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E

검색결과 2,543건 처리시간 0.044초

LPS로 유도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Argyreia capitata (Vahl) Choisy 추출물의 NF-κB pathway 조절을 통한 항염증 효능 평가 (Evaluation of anti-inflammatory effect by regulating NF-κB pathway of Argyreia capitata (Vahl) Choisy extract in LPS-induced RAW 264.7 macrophages)

  • 염가희;소보람;;엄상미;정성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49-254
    • /
    • 2020
  • 우리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서 제공한 소재를 탐색 후 ACE를 선별하였고 이 소재의 항염증 효능을 평가하였다. ACE는 세포독성이 없는 농도에서 LPS에 의한 iNOS의 발현과 NO의 생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ACE는 LPS에 의해 증가한 IKK, IκB, p65의 인산화와 IL-1β의 생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이 논문은 ACE가 NO/iNOS 발현 및 NF-κB 신호 전달 경로의 억제를 통해 항염증 효능을 나타냄을 밝힌 최초의 논문으로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이 결과를 바탕으로 ACE는 항염증 기능성식품 또는 의약품소재로써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효소가수분해 조건에 따른 우유 케이신의 Angiotensin-I 전환효소 저해효과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Properties of Bovine Casein Hydrolysates in Different Enzymatic hydrolysis Conditions)

  • 김현수;인영민;정석근;함준상;강국희;이수원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7-93
    • /
    • 2002
  • 최근 고혈압을 예방하기 위한ACE 저해 펩타이드에 대한 연구는 주로 여러 가지 식품 단백질의 효소 가수분해물로부터 얻어진 펩타이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케이신을 여러 가지 상업용 단백질분해 효소를 사용하여 ACE저해 효과가 높은 가수분해물 제조시 가수분해 조건이 ACE저해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자 하였으며 적정 가수분해 조건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ACE 저해효과를 가지는 케이신 가수분해 물을 제조하기 위한 효소 종류, 첨가량 및 가수분해시간은 효소는 Aspergillus oryzae 유래의 promod 192를 사용하고, 효소의 첨가량은 케이신에 대하여 1%, 반응시간은 47$^{\circ}C$에서 12시간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였다. 이 때 케이신 가수분해물의 $IC_{50}$/값은 248.71ug/m1(통상법), 265.84ug/ml(전처리법)로서 ACE 저해효과가 높았다.

Chitosan 올리고당의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활성 억제 및 SHR에서의 고혈압 억제 특성 (ACE Inhibitory and Antihypertensive Effect of Chitosan Oligosaccharides in SHR)

  • 홍상필;김명희;오세욱;한찬규;김용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476-1479
    • /
    • 1998
  • 키토산 올리고당이 ACE 저해활성과 SHR의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키토산 올리고당은 모두 AC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ACE 저해활성$(IC_{50})$은 3량체가 $0.9\;{\mu}mole$로 가장 우수하였고 2량체의 경우에는 $2.4\;{\mu}mole$, 그 외의 올리고당은 모두 $>100\;{\mu}mole$였다. 강력한 ACE 저해제인 Captopril(2-D-mercaptopropanoyl-L-proline)의 인체 투여량을 기준으로 3량체 키토산 올리고당 2.14 mg/kg을 SHR에 강제 경구투여한 바, 4시간 경에 8주령 및 21주령 SHR모두 최저혈압을 보였고 이 때의 혈압 강하는 8주령 SHR $27{\pm}4.8\;mmHg$, 21주령 SHR $36{\pm}4.3\;mmHg$로 나타났다. 따라서 3량체 키토산 올리고당은 2량체 키토산 올리고당과 함께 향후 고혈압 치료제로서 응용가능함이 시사되었다.

  • PD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억제제 개발 약리연구

  • 진창배;김동현;박혜영;이향숙;박종세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182-182
    • /
    • 1994
  •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을 비가역적으로 불활성화시킴으로써 오랫동안 작용할 수 있는 고혈압치료제로서의 ACE억제제를 개발하기 위하여pseudomechanism-based inhibition이라는 새로운 억제기전을 가질 것으로 추정되는 아래 그림과 같은 기본 분자구조를 갖는 epoxide 유도체들을 합성하여 in vitro에서 ACE활성 억제효과를, HPLC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합성되어진 epoxide 유도체들은, epoxide group대신에 sulfhydryl 또는 carboxyl group으로 치환되어져 있는 기존의 ACE 억제제들보다도 효능이 현저히 저하됨으로써, ACE의 $Zn^{2+}$ binding site와는 배위결합력이 미약하다는 것을 의미하여 준다. 또한 유도체들의 phenylring에 chloride, hydroxyl, nitro group과 같은 polar group 의 도입으로 말미암아 ACE 억제효과가 저하됨으로써 이 부위에서의 hydrophobic interaction이 ACE를 억제하는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해 주며 이외에도 이미 알려진 바와같이 carbonyl carbon과 인접한 carbon atom에 methyl group의 도입이 억제효과에 중요한 역활을 하였다. 따라서 향후에는 ACE의 $Zn^{2+}$ binding site와 강력한 배위결합을 하는 carboxyl group을 도입하고 epoxide의 위치를 변경시키며 또한 hydrophobic interaction하는 부위의 구조를 변화시켜 보다 효능이 우수한 새로운 기전의 ACE억제제를 개발해 나가고자 한다.

  • PDF

양파 조미액의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활성 (Inhibitory Effect of Onion Seasoning on Angitensin Converting Enzyme)

  • 마상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95-400
    • /
    • 2000
  • 양파 조미액으로부터 ACE 저해활성 물질을 분리하기 위해 hexane, ethylether, ethylacetate, butanol과 물로 분획시, 4.8g의 당 함량과 31.9 mg의 phenol성 물질을 함유한 butanol 분획이 82.1%의 AC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고, 70.3%의 ACE 저해활성을 보인 양퍄 조미액보다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Butanol 분획을 Amberite XAD-2column으로 분리한 결과, ACE 저해활성을 보이는 미흡착 분획(F1)를 얻었다. 활성분획 F1을 Sephadex LH-20column으로 분획한 결과, 4개(F1-1,F1-2,F1-3,F1-4)의 분획을 얻었으며, 이중 F1-3 분획의 ACE 저해활성은 93%로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얻어진 활성분획F1-3을 Supercosil LC-18 column을 이용하여 분리한 결과, 6분대에서 ACE 저해활성을 가지는 단일 peak(F1-3a)를 얻었다. 각 정제 과정에서 얻은 분획들은 전형적인 flavonoid의 band I과 bandII의 피크를 보였다. 또한 ACE에 대한 저해기작은 flavonoid 물질이 보이는 전형적인 비경쟁적 저해양상을 보였다.

  • PDF

한우에서 추출한 Myosin B의 Pepsin 가수분해물의 Ultrafilteration에 의한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ACE) 저해 활성 분석

  • 김영주;최담미;진구복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5년도 제36차 추계 학술발표대회
    • /
    • pp.168-171
    • /
    • 2005
  • 한우의 Myosin B 단백질을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인 pepsin으로 처리한 다음 단백질의 함량과 혈압상승 펩티드 생성효소인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ACE)에 대한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등심이 우둔에 비해 단백질의 함량이 높았으며, 가수분해 처리 후 우둔과 다르게 등심은 3시간 가수분해 처리구에서 단백질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ACE 저해활성은 등심에서는 3시간, 우둔에서는 6시간동안 가수분해시켰을 때 ACE 저해율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3, 6시간동안 가수분해시켰을 경우 부위 별로 유의적인 차가 있었으나(p<0.05), 0, 1시간동안 가수분해 시켰을 때는 부위간의 유의적인 차는 없었다(p>0.05). ACE 저해율이 가장 좋은 가수분해 처리구를 ultrafiltration시킨 결과, 저분자 peptide 상태의 가수분해물이 고분자에 비하여 ACE 저해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차후 ACE 억제활성도가 높은 단백질을 분리하여 가장 우수한 분획을 찾아 아미노산 염기서열을 밝혀 고혈압 억제제로 합성 개발하는 연구를 추진할 예정이다.

  • PDF

Gene Amplification of aceA and aceB in Lysine-producing Corynebacterium glutamicum ssp. lactofermentum ATCC21799

  • Kim, Hyung-Joon;Kim, Youn-Hee;Lee, Heung-Shic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7권5호
    • /
    • pp.287-292
    • /
    • 1997
  • The role of glyoxylate bypass in lysine production by Corynebacterium glutamicum ssp. lactofermentum ATCC21799 was analyzed by using cloned aceA and aceB genes which encode enzymes catalyzing the bypass. Introduction of a plasmid carrying aceA and aceB to the strain increased enzyme activities of the bypass to approximately 5 fold on acetate minimal medium. The strain with amplified glyoxylate bypass excreted 25% more lysine to the growth medium than the parental strain, apparently due to the increased availability of intracellular oxaloacetate. The final cell yield was lower in the strain with amplified glyoxylate bypass. These changes were specific to the lysine-producing C. glutamicum ssp. lactofermentum ATCC21799, since the lysine-nonproducing wild type Corynebacterium glutamicum strain grew faster and achieved higher cell yield when the glyoxylate bypass was amplifi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lysine producing C. glutamicum ssp. lactofermentum ATCC21799 has the ability to efficiently channel oxaloacetate, the TCA cycle intermediate, to the lysine biosynthesis pathway whereas lysine-nonproducing strains do not. Our results show that amplification of the glyoxylate bypass efficiently increases the intracellular oxaloacetate in lysine producing Corynebacterium species and thus results in increased lysine production.

  • PDF

Disruptions of Two Apparent rho-Independent Transcription Terminator Structures do not help in Enhancing the Expression of aceK in E. coli

  • Lee, Su-Ji;Chung, Taeo-Wan
    • BMB Reports
    • /
    • 제28권5호
    • /
    • pp.458-463
    • /
    • 1995
  • Two apparent rho-independent transcription terminator structures within the coding sequence of aceK have been destroyed to access their roles in the differential expression between aceA and aceK in the glyoxylate bypass operon of E. coli. The effect of mutations on the expression of aceK was evaluated in two different ways: one by maxicell labeling and the other by lacZ fusion gene construction. The maxicell labeling experiment with the mutant operon clones has failed, like that of the wild type operon clone, to visibly show isocitrate dehrogenase (IDH) kinase/phosphatase, the product of aceK, on the autoradiogram of a protein gel. When the same mutations were introduced into an aceK::lacZ fusion gene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mutational effect, the activity of ${\beta}-galactosidase$ in neither of the mutant versions of the fusion gene was elevated significantly enough to explain the degree of polarity observed in this region. Thus, we conclude that neither of these intragenic, apparent rho-independent transcription terminator structures, which have long been suspected as a major determinant in the down regulation of aceK, really act as a premature transcriptional terminato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