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EEK accreditation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1초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경력관리시스템 구축 (An Implementation of the Career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Android Platform)

  • 이원주;주치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145-15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MBTI, 적성검사 결과와 외국어(TOEIC, 회화, 작문) 능력 등을 관리하고, 재학기간 동안 현장실습, 인턴십, 프로젝트 참여, 졸업작품전, 공모전 수상 등의 실적을 관리할 수 있는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경력관리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 경력관리시스템은 서버와 클라이언트 모듈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 서버 모듈은 경력관리시스템의 웹 사이트를 구축한다. 이 웹 사이트는 학생 개인의 경력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두 번째 클라이언트 모듈은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앱을 개발 한다.이 앱은 학생 개인의 경력 관련 정보에 쉽게 접근하여 항상 새로운 데이터를 유지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경력관리시스템을 활용한다면 대학의 관련 부서들이 학생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 할 수 있고, 학생들의 부가가치를 높임으로써 취업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강의시간 배분이 공과대학 신입생의 대학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ime Allocation in Lecturing on the Mathematical Academic Achievement of Freshmen in Institute of Technologies)

  • 김성연;강상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8권2호
    • /
    • pp.191-206
    • /
    • 2009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methods of time allocation in lecturing on the mathematical academic achievement of freshmen in institute of technologies. The subjects are 392 freshmen from three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ABEEK(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of Korea). They belong to three groups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s of time allocation in lecturing; 75 minutes twice a week(79 students) and 150 minutes continuously once a week(77 students) (university 1 of 156 students), 100 minutes twice a week(56 students) and 200 minutes continuously once a week(60 students) (university 2 of 116 students) and 50 minutes and 100 minutes separately once a week(62 students) and 150 minutes continuously once a week(58 students) (university 3 of 120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achievement of separate time-allocation groups is higher than that of continuous time-allocation groups. Secondly, the achievement of middle class students and low class students has higher effects when they are taught by using the methods of separate time-allocation in lecturing. Finally, the achievement of groups using 75 minutes twice a week is higher than that of using 50 minutes and 100 minutes separately once a week.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ethod of separate time allocation in lecturing using 75 minutes twice a week could be an advisable means to help those who achieve middle and low scores in the first college mathematics.

  • PDF

컴퓨터·정보(공)학 분야 공학교육인증제 운영성과에 대한 교수들의 인식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Recognition and Improvements by Professors for the CAC(Computing Engineering Committee))

  • 한지영;강소연;전주현
    • 공학교육연구
    • /
    • 제19권5호
    • /
    • pp.35-47
    • /
    • 2016
  • This study analyzed outcomes of CAC(Computing Accreditation Committee) program individually applied in the field of computing engineering since 2007, and draw improvements. Literature review through academic journals, survey research and the FGI(Focus Group Interview) were used to accomplish objectives of the study. In addition, the survey research and FGI were done for professors. For the survey research, nationally 20 out of 44 universities which operates the CAC program were investigated, and sample universities were considered by region. FGI was done to analyze the performance and problems of CAC in more detail for 6 experts. Results of the study were follows as; first, CAC program was activated through the Seoul Accord activation support business by government. Second, BSM(Basic Science and Math), engineering major and engineering design education have been strengthened compared with before and after of CAC introduction in the computing engineering field. Third, soft skills needed for students in the college of engineering have been organized in the professional general curriculum, and professors aware of improvement of ability of the students for the skills. The degree of satisfaction for the CAC program has been examined as normal level, but improvement of educational system and the overall quality enhancement of computing engineering education were affected by CAC program. Nonetheless of positive results of CAC program, incentive system for certification program graduates, the expansion of the autonomy of the department, reduction in the amount of self-evaluation report, and support of administrative human resources were suggested for taking root successfully of CAC program.

공학입문 교과 실행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Narrative Inquiry : Practical experience of an Introduction to Engineering)

  • 박경문;김태훈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28-160
    • /
    • 2009
  • 본 연구는 한 학기 동안 공학입문 교과목을 중심으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상황들(장소, 교사, 학생, 교과목)을 중심으로, 특히 공학입문을 가르치는 두 교사간의 상호작용을 내러티브 형식으로 기술하였다. 특히 내러티브의 3차원적 탐구 공간 속에서 학교의 문화, 공과대학, 공학인증 프로그램 등을 바탕으로 공학입문이라는 교과목을 조명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얻은 결론은 학생의 흥미유발을 위한 두 교수의 실행경험으로부터 도출되었다. 첫째, 학생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하여 파워포인터의 글씨나 배경이 좀 더 크고 선명하게 즉, 큰 강의실에 맞추어 작성되어야 한다. 또한 교과 내용을 핵심내용으로 축소하고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동영상의 소개가 이전보다 많아야 한다. 둘째, 교수방법으로는 설명위주로 주어진 자료를 강의하는 것을 자재하고, 매 수업시간에 수업내용과 연계하여 학생들의 그룹 활동이나 개인 활동을 보다 많이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과제물은 부족한 수업내용을 보충하고 본 수업 이후에도 학생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는 것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시험문항과 형식들은 학생들의 흥미를 충분히 유발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객관식 위주 보다는 단답형 또는 서술형 주관식으로 학생들의 창의적 생각과 깊은 통찰력을 물을 수 있는 문항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한계는 여러 가지로 살펴 볼 수 있다. 첫째, 케이스 연구이므로 이것을 일반화 하기는 무리가 있다. 둘째, 공학입문 교과목을 중심으로 교수들 간의 상호작용과 이에 대한 효과를 깊이 있게 연구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학기 중 담당교수들 간의 정보공유와 그에 따른 실행 경험에 대한 연구와 효과를 다루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는 공학입문 교과목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어려움들을 묘사하는데 그쳤다. 각 이슈들에 대한 묘사를 바탕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이슈들을 대표적으로 살펴보면, 외국인 학생들에 대한 학교 적응이나 삶, 학생의 흥미유발 방법에 대한 실행경험, 과정중심 교육과 결과중심 교육의 실행경험, 팀 발표의 효과적인 운영 경험 등을 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