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E inhibition

검색결과 237건 처리시간 0.035초

Cacao bean으로부터 분리된 polyphenol 성분의 화학구조분석과 ACE 저해효과 (The chemical structure of polyphenols isolated from cacao bean and their inhibitory effect on ACE)

  • 장영렬;임무현;이만종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1호
    • /
    • pp.110-117
    • /
    • 1998
  • Ghana산 cacao bean으로부터 acetone으로 추출하고 Sephadex LH-20, MCI-gel CHP-20, Bondapak $C_{18}$ 및 Fuji gel ODS $G_3$, chromatography 등을 이용하여 7종의 polyphenol 화합물(compound 1 - compound 7)을 분리 정제하였고, 이들 화합물의 화학구조를 $^1H-NMR$, $^{13}C-NMR$, IR 및 MS를 사용하여 검색하였고 아울러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ACE) 저해효과를 조사 검토하였다. 분리정제한 7종의 polyphenol 화합물의 구조를 분석한 결과, compound 1: [(+)-catechin], compound 2: [(-)-epicatechin], compound 3: [procyanidin B-1, (-)-epicatechin-$(4{\beta}{\rightarrow}8)$-(+)-catechin], compound 4 : [procyanidin B-2, (-)-epicatechin-$(4{\beta}{\rightarrow}8)$-(-)-epicatechin], compound 5: [procyanidin B-7, (-)-epicatechin-$(4{\beta}{\rightarrow}6)$-(+)-catechin], compound 6 : (procyanidin B-2,3,3'-O-digallate) 및 compound 7: [cinnamtannin A-2, (-)-epicatechin-$(4{\beta}{\rightarrow}8)$-(-)-epicatechin-$(4{\beta}{\rightarrow}8)$-(-)-epicatechin-$(4{\beta}{\rightarrow}8)$-(-)-epicatechin]임을 동정하였다. ACE의 저해효과는 procyanidin B-2,3,3'-O-digallate (compound 6)가 $100\;{\um}M$에서 94.6%로 매우 우수하였으며, (+)-catechin (compound 1), (-)-epicate -chin (compound 2), procyanidin B류 (compound 3, 4, 5) 및 cinnamtannin A-2 (compound 7)도 각각 67.9%, 61.9%, 88.6%, 82.5%, 72.2% 및 82.3%의 비교적 우수한 저해효과가 있었다. 아울러 결합방식에서는 $4{\beta}{\rightarrow}6$보다 $4{\beta}{\rightarrow}8$의 결합방식이, 그리고 procyanidin 류에서는 gallate를 갖는 물질이 이를 함유하지 많은 물질보다 더욱 높은 ACE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또한 hydroxyl 기가 많을수록 효소 저해효과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chocolate의 주원료인 cacao bean의 polyphenol 성분 또한 녹차 등에서 볼 수 있는 생리활성효과에 손색없는 것으로 판단되고, 이러한 기능성에 기초하여 chocolate, 음료 등의 식품이나 의약품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산업적 응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제주산 녹차, 발효차 추출물과 바나듐의 식후 혈당강하 및 항고혈압 기능에 미치는 In Vitro 효과 (Inhibitory Effect of Jeju Tea Extracts and Vanadate on Postprandial Hyperglycemia and Hypertension, and In Vitro Study)

  • 박신영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98-407
    • /
    • 2020
  • 현대인의 기호식품인 차를 이용하여 비 발효차인 녹차와 3가지 발효차로 구분하여 식후 고혈당의 지표가 되는 알파글루코시데이스(α-glucosidase) 활성과 고혈압활성의 지표로 사용되는 안지오텐신전환효소(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의 억제작용을 확인하였다. α-glucosidase 억제 활성의 상승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녹차추출물에 인슐린과 유사기능이 있다고 밝혀진 바나듐을 미량(50 ㎍/mL)으로 혼합하여 α-glucosidase 활성 억제를 위한 상승효과 여부를 조사하였다. 또한 녹차의 기능성물질로 알려진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의 농도와 카페인(caffeine)의 농도를 측정하여 녹차와 발효차 효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녹차와 발효차 추출물로부터 식후 혈당을 증가시키는 α-glucosidase 활성이 크게 억제되어 차의 식후 혈당저해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차 추출물 중에서도 20% 발효차가 가장 우수한 기능을 보였다. 그러나 차 추출물만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와 바나듐과 함께 처리한 경우 서로 다른 결과를 보였다. α-glucosidase 저해효과는 저 농도(50 ㎍/mL)의 녹차와 바나듐 혼합 처리에서 단독 처리에 비해 저해활성이 2배나 증가되어 녹차가 바나듐과 가장 큰 상승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ACE 저해활성은 모든 차 추출물에서 확인되었으나 녹차에서 가장 높게 조사되어 녹차가 다른 차에 비해 가장 높게 측정된 EGCG 농도의 효과로 생각되며 발효차의 식후 혈당강하 및 ACE 저해효과는 EGCG 외에 또 다른 기능성물질이 관여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Bacillus coagulans CE-74에 의해 생산된 Biopolymer의 생리적 기능성 (Physiological Function in vitro of Biopolymer from Bacillus coagulans CE-74)

  • 이선호;최희진;손준호;배두경;배종호;김성;안봉전;최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3호
    • /
    • pp.137-142
    • /
    • 2001
  • 미생물로부터 고분자 물질을 생산하여 기능성 식품보조제로 사용하기 위하여 Bacillus coagulans CE-74에 의해 생산된 biopolymer를 이용해 glucose, bile acid 흡수 지연 효과 및 ACE와 tyrosinase 저해 효과를 조사 검토하였다. 분리된 biopolymer의 소화관내 생리적 기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반투막을 이용한 in vitro 실험을 수행하였다. 투석막을 이용하여 biopolymer의 glucose흡수 지연 효과를 살펴본 결과 biopolymer를 2% 첨가한 경우 투석 30분이 경과되었을 때 히ucose retardation index가 43.5%였고 시간이 경과 할수록 그 효과는 감소 하였으며 투석 5시간 이후에는 그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Bile acid흡수 지연 효과를 살펴본 결과 투석 30 분이 경과 되었을 때 bile acid retardation index는 biopolymer가 1%, 2% 첨가된 경우 각각 34%, 44.2%였으며 시간이 경과할수록 그 효과가 감소하였다. 분리된 biopolymer의 ACE저해효과는 $10\;{\mu}g/{\mu}l$의 농도에서는 97%의 저해를 보였으며, tyrosinase 저해효과를 관찰한 결과 $20\;{\mu}g/{\mu}l$농도에서 48.5%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미강과 솔잎, 강황 분말을 첨가한 현미에 배양한 상황버섯 균사체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Phellinus linteus on Brown Rice added Rice Bran, Pine Needle and Tumeric Powder)

  • 박효숙;전태욱;최한석;김중만;김명곤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11-116
    • /
    • 2011
  • 본 연구는 미강과 솔잎, 강황을 첨가한 현미에 배양한 상황버섯균사체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아질산염소거활성, tyrosinase 저해활성, ACE 저해활성 및 혈전 용해 활성을 검토하고자 수행되었다. 상황버섯 배양물의 전자공여능은 에탄올 추출물 보다 물추출물에서 더 낮았다. 아질산염 소거활성은 물추출물 보다 에탄올 추출물로 부터의 상황 버섯 배양물에서 가장 높았다 특히, 솔잎 첨가물 처리시 아질산염 소거활성은 에탄올 추출물의 pH 1.2에서 약 70%였다. 상황버섯 배양물의 Tyrosinas 저해활성은 에탄올 추출물 보다 물추출물에서 가장 높았고, 저해율은 솔잎 첨가된 열수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다. ACE 저해활성은 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에서 매우 낮은 효과가 있었다. 혈전용해활성은 미강과 솔잎 그리고 강황에서 유사하게 높았다. 특히 미강 첨가시 그 활성이 plasmin 보다 약 5% 증가되었다. 그러므로, 유용 성분 분리 및 정제와 같은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기능성 물질의 천연소재로써 식품 및 화장품 산업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미강과 솔잎, 강황 분말을 첨가한 현미에 배양한 장수버섯 균사체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Fomitella fraxinea on Brown Rice added Rice Bran, Pine Needle and Tumeric Powder)

  • 박효숙;전태욱;최한석;김중만;김명곤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05-110
    • /
    • 2011
  • 본 연구는 현미에 미강, 솔잎 그리고 강황을 첨가한 장수버섯 배양물의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활성, tyrosinase 저해활성, ACE 저해활성 및 혈전용해 활성을 검토하고자 수행되었다. 전자공여능은 에탄올 보다 열수를 이용한 추출물에서 더 높았다. 아질산염 소거활성은 솔잎첨가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고 소거활성은 거의 50%였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열수이용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고 미강, 솔잎 그리고 강황 첨가에 의한 저해율은 장수버섯 열수 추출물에서 각각 72.49%, 87.34% 및 82.75%를 보였다. ACE 저해효과는 모든 물과 에탄올 추출물에서 매우 낮은 효과가 있었다. 혈전용해 활성은 미강, 솔잎, 강황에서 유사하게 높았다. 특히 미강 그리고 강황이 첨가 되었을 때 활성이 plasmin보다 약 10% 증가 되었다. 따라서 동물 실험과 같은 추가 연구가 진행 후, 천연소재로서 식품 및 화장품 산업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큰방가지똥 추출물의 항당뇨 및 항고혈압효과 (Antidiabetes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Sonchus asper (L) Hill Extract)

  • 허명록;왕란;허계방;왕명현
    • 생약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61-67
    • /
    • 2011
  •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bio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 and its solvent fractions of Sonchus asper (L.) Hill. The EtOAc fraction of S. asper exhibited more strong antioxidant activity than other extracts as evidenced by the strongest 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ith a $EC_{50}$ value at $33.55\;{\mu}g/mL$ and reducing power, the total polyphenol (180.71 mg GAE/g) and flavonoid contents (145.86 mg QE/g) of S. asper extract were higher than other extracts. The EtOAc fraction of the S. asper also showed 47.38% mushroom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56.22% ${\alpha}$-glucosidase inhibition and 46.58% ${\alpha}$-amylase inhibition ratio at 1 mg/mL. Both methylene chloride and EtOAc fractions of methanol extract of S. asper effectively reduced of the 86.34% and 62.03%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ACE) activity at 2 mg/mL, respectivel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EtOAc fraction of the S. asper could be a potential antioxidant in food additive, medicinal, and industry product.

한약재들의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 작용 검색 (In vitro Screening of Oriental Medicinal Plants for Inhibitory Effects on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 강대길;오현철;손은진;권태오;이호섭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9
    • /
    • 2001
  •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는 한약재 51종을 극성에 따라 4가지 용매로 분획한 후 안지오텐신 전환 요소 활성도 억제를 검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202종의 분획중 $400{\;}\mu\textrm{g}/ml$의 농도에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활성도를 50% 이상 억제한 추출물 수는 26종이었고, 90% 이상 억제한 추출물 수는 4종이었다. 2. 대부분 추출물의 $IC_{50}$ 수치는 $300-400{\;}\mu\textrm{g}/ml$ 이었으나 택사의 물층, 황련의 buthanol, 물 추출물과 단삼의 ethylacetate, buthanol 추출물, 토사자의 ethylacetate 추출물 등은 6종의 추출물은 $200{\;}\mu\textrm{g}/ml$ 이하의 $IC_{50}$을 보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보아 많은 한약재들의 항고혈압 효과는 부분적으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를 억제하는 효과에 의한 것으로 여겨진다.

  • PDF

Expression and Purification of an ACE-Inhibitory Peptide Multimer from Synthetic DNA in Escherichia coli

  • OH, KWANG-SEOK;YONG-SUNG PARK;HA-CHIN S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2권1호
    • /
    • pp.59-64
    • /
    • 2002
  • An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EC 3.4.15.1) (ACE), which can convert inactive angiotensin I into angiotensin II, a vasoconstrictor, is one of the key enzymes in controlling hypertension. It is suggested that the inhibition of ACE prevents hypertension, and many inhibitory peptides have already been reported. In the current study, oligonucleotides encoding ACE inhibitory peptides (IY, VKY) were chemically synthesized and designed to be multimerised due to isoschizomer sites (BamHI, BglII). The cloned gene named AP3 was multimerised up to 6 times in pBluescript and expressed in BL2l containing pGEX-KG. The fusion protein (GST-AP3) was easily purified with a high recovery by an affinity resin, yielding 38 mg of synthetic AP3 from a 1-1 culture. The digestion of AP3 by chymotrypsin exhibited an $IC_50$ value of $18.53{\mu}M$. In conclusion, the present experiment indicated that AP3 could be used as a dietary antihypertensive drug, since the potent ACE inhibitory activity of AP3 could be activated by chymotrypsin in human intestine.

Screening for Angiotensin 1-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Ecklonia cava

  • Athukorala Yasantha;Jeon, You-Ji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0권2호
    • /
    • pp.134-139
    • /
    • 2005
  • Seven brown algal species (Ecklonia cava, Ishige okamurae, Sargassum fulvellum, Sargassum horneri, Sargassum coreanum, Sargassum thunbergii and Scytosiphon lomentaria) were hydrolyzed using five proteases (Protamex, Kojizyme, Neutrase, Flavourzyme and Alcalase) and screened for angiotensin 1-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ctivities. Most algal species examined showed good ACE inhibitory activities after the enzymatic hydrolysis. However, E. cava was the most potent ACE inhibitor of the seven species. Flavourzyme digest of E. cava exhibited an $IC_{50}$ of around $0.3\;{\mu}g/mL$ for ACE; captopril has an $IC_{50}$ of $\~0.05\;{\mu}g/mL$. The Flavourzyme digest was separated to three fractions by an ultrafiltration membrane (5, 10, 30 kDa MWCO) system according to the molecular weights. The active components were mainly concentrated in >30 kD fraction which are composed of the highest protein content $(27\%)$ and phenolic content (261 mg/100 mL) compared to the other two smaller molecular weight fractions. Therefore, the active compounds appear to be relatively high molecular weight complex molecules associated with protein (glycoprotein) and polyphenols. Therefore, E. cave is a potential source of antihypertensive compound.

Antioxidant and ACE Inhibitory Activities of Soybean Hydrolysates: Effect of Enzyme and Degree of Hydrolysis

  • Lee, Ji-Soo;Yoo, Mi-Ae;Koo, Seung-Hyun;Baek, Hyung-Hee;Lee, Hyeon-Gyu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4호
    • /
    • pp.873-877
    • /
    • 2008
  • Native soy protein isolate (SPI) was hydrolyzed with 4 different proteolytic enzymes, including bromelain, papain, Neutrase, and Flavourzyme. SPI hydrolysates with the degree of hydrolysis (DH) in range of 6 to 15% were prepared by each enzyme. The angiotensin 1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nd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PI hydrolysates, such as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and inhibition of the linoleic acid autoxidation, were evaluated. Overall, as the DH increased, all evaluated bioactivities of the SPI hydrolysate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ignificantly highest ACE inhibit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were found in hydrolysates made with papain and bromelain, respectively. SPI hydrolysates by Flavourzyme showed the significantly lowest activity in all tested bioactivities. The results suggested that ACE inhibit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PI hydrolysates were determined by the DH and by the enzyme u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