 조사지역에서는 해안 방풍림의 서식지 특성과 분포실태에 따라 해수욕장과 공한지 주변지역 관리, 배후습지 복원 관리, 외래식물 분포 억제 관리, 생물종의 다양성과 서식지의 다양성 유지 관리, 곰솔림의 고령화와 병충해 확산 예방 관리 등 생태학적인 관리방안이 요구된다.

제주도 내륙습지 미나리못의 식생 형성과 물환경과의 관계 (Formation of Vegetation in an Inland Wetland, Minarimot, of Jeju Islands, and its Relationship to Water Environment)

  • 김명현;한민수;방혜선;정명표;나영은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65-370
    • /
    • 2009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types of Minarimot, in Jeju Islands. The vegetation types were classified by the Z-M school method and cluster analysis. The vegetation in Minarimot was classified into 6 communities and 2 subcommunities: Persicaria thunbergii-Isachne globosa community (vegetation type: A), Scirpus tribangulatus-Eleocharis manillata var. cyclocarpa community (B) (Aneilema keisak subcommunity (B-1) and Caldesia parnassifolia-Potamogeton distinctus subcommunity (B-2)), Eleocharis kuroguwai community (C),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D), Scirpus tabernaemontani community(E) and Typha orientalis community (F). These communities were grouped into three main categories according to cluster analysis. The community (A) established at the edge of the wetland which has the driest condition was distinguished as Group I, while the community (B) emerged in the submerged zone was distinguished as Group III. The Group II was designated as the communities (C, D, E, F) between Group I and III, whose communities were occasionally submerged. The result of principal coordinate analysis (PCoA) appeared that the different vegetation established along the wetland were depending on water environment such as water depth and the period submerged.

Horton 지수의 재논의를 통한 수문분할의 변동성 (Variability of Hydrologic Partitioning revisiting Horton Index)

  • 최대규;최민하;안재현;박무종;김상단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5-44
    • /
    • 2011
  • 기후변동에 따른 식생반응 및 그에 따른 물수지 동역학의 변화를 살펴볼 목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식생의 물 이용가능성과 식생 생산량의 지역별 연별 변동성을 분석하였다. 유역의 식생 물이용의 대리변수로서 습윤량에 대한 기화량의 비로 표현되는 Horton 지수의 계산을 통하여 유역에서의 수문 분할과 그에 따른 식생의 물 이용 가능성에 대한 정량화를 시도하였다. 연별 Horton 지수의 추정결과 기후의 변동성과 비교하여 볼 때 상대적으로 일정한 값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Horton 지수와 식생의 강우이용효율을 비교한 결과, 물 이용가능성에 따른 식생의 물 이용에 대한 흥미로운 패턴이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물이 식생 성장에 제한요소가 될 경우 식생의 강우이용효율은 공통적인 최대값으로 수렴한다는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본 연구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우리나라 중소도시 비오톱 공간의 조성방안 (The Potential Assessment and Creation Programming of Biotopes in Small and Medium City in Korea)

  • 정문선;이명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75-90
    • /
    • 2000
  • This study suggests the methods of the assessment and creation of biotopes in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in Korea. For this purpose, Chonju city was selected to classify and asses the biotope types. Moreover, relevant legislations to conserve and enhance urban biotopes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ere two approaches to asses the potential of urban biotopes in medium-sized cities. One was the urban scale evaluation for urban green spaces and the other was the biotope scale evaluation for the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of biotopes. 2) The urban scale evaluation was developed through overlaping analysis of landuse and vegetation factors. This study also included the conception of watershed. In this conception, three watersheds in Chonju city were characterized. According to these characteristics, individual programs for conservation and enhancement of urban green space were suggested. 3) For the biotope scale evaluation, Selected site was inclusively mapped and field investigation actually was carried. There were total 9 types of bitopes. Especially landuse was appeared in various evaluation items were vegetation structure, area of green space, condition of vegetation and vegetation profile. Mt, Gonji and Dukjin park, Chonbuk national University and fields were evaluated highly I the potential. 4) The biotope programs were based on the results of assessment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biotopes. The uniform and simple levels on vegetation must be modified with various levels of vegetation structure and vernacular plants. 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like Points, Corridors and Patches can be organized by the conception of biotope networking theory. 5) The proper legislative environment was the clue elements for the biotope programs. Until now, only five types of parks and two types of green space are defined and the minimum size of green space has been proposed by the law. So, it is necessary to enlarge the conception of green space in legislat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green space by amending the related regulations. This study has limitation because it was selected only in Chonju. Through the continuous studies, we need to apply this other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South Korea. Also the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of theme maps such as actual vegetation, landuse and a soil must be done preliminary.

  • PDF

폐탄광 경석지 식생 복원을 위한 식물군집 조사·분석 - 강원도 태백시 함태탄광 폐탄광지를 사례로 - (Plant Community Survey and Analysis for Restoration of Vegetation in Coal-mined Spoil Lands - A Case Study of Hamtae Coal-mined Spoil Lands in Taebaek City, Kangwondo -)

  • 김보현;김경훈;김혜주;김두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33-42
    • /
    • 2000
  •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investigate plant community structure, actual vegetation map and flora for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ally introduced vegetation and surrounding vegetation in Hamtae coal-mined spoil land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vegetation, surrounding vegetation was divided into five plant community groups : Pinus koraiensis community, Pinus densiflora - Quercus mongolica community, Q. mongolica - Deciduous broadleaved trees community, Betula schmidtii - B. davurica community, Larix leptolepis community. Robinia pseudo-acacia, which had been planted, was dominant species in coal-mined spoil lands. Young trees, which were naturally introduced, such as B. schmidtii, B. davurica etc., partially appeared with the high density($15{\sim}19ea/100m^2$) in coal-mined spoil lands. The flora of this area was listed as 54 taxa; 22 families, 42 genus, 50 species, 3 varieties and 1 forma. Especially Spodiopogon sibiricus, Miscanthus sinensis, Arundinella hirta, Artemisia capillaris, Artemisia iwayomogi and Youngia denticulata appeared with the high frequency. It is estimated that the proper way for harmonious and effective revegetation is to target B. schmidtii - B. davurica communities and to seed B. schmidtii - B. davurica mixing highly frequent herbaceous species.

  • PDF

홍수터 식생에 의한 하도의 지형변화와 적응과정 실험적 분석 (Experimental analysis on the morphologic changes and adaption of the channels to floodplain vegetation)

  • 장창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5권10호
    • /
    • pp.801-81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홍수터 식생에 의한 하안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하도에서 사주의 거동과 하도의 지형변화 적응과정을 실내실험을 수행하여 분석하였다. 초기 직류하도에서 하안침식이 발생하고 하폭이 증가한다. 하폭 대 수심의 비가 증가한 후에, 교호사주가 발달하고, 하류로 이동한다.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사주의 이동속도는 감소하고 사주의 파장은 증가한다. 홍수터에서 식생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하안침식율은 감소한다. 그러나 사주의 이동속도는 증가한다. 이는 하안의 안정성 변화가 사주의 이동속도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하폭이 증가하고 수심이 감소하면서 무차원 소류력인 Shield Number는 증가하며, 사주의 이동속도도 증가한다. 이는 또한 이동하는 교호사주와 선택적 침식에 의해 발생한 불규칙한 하안 사이에 작용하는 강제효과 때문에 하안의 안정성이 작은 하도에서 사주의 이동속도는 감소한다.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사주의 파장은 증가한다. 사주의 파장이 증가하면서 사주의 이동속도는 감소한다.

Landsat ETM+영상의 지표면온도와 NDVI 공간을 이용한 광역 증발산량의 도면화 (Regional Scale Evapotranspiration Mapping using Landsat 7 ETM+ Land Surface Temperature and NDVI Space)

  • 나상일;박종화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0권3호
    • /
    • pp.115-123
    • /
    • 2008
  • Evapotranspiration mapping using both meteorological ground-based measurements and satellite-derived information has been widely studied during the last few decades and various methods have been developed for this purpose. It is significant and necessary to estimate regional evapotranspiration (ET) distribution in the hydrology and water resource research. The study focused on analyzing the surface ET of Chungbuk region using Landsat 7 ETM imagery. For this process, we estimated the regional daily evapotranspiration on May 8, 2000. The estimation of surface evapotranspiration i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Vegetation Dryness Index (TVDI) and Morton's actual ET. TVDI is the relational expression between Normalized Difference of Vegetation Index (NDVI) and Land Surface Temperature (LST). The distribution of NDVI corresponds well with that of land-use/land cover in Chungbuk. The LST of several part of city in Chungbuk region is higher in comparison with the averaged LST. And TVDI corresponds too well with that of land cover/land use in Chungbuk region. The low evapotranspiration availability is distinguished over the large city like Cheongju-si, Chungju-si and the difference of evapotranspiration availability on forest and paddy is high.

인천광역시 산지형 도시녹지의 식생구조 및 관리계획: 강화도지역을 중심으로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Planning of Mountain Type Urban Green Space in Inchon, Korea : a case study of Kangwhado area)

  • 조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9-130
    • /
    • 1998
  •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강화도 지역의 산지형 도시녹지를 대상으로 식생구조 분석을 통한 관리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총면적 11,331ha에 대한 현존식생 분석 결과 식물군집은 19개 유형으로 분리할 수 있었는데 이중 상수리나무군집, 소나무-상수리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등 2차림이 전체의 92.32%(10,461ha)를 차지하고 있었다. 아까시나무림 등 인공식재림은 전체의 5.40%(612ha)로서 수도권지역 다른 도시들 보다 적은 면적을 나타내었다. 총 57개 조사구에 대한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분석 결과 총 7개 군집으로 분리되었는데 그것은 리기다소나무(군집 A), 상수리나무(군집 B), 소나무-상수리나무(군집 C), 상수리나무-소나무 (군집 D), 소나무-서어나무-졸참나무-상수리나무(군집 E), 졸참나무-신갈나무(군집 F), 느티나무-고로쇠나무 (군집 G)이었다. 강화도 지역은 온대 중부지방에서의 일반적인 천이진행단계인 소나무림에서 상수리나무림을 거쳐 신갈나무림, 졸참나무림, 서어나무림으로 생태적 천이가 진행중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토양 pH는 평균 4.17의 강산성 토양으로서 토양환경 개선을 위한 연구가 산림식생 관리계획에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대구 인접 지역 삼림식생의 진행천이와 잠재자연식생 (Progressive Succession and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on the Forest Vegetation in and surrounding Daegu, Korea)

  • 정흥락;전영문;이호준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3호
    • /
    • pp.265-275
    • /
    • 2006
  • 대구 인접지역 삼림식생에 대한 진행천이의 메카니즘과 잠재자연식생을 추정하였다. DCA 에 의한 요인 분석에서는 해발 고도 및 습도구배에 따라 각 군락의 특성이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양의 수분 함량과 유기물 함량 및 전질 소량은 군락이 발달함에 따라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관 연관분석에서는 2개의 종집단으로 크게 구분되었으며, 이들 두 집단의 유형을 결정하는 요인은 기온 및 토양의 수분 요인으로 판단되었다. 특히, 두 종집단은 천이의 진행에 따라 종조성이 달라지는 군락의 발달단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보이며, 생활형 조성도 이를 뒷받침하였다. 입지요인 및 종조성에 따라 소나무 군락, 굴참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및 떡갈나무군락은 졸참나무군락이나 신갈나무군락으로 각각 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조사지역의 잠재자연식생은 종조성, 토양환경 및 지형요인에 의하여 산지 중 상부의 신갈나무군락, 계곡부의 고로쇠나무-까치박달군락, 산지 중 하부는 졸참나무군락 의 3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그리고 신갈나무군락과 고로쇠나무-까치박탈군락은 현존 식생이면서 잠재자연식생이며, 소나무군락은 현재의 종조성 및 해발 영역을 토대로 신갈나무군락과 졸참나무군락으로 각각 발달할 것으로 예측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