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375-S2

검색결과 385건 처리시간 0.027초

용매추출법에 의한 주목의 잎, 줄기, 과실 추출물의 항 노화 효과 (Anti-aging Effects of the Extracts from Leaf. Stem, Fruit and Seed of Yew (Taxus cuspidata Sieb) by Solvent Extraction Method)

  • Kim, In-Young;Jung, Sung-Won;Ryoo, Hee-Chang;Zhoh, Choon-Koo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11-219
    • /
    • 2004
  • 주목은 국내의 경기도 일대에서 약용, 식용, 관상수로써 재배한 것을 선정하였다. 주목의 250g의 잎과 300g의 줄기추출물은 부틸렌글리콜(BG), 프로필렌글리콜(PG)과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결과, 주목의 잎 주출물의 성상은 연한 갈색의 맑은 액으로, pH는 5.3$\pm$0.5, 비중은 1.012$\pm$0.05, 굴절율은 1.375$\pm$0.05이었다. 또한, 줄기 추출물의 성상은 연한 갈색의 맑은 액이었으며, pH는 5.4$\pm$0.5, 비중은 1.016$\pm$0.05, 굴절율 1.358$\pm$0.05이었다. 주목의 씨앗으로부터 오일을 분리하였고, 과육으로부터 폴리사카라이드를 고정제 추출하였다. 주목의 씨앗으로부터 얻어진 오일의 비중은 0.987, 40$\pm$5%의 수율을 얻을 수 있었다 주목추출물의 총 폴리페놀량은 잎에서는 0.563%, 줄기에서는 0.325%가 검출된 반면, 총 탄닌량은 잎과 줄기에서 각각 0.054%와 0.037%를 함유하였다. 화장품에서의 효능으로써 DPPH 방법에 의한 항 산화효과는 잎에서는 75.0%, 줄기에서는 64.0%였다. 파이브로블레스트에 의한 콜라겐 합성율은 줄기추출물은 54.16%, 잎 추출물은 33.18%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보였다. 또한, PPE-inhibiton의 활성은 잎과 줄기에서 각각 13.7%와 23.5%였다. 주목씨앗 오일의 항 염증 효과는 대조군보다 41%의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과육으로부터 얻어진 polysaccharide의 분자량은 5${\times}$$10^4$-3${\times}$$10^{5}$ dalton이었으며, 20.0$\pm$5%의 수율을 얻었다.

이동형 감마프로브 개발과 기본성능 평가 (Development of Portable Gamma Probe and Its Basic Performance Test)

  • 김희중;곽철은;최용;양묘근;봉정균;이상철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16-219
    • /
    • 1997
  • We are developing a portable multipurpose gamma counting and imaging probe that will be useful for many applications in nuclear medicine including radioimmunoguided surgery in the detection and treatment of malignant tumors. Any diagnostic information provided by CT, MRI, PET, SPECT or gamma camera imaging prior to surgery obviously is very important, but current techniques are limited in many instances. To overcome some of these limitations, the portable multipurpose gamma probe is being developed. The gamma probe consists of NaI(Tl) crystal with 1" dia $\times$ 0.5" thick and singlechannel photomultiplier tube (SC-PMT) for counting, and 3" dia $\times$ 0.375" and multichannel photomultiplier tube (MC-PMT) for imaging, nuclear instrument module (NIM), position circuits, interface, and PC. The energy resolution using Tc-99m was measured as 14% and the spatial resolution using 3mm dia green LED was measured as 2.9mm. These priliminary results indicate that the currently developing probe is very promising and could be very useful for many applications in nuclear medicine.

  • PDF

Isotherm, kinetic and thermodynamic studies of dye removal from wastewater solution using leach waste materials

  • DEN, Muhammed Kamil O;ONGAR, Sezen KUC UKC
    •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 /
    • 제8권1호
    • /
    • pp.23-38
    • /
    • 2019
  • In this study, Malachite Green (MG) dye removal from synthetic wastewaters by adsorption process using raw boron enrichment waste (BEW) and it's modifications (with acid and ultrasound) were aimed. 81% MG removal was obtained by BEW at optimum equilibrium conditions (time: 40 min., dosage: 500 mg/dm3, pH: 5-6, speed: 200 rpm, 298 K). MG removal from wastewaters using acid modified boron enrichment waste (HBEW) was determined as 82% at optimum conditions (time: 20 min., dosage: 200 mg/dm3, pH: 10, speed: 200 rpm, 298 K). For ultrasound modified BEW (UBEW), the highest MG removal percent was achieved as 84% at optimum conditions (time: 30 min, dosage: 375 mg/ dm3, pH: 8, speed: 200 rpm, 298 K). The equilibrium data of Malachite Green was evaluated for BEW, HBEW and UBEW adsorbents by using sorption isotherms such as Langmuir, Freundlich and Temkin models, out of which Langmuir model (R2 = 0.971, 0.987 and 0.984) gave better correlation and maximum adsorption capacity was found to be 147.05, 434.78 and 192.30 mg/g, respectively. The adsorption kinetics followed the pseudo-second-order kinetic equation for sorption of MG onto wastes. A look at thermodynamic data reveals that natural sorption is spontaneous and endothermic because of free negative energy exchange and positive change in enthalpy, respective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ron enrichment waste, and HCl and ultrasound-modified boron enrichment waste served as good alternative adsorbents in dye removal from wastewater.

Rhodotorula glutinis K-24에 의해 구성적으로 생산되는 세포외 Invertase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External Invertase Constitutively Produced by Rhodotorula glutinis K-24)

  • 최미정;김철;이상옥;이태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68-375
    • /
    • 1990
  • 세포내 및 세포벽 뿐만 아니라, 세포외에도 invertase를 구성적으로 생산하는 효모 Rh.glutinis K-24로 부터 세포외 invertase를 disc 전기 영동상으로 단일한 상태로까지 정제하였다. 정제 효소의 효소화학적 성질을 밝힌 후 이미 보고한 바 있는 세포내 및 세포벽 invertase와 그 개락적 성질을 비교 검토하였다.

  • PDF

아동의 컴퓨터 게임 중독과 신체 증상: 불안의 매개효과 (Computer Game Addiction and Physical Health of Korea Children : Mediating Effects of Anxiety)

  • 권선중;김교헌;이홍석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6권2호
    • /
    • pp.33-50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아동들의 컴퓨터 게임 중독이 신체증상(두통, 불면증, 소화기 증상, 심혈관계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으로, 컴퓨터 게임 중독의 직접효과와 부적 정서(불안) 유발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를 함께 고려하였다. 연구를 위해 대전광역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8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그 중 장기간(2년 이상) 컴퓨터 게임을 해 온 572명[남성 408명(71.3%), 여성 164명(28.7%)]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척도의 신뢰도는 $.64{\sim}.91$로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고, 변인들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모형의 부합도 지수를 살펴본 결과, 모든 모형의 부합도(311 GFI >.931, all CFI >.939, all NNFI >.929, all RMSEA <.046)가 적합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 게임 중독이 각 신체증상에 미친 직접효과(두통 ${\beta}$=.211, 불면증 ${\beta}$=.289, 소화기 ${\beta}$=.214, 심혈관계 ${\beta}$=.349)가 모두 유의(all ps <.001) 했고, 불안에 미친 효과(${\beta}$=.458, p<.001) 역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이 신체증상에 미친 효과(두통 ${\beta}$=.419, 불면증 ${\beta}$=.375, 소화기 ${\beta}$=.498, 심혈관계 ${\beta}$=.328) 또한 모두 유의(all ps <.001) 하였는데, 불안을 매개로 한 게임 중독의 간접효과를 산출한 결과, 두통 ${\beta}$=.192, 불면증 ${\beta}$=.172, 소화기 ${\beta}$=.228, 심혈관계 ${\beta}$=.151로 나타났다. 게임 중독은 불안의 21%를 설명하였고, 본 매개모형은 두통의 30%, 불면증의 32%, 소화기 증상의 39%, 심혈관계 증상의 34%를 각각 설명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컴퓨터 게임 중독은 직 간접적으로 아동의 신체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심혈관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나머지는 불면증, 소화기 증상, 두통 순이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의 시사점들을, 장래 연구와 실용적 측면을 고려하여 논의하였다.

  • PDF

수면 자세가 운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sleep position and of body weight on motor development)

  • 박경연;강지웅;장영택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4호
    • /
    • pp.375-380
    • /
    • 2006
  • 목 적 : 엎어 재우기, 똑바로 누워 재우기, 옆으로 재우기 등 수면 자세에 따라서 조대운동발달과 미세운동발달이 차이가 나는지 살펴보기 위해서 연구를 시작하였다. 방 법 : 2003월 12월부터 2005년 9월까지 1년 9개월 동안, 전주예수병원 소아과를 방문하는 3개월부터 16개월 사이의 소아 800명을 대상으로 운동발달검사, 수면 자세, 몸무게를 조사하여 연구하였다. 결 과 : 똑바로 누워 재우기가 79.3%, 엎어 재우기가 10.0%, 옆으로 재우기가 10.7%로, 똑바로 누워 재우기가 가장 많았다. 남아와 여아의 조대운동발달 지수는 각각 $109.5{\pm}16.3$, $108.1{\pm}17.3$이었으며, 미세운동발달 지수는 각각 $102.3{\pm}17.1$, $100.7{\pm}16.9$로 성별에 따른 발달의 차이는 없었다. 똑바로 누워 재우기, 엎어 재우기, 옆으로 재우기에 따른 조대운동발달 지수는 5개월에 $98.2{\pm}16.8$, $126.2{\pm}10.9$, $117.2{\pm}6.6$, 6개월에 $101.2{\pm}13.0$, $115.2{\pm}18.0$, $95.7{\pm}20.2$로 각각 엎어 재우기에서 의의 있게 높았다. 7개월에서 16개월까지는 차이가 없었다. 똑바로 누워 재우기, 엎어 재우기, 옆으로 재우기에 따른 미세운동발달 지수는 차이가 없었다. 연령별 평균 미만의 몸무게 군과 연령별 평균 이상의 몸무게 군에서, 조대운동발달 지수는 각각 $106.3{\pm}16.3$, $109.9{\pm}16.8$이고, 미세운동발달 지수는 각각 $99.4{\pm}16.2$, $102.5{\pm}17.2$로 연령별 평균 이상의 몸무게 군에서 조대운동발달 지수와 운동발달 지수가 의의 있게 높았다. 결 론 : 엎어 재웠을 경우 5개월과 6개월에서 조대운동발달 지수가 높았으나, 7개월부터는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운동발달을 빠르게 하기 위해서 엎어 재우는 것은 의미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Behavioral analysis of rock bream Oplegnathus fasciatus reveals a strong attraction potential for sea urchin extracts

  • Duminda, S.K. Tilan Chamara;Kim, Yeo-Reum;Kim, Jong-Myou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4권1호
    • /
    • pp.32-40
    • /
    • 2021
  • Monitoring fish movemen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ow physiology adapts to environmental change.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a video tracking system for determining if chemical cues attract or repel aquatic animals, the movement patterns of rock bream, Oplegnathus fasciatus, were analyzed upon exposure to various materials, including extracts of sea urchin, rock worm, bait worm, krill, barley kernel, and commercial fish feed. Pellets were prepared by mixing freeze-dried tissues with a cellulose and corn flour mixture. Behavioral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five fish that had been acclimated in the adaptation zone of a Y-shaped tank. Preference toward chemical cues was quantified by assessing the frequency rock bream were observed in a discrete zone around the test material located at the end of each arm and the duration each fish stayed in each zone. The analysis of fish movement upon exposure to commercial feed and barley kernel at each end, respectively, indicated a clear preference toward the feed relative to the barley kernel. Movement responses were further tested with pellets containing extracts of sea urchin, one of the species collected on a large scale, and other materials including krill and worms. A stronger preference toward sea urchin (100%) was observed based on the duration of stay in the test zone, compared to krill (90.1 ± 44.2%), bait worm (81.1 ± 39.1%), rock worm (73.7 ± 28.9%), and barley (63.9 ± 25.9%), under the conditions tested. A detailed comparison of rock bream movements toward each material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frequency and duration, respectively, between pairs of test materials including krill (74 ± 29.8 and 375.6 ± 118.9) vs. rock worm (41.5 ± 18.7 and 160.2 ± 42.6), krill (86.3 ± 22.9 and 477.1 ± 84) vs. bait worm (36.2 ± 5.5 and 166.1 ± 50.7), and rock worm (45.9 ± 26.2 and 213.7 ± 100.1) vs. bait worm (34.6 ± 21.7 and 159.5 ± 98.5). Rock bream exhibited preference for the test materials in the following order: commercial fish feed > sea urchin > krill > rock worm > bait worm > barley. The results suggest a higher potency of sea urchin extract as a rock bream fishing bait compared to the other materials that are used as commercial bait.

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이 알러지 관련 SNP 탐색고 분석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Allergy-related SNPs for Allergy Affected Students in a high school.)

  • 김경원;이호경;김현근;김수영;안정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847-854
    • /
    • 2004
  • 알러지는 복합적인 유전적,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병하는 질환이다. 선진국에서 알러지 질환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알러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유전적인 원인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알러지에는 천식, 아토피, 비염을 포함한 알러지에 관련된 유전자와 염색체 부위가 밝혀지고 있다. 하지만 이들에 대한 평가 및 확인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는 상황이다. 본 연구팀은 알러지를 일으키는 유전적인 요인을 찾고자 하였다. 과학영재학교 13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 중 약 30%가 천식, 아토피, 비염과 같은 알러지 질환을 앓고 있었다. 본 연구팀은 지금까지 보고된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알러지에 관련된 유전자를 찾았으며 그중 알러지를 일으키는데 관여하는 IL-4와 IL-4Ra를 후보 유전자로 선정하였다. 지금까지 발표된 보고들은 SNP의 발견과 그리고 하나 혹은 두개의 SNP에 초점을 맞추어 발표한 반면, 본 연구팀은 알러지와 관련하여 발표된 IL-4와 IL-4Ra의 SNP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과학영재학교 학생들 96명을 머리카락 샘플을 확보하고 이 것으로 9개 의 SNP를 선정 하여 염기서열 분석 및 MALDI-TOF을 이용한 유전자 분석을 진행하였다. 각각의 SNP에 대해 알러지를 가지고 있는 그룹과 정상 그룹간의 약간의 차이들은 있었지만 이것이 알러지를 가지고 있는 사람과 정상인과의 구분을 시켜줄 수 있을 정도는 아니었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한국에서 널리 행하여지고 있는 유전자 검사에 대한 재고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소장 질환별 방사선학적 검사의 적용에 관한 연구 - 소장조영술과 복부골반전산화단층촬영의 결과 분석을 중심으로 - (Application of Radiological Study by Small Bowel Disease - Comparison of Diagnostic Results of Small Bowel Series and Abdominal Pelvic Computed Tomography -)

  • 이희정;손순룡;이원홍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8권4호
    • /
    • pp.279-286
    • /
    • 2005
  • 목 적 : 소장조영술과 복부골반 CT검사의 진단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방사선학적 영상의 특징 파악 및 질환에 따른 적절한 방사선학적 검사법을 선택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9년부터 2000년까지 소장조영술과 복부골반 CT검사를 병행하여 시행한 환자 284명을 대상으로 하여, 각각의 진단 소견을 병명별로 분류하였다. 소장조영술은 250 ml 황산바륨 현탁액(W/V 40W/V%, Methylcellulose+$BaSo_4$)을 경구로 복용시키고, Rt. recumbent position을 취하게 한 후 약 10분 후에 Carboxymethylcellulose solution(0.5%) 600 ml 복용시켰다. 20분, 40분, 1시간 정규촬영을 하고, 조영제가 회맹판(I-C valve)을 통과하면 투시 하에 저격촬영을 시행하였다. 복부골반전산화단층촬영은 검사 1시간 전에 $BaSO_4$+Methylcellulose 1.5 W/V% 450 ml를 복용시키고 검사직전 450 ml 추가로 복용시켰다. 요오드 성분의 비이온성 조영제 2.5 ml flow/sec로 주입하고, 조영제 주입 후 72초 지연 촬영을 하였다. 촬영은 간 상연에서부터 치골결합 부위까지 continuous scan을 시행하였으며, 검사 protocol은 Helical thick 5 mm, picth 1.375 : 1, speed 27.50, increment 5 mm, 120 kV, 245 mA로 하였다. 결 과 : 소장조영술에서는 정상(Normal)이 131예(46.1%), 감염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 이하 IBS)이 65예(22.9%), ischemia+ileocolitis+vasculitis 22예(7.7%), obstruction+stricture 21예(7.4%)의 순으로 나타났고, 복부골반 CT검사에서는 정상이 103예(36.3%) IBS가 65예(22.9%), wall thickening+lymphadenopathy가 42예(14.8%), fluid collection이 17예(6%)의 순으로 나타났다. 소장조영술과 복부골반 CT검사에서 동일하지 않은 결과로 진단된 경우는 소장조영술에서 정상으로 진단된 132명(46.1%) 중 14예(10.6%), 복부골반 CT검사 결과에서는 wall thickening+lymphadenopathy와 IBS로 진단되어 차이를 보였으며, 복부골반 CT검사 결과 정상으로 진단된 103예(36.3%) 중 5예(5.8%)가 소장조영술에서 ischemia+ileocolitis+vasculitis로 진단되었다. 정상으로 진단 된 235예 중 37예(15.9%)가 서로 다른 결과로 진단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결 론 : 본 연구에서 특정질환에 특정검사의 진단결과가 우수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므로 방사선학적 검사의 진단적 민감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처방 및 검사에 있어서 질환에 따른 적절한 검사법의 선택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리라 사료된다.

  • PDF

조류펜스의 조류 저감 효과에 대한 실험적인 평가 (The Application of an Algal Fence for the Reduction of Algal Intake into the Water Intake Facility)

  • 장민호;박성배;정종문;노재순;정광석;주기재
    • 생태와환경
    • /
    • 제36권4호통권105호
    • /
    • pp.467-47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상수원수 취수장의 취수구로 유입되는 조류 군체의 양을 물리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조류 펜스를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 및 평가하였다(2001년 6-9월). 펜스를 설치한 후 펜스 안팎의 식물플랑크톤 생체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분산 분석의 결과 설치 1일 후의 chl. a는 모든 수심 (0, 1,2 m)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모든 수심에서 0.001 > p ,각 수심별 r= 16), 특히 표층과 수심 1m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조류 저감 효과는 설치 후 3-5일이 지나면서 감소하였다. 조류 펜스의 물리적 유입 저감 효과의 지속성 유지를 위해서는 효과적인 설치 및 유지관리 방안(예, 기계적인 설치 및 주기적인 역세척 등)이 모색되어야 하며, 생태 모형을 이용하여 대번성 시기 예측이 가능할 경우 훨씬 효과적으로 조류의 유입 차단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