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C

검색결과 1,210건 처리시간 0.042초

소타액선 선양낭성암종의 두피 전이 : 증례 보고 (METASTASIS OF ADENOID CYSTIC CARCINOMA OF THE MINOR SALIVARY GLAND TO THE SCALP : A CASE REPORT)

  • 조성민;표성운;박지영;김진아;이경지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1권4호
    • /
    • pp.339-342
    • /
    • 2009
  • Adenoid cystic carcinoma(ACC) is the second most common malignant neoplasm in the salivary gland. In spite of ACC shows slowly growing nature, it is sometimes highly detrimental that it readily invades adjacent tissues and metastasize to distant organs at the early stage of disease. Hence, treatment outcome may be misfortunate due to wide regional infiltration, pathognomonic perineural spread and the tendency of hematogenous metastasis. We present a unusal case of ACC of the scalp in which the patient initially presented with bumpy mass of the scalp who had been diagnosed as the primarily developed ACC of the right hard palate that extended to infratemporal fossa, nasal cavity, and paranasal sinuses and had been treated by total excision and post-operative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for 10 years ago. Although this lesion occured at the scalp, which is a frequent site of primary dermatologic ACC, its histomorphology was the same with that of previous tumor. Complete clinical examination showed no recurrence sign at the primary site and suggested the scalp as a sole treatment failure site. Accordingly, it would be reasonable to consider the present case as either a scalp metastasis or a second primary lesion of salivary gland ACC.

Hybrid 'Sinta' Papaya Exhibits Unique ACC Synthase 1 cDNA Isoforms

  • Hidalgo, Marie-Sol P.;Tecson-Mendoza, Evelyn Mae;Laurena, Antonio C.;Botella, Jose Ramon
    • BMB Reports
    • /
    • 제38권3호
    • /
    • pp.320-327
    • /
    • 2005
  • Five ripening-related ACC synthase cDNA isoforms were cloned from 80% ripe papaya cv. 'Sinta' by reverse transcription-PCR using gene-specific primers. Clone 2 had the longest transcript and contained all common exons and three alternative exons. Clones 3 and 4 contained common exons and one alternative exon each, while clone 1, the most common transcript, contained only the common exons. Clone 5 could be due to cloning artifacts and might not be a unique cDNA fragment. Thus, there are only four isoforms of ACC synthase mRNA. Southern blot analysis indicates that all five clones came from only one gene existing as a single copy in the 'Sinta' papaya genome. Multiple sequence alignment indicates that the four isoforms arise from a single gene, possibly through alternative splicing mechanisms. All the putative alternative exons were present at the 5'-end of the gene comprising the N-terminal region of the protein. 'Sinta' ACC synthase cDNAs were of the capacs 1 type and are most closely related to a 1.4 kb capacs 1-type DNA(AJ277160) from Eksotika papaya. No capacs 2-type cDNAs were cloned from 'Sinta' by RT-PCR. This is the first report of possible alternative splicing mechanism in ripening-related ACC synthase genes in hybrid papaya, possibly to modulate or fine-tune gene expression relevant to fruit ripening.

타액선 종양에서 혈관형성 인자의 발현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비교 연구 (COMPARATIVE IMMUNOHISTOCHEMICAL ASSAYS FOR THE EXPRESSION OF ANGIOGENIC FACTORS IN TUMORS OF HUMAN SALIVARY GLANDS)

  • 인연수;김성민;박영욱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9권1호
    • /
    • pp.10-23
    • /
    • 2007
  • Hallmarks of clinical behaviors of adenoid cystic carcinoma(ACC) of salivary glands are the delayed onset of vascular metastasis and poor responses to classical chemotherapeutic agents. Poor prognoses from salivary ACC are caused by lung metastases that are resistant to conventional therapy. Therefore, cellular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that influence the dissemination of metastatic cells are important for the design of more effective treatment of salivary ACC. Tumor angiogenesis has been known to be essential for the distant metastasis of malignant cells. So, we determined expressions of angiogenic proteins in benign (pleomorphic adenoma) and malignant (ACC, mucoepidermoid carcinoma) tumors of salivary glands and compared each other and to those i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Using surgical specimens, we performed immunohistochemical assays with anti-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VEGF receptor-2 (VEGFR-2), phosphorylated VEGFR-2 (pVEGFR-2), matrix metalloproteinase (MMP)-9, and interleukin (IL)-8 antibodies. Most angiogenic factors were overexpressed in malignant salivary tumors than in pleomorphic adenoma which is benign nature. Moreover, ACC demonstrated more expression of VEGFR-2 than that of squamous cell carcinoma which used as control. Conclusively, these data show those angiogenic factors produced by salivary gland tumors may affect the propagation and metastasis of malignant cells of salivary tumors, and could be used as biomarkers for the malignant transformation of salivary gland tumors. Prospectively, although further studies will be needed, these biomarkers related to angiogenesis can be molecular targets for the therapy of salivary ACC, which has propensity for delayed vascular metastasis.

항-표피성장인자수용체 단클론항체와 DNA 토포이소머라제 억제제에 의한 마우스 모델에서의 타액선 선낭암종 성장 억제 (Anti-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monoclonal antibody and DNA topoisomerase inhibitor reduce growth of salivary adenoid cystic carcinoma in a murine model)

  • 박영욱;이희수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6권3호
    • /
    • pp.177-185
    • /
    • 2010
  • Introductio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is expressed in human epithelial tumors including salivary cancers, and known to be correlated with tumor progression and poor clinical courses in some epithelial tumors.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therapeutic effect of the anti-EGFR monoclonal antibody Erbitux (C225, cetuximab) in combination with the DNA topoisomerase I inhibitor irinotecan (CPT-11) on human salivary adenoid cystic carcinoma (SACC) cells growing in nude mice. Materials and Methods: At first, immunocytochemical analysis for the expression of EGFR and phosphorylated EGFR (pEGFR) on a human salivary ACC cell line (ACC3). To determine the in vivo effects of Erbitux and CPT-11, nude mice with orthotopic parotid tumors were randomized to receive intraperitoneal Erbitux (1 mg) two times per week, intraperitoneal Irinotecan (50 mg/kg) once per week, Erbitux plus CPT-11, or placebo. (control) Tumor volume and weight were measured. And mechanisms of in vivo activity of Erbitux and/or CPT-11 were determined by immunohistochemical/ immunofluorescent analyses. Results: Immunocytochemical staining of ACC3 demonstrated that EGFR was expressed and phosphorylated. CPT-11 inhibited ACC tumor growth in nude mice. Tumors of mice treated with CPT-11 and CPT-11 plus Erbitux exhibited increased tumor cell apoptosis and decreased microvessel density, which correlated with a decrease in the tumor volume in nude mice. But, CPT-11 seems not to be synergistic with Erbitux in our ACC3 model system.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ti-EGFR monoclonal antibody and the DNA topoisomerase I inhibitor will b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recurred or metastatic lesions of salivary ACC.

ON ENDOMORPHISM RING OF H-INVARIANT MODULES

  • Bae, Soon-Sook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6권2호
    • /
    • pp.167-182
    • /
    • 1990
  • The relationships between submodules of a module and ideals of the endomorphism ring of a module had been studied in [1]. For a submodule L of a moudle M, the set $I^L$ of all endomorphisms whose images are contained in L is a left ideal of the endomorphism ring End (M) and for a submodule N of M, the set $I_N$ of all endomorphisms whose kernels contain N is a right ideal of End (M). In this paper, author defines an H-invariant module and proves that every submodule of an H-invariant module is the image and kernel of unique endomorphisms. Every ideal $I^L(I_N)$ of the endomorphism ring End(M) when M is H-invariant is a left (respectively, right) principal ideal of End(M). From the above results, if a module M is H-invariant then each left, right, or both sided ideal I of End(M) is an intersection of a left, right, or both sided principal ideal and I itself appropriately. If M is an H-invariant module then the ACC on the set of all left ideals of type $I^L$ implies the ACC on M. Also if the set of all right ideals of type $I^L$ has DCC, then H-invariant module M satisfies ACC. If the set of all left ideals of type $I^L$ satisfies DCC, then H-invariant module M satisfies DCC. If the set of all right ideals of type $I_N$ satisfies ACC then H-invariant module M satisfies DCC. Therefore for an H-invariant module M, if the endomorphism ring End(M) is left Noetherian, then M satisfies ACC. And if End(M) is right Noetherian then M satisfies DCC. For an H-invariant module M, if End(M) is left Artinian then M satisfies DCC. Also if End(M) is right Artinian then M satisfies ACC.

  • PDF

옥수수 일차뿌리에서 benzyladenine이 IAA에 의해 유도된 에틸렌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enzyladenine on the IAA-Induced Ethylene Production in the Primary Roots of Maize)

  • 송성희;박지혜;김순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745-749
    • /
    • 2010
  • 본 연구는 옥수수 뿌리에서 cytokinin ($N^6$-benzyladenine; BA)과 IAA를 각각 혹은 같이 처리하여 ethylene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두 호르몬을 외부에서 동시에 처리하면 ethylene 생성은 각각 처리하였을 때 보다 함께 처리하면 상승적으로 증가하였다. 예를 들면, $10^{-4}\;M$ BA와 $10^{-4}\;M$ IAA를 처리하면 ethylene 생성량은 각각 대조구의 87%와 170% 증가되지만 함께 처리하면 대조구의 480%가 증가된다. 이러한 상승적 효과는 에틸렌생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ACC synthase의 활성과 유전자 발현 수준에서도 볼 수가 있었다. 그러나 에틸렌 생성에 관여하는 다른 효소인 ACC oxidase의 활성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cytokinin인 BA와 IAA가 옥수수 뿌리에서 ACC synthase에 영향을 미쳐 ethylene 생성을 상승적으로 촉진시킨다는 사실을 제시한다.

선천성 피부 무형성증의 임상 경과 (Clinical Course of Aplasia Cutis Congenita)

  • 김지영;이연경;고선영;김경아;신손문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2호
    • /
    • pp.359-364
    • /
    • 2011
  • 목적: 선천성 피부 무형성증은 피부결손을 특징으로 드물게 발생하는 선천성 질환으로, 전신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선천성 기형을 동반하기도 한다. 국내에서의 연구는 증례보고에 국한되어 있어 출생 후 선천성 피부 무형성증으로 진단된 환아들의 임상 경과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4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제일병원에서 출생한 신생아 중 선천성 피부 무형성증이 확인된 8명을 대상으로 하여 의무 기록 정보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환아의 임상적 특징, 치료 및 예후에 관한 임상 경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8명의 환아 중 3명이 남아였고 5명이 여아였으며, 이중 질식분만이 4명, 제왕절개분만이 4명이었다. 재태기간은 36주 3일에서 39주 4일이었으며, 이 중 37주 미만의 미숙아는 2명이었고, 출생 체중의 중간값은 2,685 g (2,180-3,625 g) 이었다. 신생아 황달을 보인 환아는 4명, 태변을 흡인한 환아는 1명이었다. 산모는 임신성 당뇨를 보인 경우가 4명이었으며, 임신성 고혈압은 2명, 양수과소증을 보인 경우는 3명이었다. Frieden의 분류에 의해 두부에 발생한 5명은 group 1에, 사지 및 체간에 발생한 3명은 group 7에 속했으며, 크기는 0.3 cm 에서 1.5 cm 로 모두 2 cm 이하였고, 표피나 진피에 국한된 결손이었다. 동반된 기형은 없었으며, 가족력은 1명에서 관찰되었다. 모두 보존적 치료만을 시행하였으며, 심각한 반흔을 남기지 않고 2개월에서 4개월 이내에 상처가 치유되었다. 결론: 선천성 피부 무형성증은 드물게 발생하는 질환으로 출생 후 세밀한 관찰을 통해 쉽게 진단할 수 있으며, 결손 부위가 크지 않을 경우 병변의 위치에 관계없이 보존적 치료로 치유될 수 있었다. 하지만, 동반 질환 및 다른 질환과의 감별을 위해서는 임상경과와 합병증 발생에 대한 장기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하며, 결손 부위가 크거나 동반 질환의 경중에 따라 예후가 달라질 수 있기에 이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하겠다.

약용식물 물 추출물이 항당뇨 효소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dicinal Plant Water Extracts on Expression of Anti-diabetic Enzymes mRNA)

  • 김현숙;김태우;김대중;김경곤;최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7호
    • /
    • pp.1008-101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동충하초, 자소엽, 단삼, 전칠, 명월초 물 추출물이 당대사 관련 효소인 GCK(glucokinase), PDH(pyruvate dehydrogenase) 및 ACC(acetyl CoA carboxylase) mRNA 발현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GCK mRNA 발현은 동충하초 물 추출물을 250 ppm로 처리했을때 181%로 가장 높게 증가되었다. PDH mRNA 발현은 100 ppm에서 명월초(215%)> 단삼(193%)> 전칠(125%)> 동충하초(111%)의 순으로 증가되었으며, 250 및 500 ppm에서는 각각 명월초(251%)와 동충하초(210%) 물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ACC mRNA 발현은 자소엽, 단삼, 전칠의 경우 대조구보다 낮거나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었지만, 동충하초 물 추출물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100 ppm에서 141%, 250 ppm에서 284%로 크게 증가되었다. 명월초 물 추출물은 187~199% 범위에서 ACC mRNA 발현을 크게 증가시켰다. 결과적으로 동충하초와 명월초 물 추출물이 다른 소재들에 비해 간의 GCK, PDH, ACC mRNA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혈당강하 작용을 나타낼 것으로 판단하였다.

알카리성 Bacillus sp. Alk-7에 의한 Ethylene 생합성과 그 경로 (Ethylene Biosynthesis of an Alkalophilic Bacillus sp. Alk-7)

  • 배무;김미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95-199
    • /
    • 1998
  • Ethylene을 생성하는 호알칼리성 Bacillus sp. AIk-7를 분리 동정하였고, Bacillus sp. AIk-7의 ethylene 생성 경로와 전구 물질을 규명하기 위한 일환으로 이 균주의 intact cell과 cell-free system에서의 다양한 기질의 전환효과를 검토하였다. Intact cell과 cell-free system 모두에서 ethylene 생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전환 조건은 3$0^{\circ}C$, pH 10.3으로 조사되었고, 기질 전환 효과를 검토한 결과 methionine(Met)과 1-amlnocyclopropane-1-carboxylic acid(ACC)가 압도적으로 많은 ethylene을 생성하였다. Cell-free system에서 저해제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EDTA억제 효과로 2가 양이온이 필요함을, AOA 억제효과로 transaminase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Azide는 Met에서 ACC로의 단계에선 억제효과가 있었으나, ACC ethylene 전환 단계에선 오히려 활성효과를 보여주었다. 식물에서는 ACC에서 ethylene 과정은 Co$^{2+}$에 의해 저해받는데 반해 Bacillus sp. AIk-7은 Co$^{2+}$에 의해 ACC에서 ethylene과정이 10-70배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Bacillus sp. AIk-7에 의한 ethylene 생성 전구체는 Met과 ACC일 가능성이 있다.

  • PDF

도시음악축제에서 나타나는 일탈성 양상 연구 - ACC월드뮤직페스티벌을 중심으로 - (The Patterns of Deviation in Urban Music Festival: Focusing on the ACC World Music Festival)

  • 최언회;이무용
    • 예술경영연구
    • /
    • 제50호
    • /
    • pp.65-100
    • /
    • 2019
  • 본 연구는 도시음악축제에서 일탈성이 어떤 식으로 나타나고 있는지를 이론과 사례를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반복적인 일상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일탈은 삶의 활력을 제공할 수 있는데, 그러한 일탈성을 강하게 체험할 수 있는 곳이 축제현장이다. 따라서 도시축제에서 나타나는 일탈성 양상 분석은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이를 위해 우선 일탈과 축제의 관계를 정리하고, 선행 연구 및 축제 사례를 바탕으로 축제에서 나타나는 일탈성의 양상들을 도출하였다. 축제의 일탈성 양상은 크게 시공간적 일탈, 행위적 일탈, 상황적 일탈로 분류할 수 있었다. 각 양상들을 세분화해보면, 시공간적 일탈은 비일상성, 공간 분리, 공간 전유로 분류되었고, 행위적 일탈은 변신과 발산(표출)으로, 상황적 일탈은 역할 전도와 새로운 만남으로 각각 분류되었다. 이러한 분류 결과를 적용하여 광주광역시에서 열리고 있는 ACC월드뮤직 페스티벌에 나타난 일탈성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사진, 기사 등을 이용한 내용 분석 방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ACC월드뮤직페스티벌에서는 시공간적 일탈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난 반면, 행위적 일탈이나 상황적 일탈은 약하거나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다양한 일탈성 요소를 전략적으로 축제기획에 활용하여 현대 도시축제의 축제성을 강화하는데 도움이 될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