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A therapy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3초

Possibility of Inclusive Adaptation of The ABA Intervention at School

  • Saigh, Budor H.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4호
    • /
    • pp.83-88
    • /
    • 2022
  • Applied Behaviour Analysis (ABA) is the applied science where strategies are derived from the principles of behaviour and are applied to improve meaningful social behaviours [3].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ssible inclusive value of the use ABA in schools in Saudi Arabia.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wo ABA therapists and a support teacher in order to address this possibility. From the research findings, it emerged how ABA is one of the cognitive-behavioural intervention models and therefore, can be generalised to other disorders or diagnoses and the applied behavioural analysis does have an inclusive value as it structures individualized activities for the increase of both personal and social skills and these activities allow the subject to work on his or her skills, which are, however, absolutely preparatory to the inclusion of the subject in the classroom context.

환경 강화 치료(Environmental Enrichment Therapy) 프로그램이 발달지연 아동의 과제 수행 및 감각처리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Environmental Enrichment Therapy Program for Developmental Delayed Children on Task Performance, Sensory Processing)

  • 조은지;박경영;최정실;신수정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12
    • /
    • 2021
  • 목적 : 환경 강화 치료 프로그램이 발달지연 아동의 과제수행 및 감각처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발달지연 소견을 보이는 아동 2명을 대상으로 단일대상연구 ABA 설계로, 진행하였으며, 중재는 주 7회씩 4주간 시행되었다. 두 아동 모두 중재 후 과제 수행도와 감각처리 변화를 확인하였다. 결과 : 중재 후 과제 수행도는 기초선 기간에 비해 평균 200%에서 최대 354%까지 향상되었으며, 감각처리영역에서도 촉각처리, 감정반응, 활동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시각입력 조절영역의 점수가 정상범주로 향상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환경 강화 치료 프로그램이 발달지연 아동의 과제 수행 및 감각처리에 효과적이라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가정에서도 시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그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단일체계설계를 활용한 알코올남용 인센티브치료 효과성 연구 (Effectiveness of Incentive-Therapy to Alcohol Abuser Using Single System Design)

  • 장수미;심정원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4호
    • /
    • pp.291-312
    • /
    • 2006
  • 본 연구는 행동심리학의 견고한 이론적 기반을 가지고 북미에서 약물남용자에게 효과성이 실증적으로 입증된 접근방법인 인센티브치료를 국내 지역사회기관에서 두 명의 알코올남용클라이언트에게 실시하고 그 효과성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 탐색적 조사이다. 이를 위해 ABA단일체계설계를 활용하여 총 12주간의 기초선 단계, 인센티브치료 개입단계, 개입철회단계동안 표적행동으로 클라이언트의 음주여부를 음주측정기로 측정하였다. 시행결과 음주사용의 감소가 인센티브치료 개입단계 중반 무렵부터 발생하였다. 개입철회단계에서는 한 사례의 경우 다시 음주가 시작된 반면, 또 한 사례에서는 단주가 유지되어 일관된 결과를 발견할 수 없었다. 하지만 인센티브치료는 알코올남용자의 단주에 대한 동기를 유발시켜 지속적인 심리사회적 상담 및 사회복지개입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지역사회에서 실행가능성이 높은 방법임이 제시되었다.

  • PDF

Effects of Vojta Therapy on the Forced Vital Capacity and Forced Expiratory Volume at One Second in Young Male Smokers: A Single-Subject Design

  • Kim, Jin Seon;Kim, Da Young;Kim, Hee Sun;Park, Si Won;Lee, Yun Jeong;Lim, Hyoung Won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31권5호
    • /
    • pp.261-265
    • /
    • 2019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Vojta therapy on the respiratory function in young male smokers. Methods: Three subjects were tested using the ABA design for 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baseline, intervention, and follow-up phase. Intervention was conducted three to four times a week for 20 minutes per times and a total of 25 sessions. The respiratory function was measured using a Spirometer. Results: The results of Forced Vital Capacity and Forced Expiratory Volume at one second for all subjects showed improvements in the intervention phase over the baseline phase. In the follow-up phase, the improved ability was still maintained or slightly reduced. Conclusion: Vojta therapy used on young male smokers was effective in both FVC and FEV1. In other words, the Vojta therapy worked effectively in improving the respiratory function.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have a control group and increase the number of trials in order to generalize the effect of Vojta therapy.

Clinical Feasibility of Mental Practice for Gait Ability Improvement of Parkinson Disease Patients: ABA Single Subject Design

  • Song, Hyun Seung;Kim, Jin Young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6권6호
    • /
    • pp.398-402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verify actual applicability of mental practice in the clinical field by applying it to Parkinson disease patients. Methods: : The number of subjects was three and they were aged between 65 and 69. One year or longer period has passed since they were diagnosed with Parkinson disease. The baseline A consisted of three sessions. After the baseline period, the researcher applied mental practice to the subjects once per day, for 20 minutes per each time, for 10 sessions. The no-intervention withdrawal phase was composed of three sessions. Outcome measures 10 meter walking test(10MWT), timed up and go (TUG) test, 8-figure walk test (8FWT). Results: All results indicated that 10 MWT, TUG, F8WT was improved when compared mental practice(B) to pre base line(A). base line(A) after mental practice intervention(B) was also sustained. Conclusion: As a result of the mental practice, we can know that it helps straight gait, dynamic balance, curved gait to improve.

체성실행장애 아동을 위한 개별치료와 그룹치료를 병행한 감각통합치료가 감각통합능력 및 작업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개별 실험 연구 (The Effects of the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Focused on Combined Both Individual Therapy and Group Therapy for Sensory Integration Ability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Abilities in Children With Somatodyspraxia: Case Study)

  • 조혜진;봉영순;이지영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3-26
    • /
    • 2013
  • 목적 : 본 연구는 실행장애 아동에게 맞게 고안된 개별치료와 또래와 함께 실시한 그룹치료를 병행한 감각통합치료가 작업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2012년 만 5세 11개월의 남아로 작업수행을 의존하여 감각통합치료에 의뢰되었다. 연구설계는 개별실험연구(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중 ABA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 과정은 기초선 기간 4회기, 중재 기간 24회기로 총 12주간 각 주1회씩 개별치료와 그룹치료를 병행하여 감각통합치료를 실시하였다. 실험기간동안 목표성취척도(Goal Attainment Scale: GAS)를 통하여 체성감각변별능력과 자세조절능력에 따른 감각통합능력의 변화되는 과정을 측정하였고 기초선평가와 재평가를 통해 작업수행능력을 측정하였다. 결과 : 개별치료와 그룹치료를 병행한 감각통합치료는 체성실행장애 아동의 체성감각변별능력과 자세조절능력의 향상과 함께 작업수행기술의 성취에 효과가 있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개별치료와 그룹치료를 병행한 감각통합치료는 체성실행장애 아동의 적응반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뇌성마비 아동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에 대한 체계적 고찰: 국내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A Systematic Review of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Focus on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 신채은;최유임
    • 재활치료과학
    • /
    • 제12권2호
    • /
    • pp.25-42
    • /
    • 2023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작업치료 중재를 시행한 국내 단일대상연구들의 연구 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방법론적 질적 수준을 확인하여 근거 기반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22년 5월 20일부터 29일까지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NDSL),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E-article에 게재된 문헌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색어는'뇌성마비' AND '단일대상연구' OR '개별대상연구'였다. 11편의 논문을 최종 선택하여 일반적 특성과 방법론적 질적 수준을 분석하였다. 결과 : 11편의 분석 논문에서 방법론적 질적 수준은 중간 수준인 연구가 가장 많았다. 대상자는 학령전기 아동과 경직성 편마비 아동이 가장 많았고, 실험설계는 단일대상연구 설계에서 중재 제거 설계가 가장 많았으며 그 중에서 ABA 설계가 가장 많았다. 중재의 종류는 보조기기, 강제유도치료, 신경발달치료 접근, 감각통합치료가 각각 2편이었고, 상지운동훈련, 상호작용 메트로놈, 인지 기반 작업수행이 각각 1편이었다. 측정 도구는 최소 2개에서 최대 4개를 사용하여 종속변인을 측정하였고, 자세조절능력, 보행 및 균형, 손기능, 상지기능 등에서 긍정적인 효과 및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작업치료 중재를 적용한 뇌성마비 대상자의 특성과 중재 회기 및 시간, 중재효과, 측정도구와 방법론적 질적 수준을 제시함으로써 뇌성마비를 대상으로 작업치료 중재를 적용할 때 도움이 될 것으로 확인된다.

동작관찰 훈련이 뇌종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상지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단일사례연구 (The Effects of Home-Based Action Observation Training on Upper Extremity Function in Tumor-Induced Hemiparetic Patient : Single Case Study)

  • 정준식;박혜연
    • 재활치료과학
    • /
    • 제5권1호
    • /
    • pp.55-65
    • /
    • 2016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기반 동작관찰 훈련이 뇌종양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단일사례연구 방법 중 ABA 디자인을 사용하였다. 기초선(A) 기간에 중재 없이 4회 평가를 실시하였고, 중재선(B) 기간에 총 25회의 훈련과 10회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중재 후 회귀기초선(A') 기간에 중재 없이 4회 재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 9-홀 페그 테스트,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 뇌졸중 상지 기능검사에서 뇌종양 환자의 상지기능이 기초선과 회귀기초선(A와 A')보다 중재기(B)에 개선되었다.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의 신체적 영역, 심리적 영역, 생활환경 영역에서 점수 향상이 있었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로 동작관찰 훈련이 뇌종양 환자에게 적용 가능한 중재 기법이고 상지 기능과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IM) 훈련이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 단일대상연구 (The Effect of Interactive Metronome Training on Attention to Autism Spectrum Disorder Children: Single Case Study)

  • 조선영;주유미
    • 재활치료과학
    • /
    • 제7권4호
    • /
    • pp.57-66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이하 IM)훈련이 자폐 스펙트럼 아동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주의집중력에 어려움이 있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 1명을 대상으로 ABA' 설계를 통한 단일대상연구이다. 회기 별 구성은 기초선(A) 3회기, 중재기(B) 14회기, 기초선 2(A') 3회로로 총 20회기 실시하였다. 중재기(B)동안에는 IM 훈련을 하였으며, 기초선(A), 중재기(B), 기초선 2(A') 기간 모두 종속변인으로 부주의 행동과 주의집중 행동을 측정하였다. 결과 : 기초선과 비교하여 IM 훈련 중재기에 대상자의 부주의 행동은 감소하였고, 주의 집중 행동은 증가하였다. 기초선 2 기간에도 중재 효과는 유지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IM 훈련이 주의력 결핍 증상이 있는 자폐 스펙트럼 아동의 주의집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의 중재로써 IM 훈련의 임상적 근거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보이타 치료가 경직형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의 대동작 운동기능 및 선택적인 수의적 운동조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ojta therapy on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and Selective Voluntary Motor Control in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 임형원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13-221
    • /
    • 2012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ojta therapy on Gross Motor Function Measurement(GMFM) and Selective Voluntary Motor Control (SVMC) in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Methods : During this experiment, the subject of four children diagnosed with spastic diplegia was tested using ABA design for 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The procedure consisted of baseline, intervention and follow-up phase which was held thirty minutes each for three times a week for a total of 24 times. Gross motor function was measured using GMFM and selective voluntary motor control was measured using SCALE. Results : According to this study, the gross motor function and selective voluntary motor control of all subjects were improved from their intervention phase to their baseline phase. During the follow phase which the intervention was removed, the ability that was enhanced during the prior phases was still either maintained or only reduced slightly. Conclusion : The Vojta therapy used on children diagnosed with spastic diplegia was effective on both GMFM and SVMC. In other words, the therapy was effective on coordination. However, this study is difficult to be generalized due to the insufficient number of subject. In further studies, it will be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trials with a control group in order to generalize the effectiveness of Vojta thera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