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P

검색결과 293건 처리시간 0.021초

누에 후부실샘 특이 발현 유전자 클로닝 (Cloning of the posterior silk glands specific-expressed gene of silkworm)

  • 박옥란;김성렬;김성완;강석우;구태원;최광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44-49
    • /
    • 2015
  • 본 연구는 누에 후부실샘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새로운 전사체를 탐색하고 이의 프로모터 영역을 분석함으로서 향후 형질전환누에 제작용 전이벡터 시스템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활용하고자 하였다. 우선 새로운 후부실샘 특이 발현 전사체 선발을 위해 ACP-based dd-PCR 방법으로 후부실샘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34개 PCR 증폭 산물이 선발되었는데, 이 중 지금까지 보고된 바 없는 새로운 전사체인 ACP-16(366 bp)이 선발되었다. Northern blotting hybridization 분석 결과, ACP-16은 후부실샘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전사체 발현량에서는 fibroin light chain 보다는 적었으며 전사체 크기에서는 fibroin light chain 보다는 다소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ACP-16 유전자 프로모터 영역을 클로닝 하기 위해 게놈 유전자은행으로부터 ACP-16 (366 bp)를 탐침으로 전체 17.4 kb 크기의 파이지 클론을 선발할 수 있었으며, 전사체 상류에 유전자 발현조절에 필요한 TATA box와 Cap box 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확보된 ACP-16 유전자의 프로모터 영역은 이후 코어 프로모터 개발 연구를 통하여 효과적인 누에 형질전환 시스템 구축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법랑질 인공우식병소에서 APF gel과 CPP-ACP 제제의 재광화 효과 (REMINERALIZATION EFFECTS BY APF GEL AND CPP-ACP PASTE ON INCIPIENT ARTIFICIAL CARIES OF ENAMEL)

  • 강지선;이난영;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684-691
    • /
    • 2008
  • 많은 연구에서 불소 이온을 이용한 치아우식증의 예방 및 재광화 효과에 대해 밝힌 바 있다. 불소는 치아우식을 예방하고 재광화를 촉진하는 대표적인 성분이다. 하지만 불소를 이용한 재광화는 하부의 탈회 병소를 충분히 광화시키지 못하며 다공성으로 인해 불완전한 광화를 보인다. 또한 그 적용 과정에서 과량이 섭취되었을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독성도 고려해야 한다. 한편 CPP-ACP(Casein Phosphopeptides-Amorphous Calcium Phosphate)는 초기의 우식병소를 재광화 시키며 우유 단백질인 casein으로부터 추출한 성분으로 섭취되어도 인체에 무해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APF gel과 CPP-ACP 제제의 재광화 효과를 비교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실험에서는 법랑질 인공우식 병소에 Acidulated Phosphate Fluoride(APF) gel과 CPP-ACP 제제를 각 도포 방법에 따라 적용하였다. 14일 후, 표면미세경도를 측정하고 편광 현미경 하에서 재광화 병소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실험 전후 표면미세경도를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모든 군에서 실험 후에 표면미세경도가 증가하였다(P<0.05). 2. CPP-ACP 제제를 도포한 군에서 불소를 도포한 군에 비해 표면미세경도 증가 폭이 유의하게 컸다(P<0.05). 3. 편광현미경 하에서 관찰한 결과 불소도포 군은 불규칙하고 얇은 재광화 층을, CPP-ACP 제제를 도포한 군은 균일하고 두터운 재광화 층을 보였다.

  • PDF

비정질 칼슘 포스페이트 나노 입자의 합성과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Amorphous Calcium Phosphate Nanoparticles)

  • 한지훈;정성욱
    • 공업화학
    • /
    • 제29권6호
    • /
    • pp.740-74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비정질 칼슘 포스페이트(ACP) 나노 입자의 합성과 특성 분석을 진행하였다. 염화칼슘(calcium chloride ($CaCl_2$))과 아데노신 인산나트륨(disodium adenosine triphosphate ($Na_2ATP$)) 그리고 피트산 나트륨(sodium phytate) 첨가제를 열수 반응을 통해 상대적으로 단분산된 100 nm 크기 이하의 ACP 나노 입자를 성공적으로 합성하였고 나노 입자의 화학적 조성과 구조를 재료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피트산 나트륨 첨가제의 사용을 통해 얻은 ACP 나노 입자는 비정질성을 유지하고 결정성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P)로의 전환을 방지하는 안정성이 향상되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발견된 향상된 안정성을 가지는 ACP 나노 입자는 재생 의학 분야에서의 생체 적합 물질로의 응용에 중요한 잠재적 용도가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무우에 있어서의 효소 단백질에 의한 연마군 및 궁중군의 다형적 변이에 관하여 ( 대근における효소タンパクによる연마군と궁종군の다형적변이について )

  • 박상용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312-318
    • /
    • 1989
  • 가을무우의 궁중 무우 6품종 및 연마무우 4품종에 관하여 Acp, NDH 및 IDH의 다형적변이를 조사하였다. 1. Acp에서는 7개의 Band가 (PH 7.0~8.0),NH에서는 2개의 Band가 (PH7.5~8.0) IDH에서는 3개의 Band가 (PH 5.0~6.0) 검출되었다. 2.Acp-1, -2, -3, -5 및 -6의 band, NDH-2의 Band 및 IDH-2의 Band 가 전품조에서 고정적인 Band로 검축되었다. 3.궁중군에서는 NDH-1, Acp-4 의 Band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4. 다형적인 변이가 보여진 Acp-4 및 -7, NDH-1, IDH-1 및 -3의 5가지의 Band에서 품종판별로 Marker로 활용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 PDF

DEVELOPMENT OF HOT CELL FACILITIES FOR DEMONSTRATION OF ACP

  • You, Gil-Sung;Choung, Won-Myung;Ku, Jeong-Hoe;Cho, Il-Je;Kook, Dong-Hak;Park, Seong-Won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4년도 Proceedings of the 4th Korea-China Joint Workshop on Nuclear Waste Management
    • /
    • pp.191-204
    • /
    • 2004
  •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ffective management technologies of the spent fuels discharged from power reactors are an important and essential task of KAERI. In resent several years KAERI has focused on a project named "development and demonstration of the Advanced spent fuel Conditioning Process (ACP) in a laboratory scale." The Facility for ACP demonstration consists of two Hot Cells and auxiliary facilities. It is now in the final design stage and will be constructed in 2004. After construction of the facility the ACP equipments will be installed in Hot Cells. The ACP will be demonstrated by some simulated spent fuels first and then by spent fuels.

  • PDF

The Effects of Advance Care Planning on Decision Conflict and Psychological Distres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Yeun, Young-Ran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4권3호
    • /
    • pp.144-153
    • /
    • 2021
  • Purpose: Advance care planning (ACP) is widely understood to improve end-of-life care. Thi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CP interventions on decision conflict and psychological distress. Methods: A search of PubMed, CINAHL, CENTRAL, EMBASE, KISS, KoreaMed, and RISS was conducted in November 2020. The study includ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Data were pooled using fixed- and random-effects models. Results: Fourteen studies were identified that cumulatively included 1,548 participants. ACP interventions were effective in alleviating decision conflict (d=-0.53; 95% CI: -0.83 to -0.23), depression (d=-1.22; 95% CI: -1.71 to -0.74) and anxiety (d=-0.76; 95% CI: -1.12 to -0.39). Conclusion: ACP interventions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reducing decision conflict and psychological distress. A high level of bias was shown related to allocation concealment and blind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for end-of-life care provider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ACP interventions.

CPP-ACP제제를 이용한 법랑질 초기 우식증의 재광화 치험례 (REMINERALIZATION OF INCIPIENT ENAMEL CARIES LESION BY CPP-ACP PASTE)

  • 강지선;이상호;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59-166
    • /
    • 2008
  • 치아우식증은 치아의 탈회와 재광화가 반복하여 일어나는 동적인 과정으로, 탈회 및 재광화의 속도에 따라 우식이 정지되거나 악화된다. 재광화를 유도하기 위해 불소 제제가 흔히 사용되고 있으나, 개인마다 salivary flow rate이나 타액내 이온 함량 및 타액의 pH 등에 따라 그 효과가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소아 환자의 경우 과량 섭취로 인한 독성 우려도 배제할 수 없다. 최근 CPP-ACP(Casein Phosphopeptides-Amorphous Calcium Phosphate) 제제를 이용하여 탈회된 법랑질의 재광화를 유도하는 술식이 보고되고 있는 바, 본 증례에서는 법랑질 초기 우식증을 가진 환아에게 국내에서 시판중인 CPP-ACP 제제인 Tooth Mousse를 적용하였다. 제제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치아미백술 시행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된 customed tray를 사용하여 매일 도포하도록 하였다. 주기적인 관찰 결과 추가적인 우식의 진행 없이 시술 전과 비교하여 법랑질 병소의 크기가 감소한 양상이 관찰되었다. 발육 장애 증례나 만성적 우식증의 경우에는 그 효과가 크지 않았으나 경도 및 중등도의 초기 우식증을 가진 소아 환자에게 CPP-ACP 제제를 6주간 적용한 결과 치아 삭제 등의 시술 없이 본래 법랑질 밀도를 회복할 수 있었으며 주기적인 점검과 구강위생 교육을 통해 구강 관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

Express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ketide Synthase Module Involved in the Late Step of Cephabacin Biosynthesis from Lysobacter lactamgenus

  • Lee, Ji-Seon;Vladimirova, Miglena G.;Demirev, Atanas V.;Kim, Bo-Geum;Lim, Si-Kyu;Nam, Doo-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3호
    • /
    • pp.427-433
    • /
    • 2008
  • The cephabacins produced by Lysobacter lactamgenus are ${\beta}$-lactam antibiotics composed of a cephem nucleus, an acetate residue, and an oligopeptide side chain.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ecise implication of the polyketide synthase (PKS) module in the biosynthesis of cephabacin, the genes for its core domains, ${\beta}$-ketoacyl synthase (KS), acyltransferase (AT), and acyl carrier protein (ACP), were amplified and cloned into the pET-32b(+) expression vector. The sfp gene encoding a protein that can modify apo-ACP to its active holo-form was also amplified. The recombinant KS, AT, apo-ACP, and Sfp overproduced in the form of $His_6$-tagged fusion proteins in E. coli BL21(DE3) were purified by nickel-affinity chromatography. Formation of stable peptidyl-S-KS was observed by in vitro acylation of the KS domain with the substrate [L-Ala-L-Ala-L-Ala-L-$^3H$-Arg] tetrapeptide-S-N-acetylcysteamine, which is the evidence for the selective recognition of tetrapeptide produced by nonribosomal peptide synthetase (NRPS) in the NRPS/PKS hybrid. In order to confirm whether malonyl CoA is the extender unit for acetylation of the peptidyl moiety, the AT domain, ACP domain, and Sfp protein were treated with $^{14}C$-malonyl-CoA. The results clearly show that the AT domain is able to recognize the extender unit and decarboxylatively acetylated for the elongation of the tetrapeptide. However, the transfer of the activated acetyl group to the ACP domain was not observed, probably attributed to the improper capability of Sfp to activate apo-ACP to the holo-ACP form.

Development of Safeguards System for Advanced Spent Fuel Conditioning Process

  • Lee Tae-Hoon;Song Dae-Yong;Ko Won-Il;Kim Ho-Dong;Jeong Ki-Jeong;Park Seong-Won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대회
    • /
    • pp.426-427
    • /
    • 2005
  • Advanced Spent Fuel Conditioning Process (ACP) is a pyrochemical process in which the spent fuel of PWR is transformed into the uranic metal ingot. Through this process, which has been developed in KAERI since 1998, the radioactivity, the radiotoxicity, the heat and the volume of the PWR spent fuel are reduced by a quarter of the original. To demonstrate a lab-scale process and extract the data for the later pilot-scale process, a demonstration facility of ACP (ACPF) is under construction and the lab-scale demonstration is slated for 2006. To establish the safeguardability of ACPF, a safeguards system including a neutron counter based on non-destructive assay, which is named as ACP Safeguards Neutron Counter (ASNC), the ACP Safeguards Surveillance System (ASSS) which consists of two neutron monitors and five IAEA cameras, and Laser Induced Breakdown System (LIBS) have been developed and are ready to be installed at ACPF. The target materials of ACP to assay with ASNC a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among which the first is the uranic metal ingot, the second is the salt waste and the last is $UO_2$ and $U_{3}O_8$ powders, rod cuts and hulls. The Pu content of process nuclear materials can be accounted with ASNC. The ASSS is integrated in the ACP Intelligent Surveillance Software (AISS) in which the IAEA camera images and background signals at the rear doors of ACPF are displayed. The composition of special nuclear materials of ACP can be measured with LIBS which can be a supporting measurement tool for ASNC. The conceptual picture of safeguards system of ACPF is shown in Fig. 1.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