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검색결과 1,518건 처리시간 0.03초

A study on antioxidative components and activity of fermented Cirsium Lineare (Thunb.) extract

  • Lee, Sung-Gyu;Hwang, Jin-Woo;Lee, Dong-Sup;Kang, Sangmoon;Joun, Yong-Seung;Kang, Hyun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9권3호
    • /
    • pp.250-256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changes in polyphenol components and antioxidant effects of Cirsium Lineare (Thunb.) after fermentation by lactic acid bacteria. First, Cirsium Lineare (Thunb.) extract (CE, unfermented) and Cirsium Lineare (Thunb.) extract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paracasei (FCE) were prepared. Changes in components resulting from fermentation were confirmed through changes in polyphenol compound content and silymarin derivative pattern, and antioxidant activity was confirmed using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analyses. As a result, polyphenol contents of CE and FCE were confirmed as 21.94 ± 1.15 and 67.90 ± 4.48 mg GAE/g, respectively. Both values were increased approximately three times by fermentation, and there was also a change in the silymarin derivative pattern. In the case of DPPH radical RC50 values in particular, CE and FCE were confirmed to inhibit DPPH radicals by 50% at concentrations of 129.44 ± 5.85 and 50.00 ± 3.47 ㎍/mL, respectively, with the FCE value approximately 2.5 times lower than that of CE. In addition, ABTS radical scavenging and FRAP activity were confirmed to share similar trends a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hen CE and FCE were compared, FCE showed a better antioxidant effect overall.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FCE prepared through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may be utilized as a powerful antioxidant material.

목이버섯(Auricularia auricula-judae)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효과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Extracts from Auricularia auricula-judae)

  • 유상철;오태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27-332
    • /
    • 2016
  • 본 연구는 목이버섯을 대상으로 acetone, ethanol 및 ethyl acetate 등의 용매를 이용하여 확보된 각각의 추출물에 대한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ABTS 라디칼 소거능 등의 항산화 활성과 6종의 균주에 대한 디스크 확산법으로 항균 활성 등을 측정하였다. 목이버섯의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용매에 따라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극성이 큰 acetone과 ethanol에서 ethyl acetate 추출물에 비해 다소 높게 조사되었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ethyl acetate> acetone> ethanol 추출물 순으로 측정되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58.7~23.1%, 32.2~10.0% 등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목이버섯 ethanol 추출물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목이버섯의 항균 활성 측정 결과 acetone 추출물이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Micrococcus luteus,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 및 Enterobacter cloacae 등 6개의 균주 모두에 대하여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acetone, ethanol 및 ethyl acetate 추출물 모두에서 다른 균에 비해 B. subtilis에 대하여 생육저해환이 다소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듯 본 연구를 통하여 목이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목이버섯을 이용한 천연 첨가제 혹은 건강 기능성 식품의 원료소재 등으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버섯균사체를 달리한 발효가시오가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Acanthopanax senticosus Extract Fermented with Different Mushroom Mycelia)

  • 김단비;신기해;이종석;이옥환;박인재;조주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05-21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가시오가피 영지버섯발효 추출물, 상황버섯발효 추출물 및 노루궁뎅이버섯발효 추출물의 pH, 항산화 성분함량(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ORAC 지수,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FRAP활성 및 reducing power),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pH는 가시오가피 상황버섯발효 열수추출물이 4.55로 가장 높았고 상황버섯발효 70% 에탄올추출물이 3.72로 가장 낮았다. 총 페놀 함량은 가시오가피 영지버섯발효 열수 추출물이 42.09 mg GAE/g으로 가장 많았으며, 상황버섯발효 70% 에탄올추출물이 29.46 mg GAE/g으로 가장 적었다. 반면에 총 플라보노이드의 경우 가시오가피 노루궁뎅이버섯발효 열수추출물(23.93 mg RE/g)에서 가장 높았고, 상황버섯발효 70% 에탄올추출물(15.19 mg RE/g)으로 가장 낮았다. 항산화 활성의 경우 ORAC 지수는 총 페놀함량과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은 34.29-50.08% 범위에서 측정되었다. 또한 ABTS 라디칼 소거능(7.73-88.07%), FRAP활성(0.10-0.22) 및 reducing power (0.29-0.70)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가시오가피 영지버섯발효 추출물에서 우수한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의 경우 16.89-22.69%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버섯균사체를 이용한 발효가시오가피 추출물들은 다양한 항산화 모델에서 효능을 나타내어 기능성 식품원료로서의 활용도가 매우 넓을 것으로 판단된다.

열처리에 따른 야콘의 항산화 활성 변화 (Effect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Yacon (Smallanthus sonchifolius))

  • 황인국;김하윤;박보람;한혜민;유선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857-86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열처리가 야콘의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열처리 온도(100 및 $121^{\circ}C$)와 시간(15, 30 및 60분)에 따른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열처리 후 야콘의 갈변도, 유리형 및 결합형 폴리페놀 함량, 유리형 및 결합형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adical 소거 활성 및 ABTS radical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열처리 후 야콘의 갈변도, 유리형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은 열처리 온도와 시간에 따라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고, 결합형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감소하였다. 야콘의 유리형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21^{\circ}C$, 60분 열처리 시 생야콘에 비해 각각 1.2배 및 1.1배로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야콘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 및 ABTS Radical 소거 활성도 $121^{\circ}C$, 60분 열처리 시 생야콘에 비해 각각 1.7배 및 2.0배로 유의적(p<0.05)으로 증가였다. 야콘의 갈변도,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DPPH radical 및 ABTS radical 소거 활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높은 상관관계(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열처리 방법을 통해 야콘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한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용매별 정향 추출물의 항산화 및 신경세포 보호 효과 (Antioxidant and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s of Eugenia caryophyllata Thunb. by Extraction Solvent)

  • 오희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583-588
    • /
    • 2017
  • This study examined the antioxidant and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s of the water and methanol extracts of Eugenia caryophyllata Thunb.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ethanol extract than in the water extract.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the water extract was similar to Vit. C at a concentration of $100{\sim}200{\mu}g/mL$.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the water and methanol extract was similar to Vit. C at a concentration of $800{\sim}1,000{\mu}g/mL$. The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in the methanol extract was similar to Vit. C at a concentration of $800{\sim}1,000{\mu}g/mL$. The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and (SOD)-like activ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extract concentration. In a cell viability using MTT, the water extract (50 and 100 ppm) and methanol extract (100 ppm) had a protective effect against $H_2O_2$-induced neurotoxicity.The result ssuggest that the extract of E. caryophyllata Thunb. has antioxidant activities and may be useful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Effect of Aucklandia lappa Decne Extract on Antioxidant

  • Lee, Hea-Jin;Lim, Hyun-Ji;Lim, Mi-Hye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545-1555
    • /
    • 2020
  •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Aucklandia lappa Decne (AL). Cell viability was measured in an MTT assay. Antioxidant effects were evaluated based on total polyphenol/flavonoid contents,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OD activity, and ROS content. AL was found not to be toxic at concentrations of 1 ㎍/mL, 10 ㎍/mL, and 100 ㎍/mL, respectively. The phenolic content was higher in AL-D than in AL-E, while the flavonoid content was higher in AL-E than in AL-D. AL-E exhibited higher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AL-D, and the EC50 values for BHA were 217.1 ㎍/mL in AL-D and 180.5 ㎍/mL in AL-E. AL-E also show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EC50 values for BHA were 114.2 ㎍/mL in AL-D and 95.8 ㎍/mL in AL-E. The SOD-like activity of AL-E was higher than that of AL-D. The EC50 values for ascorbic acid were 48.5 ㎍/mL in AL-D and 72.9 ㎍/mL in AL-E, indicating that both AL extracts have a SOD activity higher than that of ascorbic acid. AL-E reduced relatively more ROS than AL-D. With 100 ㎍/mL AL-E, the reduction level was almost similar to that of dexamethasone.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AL have antioxidant effects, and we believe that they could be very valuable as raw materials for anti-aging products, based on their antioxidant activity.

전처리 조건에 따른 배암차즈기(Salvia plebeia R. Br.)의 주요 성분의 함량 및 항산화 (Active Ingredi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alvia plebeia R. Br. According to Pretreatment Conditions)

  • 김용주;정지숙;박노진;고근배;손병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2호
    • /
    • pp.1948-1953
    • /
    • 2014
  • 본 연구는 배암차즈기를 건조, 데침 및 발효에 따라 항염증 효능성분인 rosmarinic acid, homoplantaginin, luteolin의 함량 변화와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Rosmarinic acid는 열풍건조 시 16.42 mg/g, 데친 후 열풍건조 시 10.19 mg/g 순으로 검출되었으며, 동결건조 한 잎과 뿌리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음건 및 동결건조 시에는 각각 8.69와 8.15 mg/g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발효 후에는 0.05 mg/g으로 감소하거나 검출되지 않았다. 동결건조, 음건 및 열풍건조 한 배암차즈기는 $500{\mu}g/mL$의 농도에서 98.5% 이상의 ABTS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데친 후 열풍건조 시에도 87.3%의 우수한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뿌리는 잎에 비하여 ABTS radical 소거능이 낮았다. SOD 유사활성은 $1,000{\mu}g/mL$ 농도에서 6.1~27.8%로 측정되어 ABTS radical 소거능과 차이가 있었다. 배암차즈기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물질이며 항염증 효능 물질로 알려진 rosmarinic acid와 homoplantaginin은 차발효에 의해 거의 소실되기 때문에 배암차즈기를 기능성 차 또는 가공식품 원료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차발효(산화발효)보다 동결, 냉풍 및 열풍건조가 적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용아초(龍芽草) 유기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및 피부 장벽 개선 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Skin Barrier Function Measured in Different Solvent Fractions Obtained from Agrimoniae Herba)

  • 한제근;김민주;박해진;이경하;노성수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9-26
    • /
    • 2023
  • Objectives : Agrimoniae Herba is a herbal medicine widely distributed in Asia and contains flavonoids including catechin, quercitrin, rutin, hyperoside, and querceti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skin barrier function of different solvent fractions (Hexane; methylene chloride, MC; ethyl acetate, EA; n-butanol, Bu; Water) obtained from Agrimoniae Herba. Methods : Anti-oxidant activity of different solvent fractions obtained from Agrimoniae Herba was investigated through total polyphenol contents, total flavonoid contents,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measurements. Then, filament aggregating protein (Filaggrin), Type I collagen, ceramide synthase (CERS) 3, and CERS4 were analyzed to evaluate the skin barrier strengthening effect of different solvent fractions obtained from Agrimoniae Herba on UVB-stimulated HaCaT cells. Results : As a result of measuring total polyphenol contents, total flavonoid contents,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tioxidant activity was found to be excellent in the order of EA > Bu > MC > Hexane > Water. As a result of measuring mRNA gene expression of Type I collagen, Filaggrin, CERS3, and CERS4 after UVB-stimulated was applied to HaCaT cells treated with different solvent fractions obtained from Agrimoniae Herba, it was found to increase significantly in the Bu-treated group. Conclusion : Our findings show that the Bu sample obtained from Agrimoniae Herba has excellent anti-oxidant ability, which increases Type I collagen, Filaggrin, and ceramide synthetase in UVB-stimulated HaCaT cells to control the skin barrier improvement effect.

추출용매에 따른 울금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능 및 항비만 효과 (Radical Scavenging and Anti-obesity Effects of Various Extracts from Turmeric (Curcuma longa L.))

  • 박정진;이정민;전우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2호
    • /
    • pp.1908-191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울금 냉수, 열수 및 메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라디칼 소거활성 및 항비만 활성을 평가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울금의 냉수, 열수 및 메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3.68{\pm}0.80%$, $3.94{\pm}0.74%$$9.01{\pm}0.73%$로 나타났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 역시 물 추출물에 비해 메탄올 추출물에서 $6.88{\pm}0.44%$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 결과로부터 울금의 메탄올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울금 추출물들을 3T3-L1 전지방세포에 분화유도물질과 함께 처리했을 때, 메탄올 추출물은 분화과정 중 세포내 지방축적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울금 메탄올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메탄올 추출물이 전지방세포에서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꼬리진달래 발효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연구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Fermented Rhododendron micranthum Turcz. Extract and Its Biological Activity)

  • 김민진;유상미;김도연;허태임;이준우;박지애;박창수;김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938-944
    • /
    • 2018
  • 우리나라 특산, 희귀 식물로 알려져 있는 꼬리진달래(Rhododendron micranthum Turcz)를 기능성 유산균 Lactobacillus rhamnosus를 이용하여 발효 소재를 만들고 발효 소재의 항산화 활성 및 피부 개선 활성을 조사 하였다. 고형분 함량 3%의 꼬리진달래 추출물에 L. rhamnosus를 3%가 되게 접종하여 3일간 배양하여 $5{\times}10^9CFU/ml$의 높은 농도의 유산균이 배양 되었고 총페놀 함량은 배양 전 130 GAE mg/ml에서 157 GAE mg/ml로 증가 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DPPH, ABTS radical 소거능과 tyrosinase, elastase 저해 활성은 발효 전과 비교 하였을 때 각각 1.3, 1.5, 2.4, 5.6배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꼬리진달래 추출물을 유산균을 이용 하여 발효하였을 때 새로운 발효소재로 식품 및 화장품 산업 분야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 된다. 하지만 발효에 의한 천연 성분의 변화 및 활성 성분에 대한 분석, 생리활성 관련 작용 기전에 대해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