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 oryzae

검색결과 724건 처리시간 0.025초

다양한 유기질비료 수준에서 Methylobacterium oryzae CBMB20의 처리에 따른 고추의 생육 평가 (Effect of Inoculation of Methylobacterium oryzae on the Growth of Red Pepper at Different Organic Fertilizer Levels)

  • ;이길승;이민경;임우종;이경자;김영상;정종배;사동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506-513
    • /
    • 2010
  • 다양한 유기질비료 수준에서 Methylobacterium oryzae CBMB20의 처리가 고추의 생육촉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유기질비료 권장시비수준의 70, 85, 100, 120% 시용구에서 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고추의 신장, 건물중 및 수량에서 유의성 있는 증가를 확인하였다. M. oryzae CBMB20의 접종 처리에서 고추의 생장이 증가하였으며, 고추의 수량 또한 각 유기질 비료 수준별로 10~35% 증가하였다. 수확기에 조사한 근권토양의 메탄올자화세균의 밀도는 M. oryzae CBMB20 처리구에서 2.51~2.63 log CFU $g^{-1}$ soil 이었으며, 미처리구에서는 1.0 log CFU $g^{-1}$ soil 이하로 나타났다. 따라서 접종한 M. oryzae CBMB20은 고추 작물 근권토양에 효과적으로 군집하였으며, 식물생장촉진 호르몬의 분비 등의 작용을 통한 작물생장촉진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판단된다. M. oryzae CBMB20을 접종하지 않은 경우에는 고추의 최대 생장과 수량이 유기질 비료 권장시비 수준 120%에서 나타났으나, M. oryzae CBMB20을 접종한 경우에는 최대 생장과 수량이 권장시비 수준에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식물생장촉진미생물의 접종을 통하여 비료 사용량의 절감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며, 식물생장 촉진 미생물 제제로서 M. oryzae CBMB20의 활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콩 코오지의 최적 제조조건 설정 (Establishment of optimal soybean Koji manufacturing conditions)

  • 김도윤;박극렬;장상원;홍성철;권동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79-385
    • /
    • 2013
  • 곰팡이 및 세균을 이용한 콩 코오지의 최적 제조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재래식 메주로부터 분리한 A. oryzae 6-M-1과 B. subtilis 3-B-1을 이용하여 콩 코오지를 제조하였다. 콩 코오지를 7일간 제조하면서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A. oryzae 6-M-1로 제조한 코오지의 경우 686.16 mg%(w/w), B. subtilis 3-B-1로 제조한 코오지는 643.46 mg%(w/w)를 생성하고 있었다. ${\alpha}$-Amylase activity는 제국 7일째에 A. oryzae 6-M-1로 제조한 코오지에서는 1472.54 unit/g이었고 B. subtilis 3-B-1로 제조한 코오지에서는 791.00 unit/g이었다. ${\beta}$-Amylase activity는 제국 7일째에 A. oryzae 6-M-1로 제조한 코오지에서는 598.98 unit/g이었고B. subtilis 3-B-1로 제조한 코오지에서는 503.26 unit/g이었다. 산성 protease activity는 제국 7일째에 A. oryzae 6-M-1로 제조한 코오지에서는 309.00 unit/g이었고 B. subtilis 3-B-1로 제조한 코오지에서는 135.88 unit/g이었다. 콩 코오지의 아미노태질소 및 효소 역가는 공장에서 생산되는 밀가루 코오지보다 높았으며 제국 기간은 4일이면 충분하였다. 콩 코오지로 만든 된장과 시판된장의 맛, 향, 색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5%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아 콩 코오지를 이용하여 된장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Varying Inocula Permutations (Aspergillus oryzae and Bacillus amyloliquefaciens) affect Enzyme Activities and Metabolite Levels in Koji

  • Gil, Hye Jeong;Lee, Sunmin;Singh, Digar;Lee, Choong Hw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12호
    • /
    • pp.1971-1981
    • /
    • 2018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ltered enzymatic activities and metabolite profiles of koji fermented using varying permutations of Aspergillus oryzae and/or Bacillus amyloliquefaciens. Notably, the protease and ${\beta}$-glucosidase activities were manifold increased in co-inoculated (CO) koji samples (co-inoculation of A. oryzae and B. amyloliquefaciens). Furthermore,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based metabolite profiling indicates that levels of amino acids, organic acids, sugars, sugar alcohols, fatty acids, nucleosides, and vitamins were distinctly higher in CO, SA (sequential inoculation of A. oryzae, followed by B. amyloliquefaciens), and SB (sequential inoculation of B. amyloliquefaciens, followed by A. oryzae). The multivariat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plot based on GC-MS datasets indicated a clustered pattern for MA and MB (koji samples inoculated either with A. oryzae or B. amyloliquefaciens) across PC2 (20.0%). In contrast, the CO, SA, and SB metabolite profiles displayed segregated patterns across PLS1 (22.2%) and PLS2 (21.1%) in the partial least-square discriminant analysis (PLS-DA) model. Intriguingly, the observed disparity in the levels of primary metabolites was engendered largely by higher relative levels of sugars and sugar alcohols in MA, SA, and CO koji samples, which was commensurate with the relative amylase activities in respective samples. Collectively, the present study emphasizes the utility of integrated biochemical and metabolomic approaches for achieving the optimal permutation of fermentative inocula for industrial koji preparation.

Simultaneous Detection of Three Bacterial Seed-Borne Diseases in Rice Using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 Kang, In Jeong;Kang, Mi-Hyung;Noh, Tae-Hwan;Shim, Hyeong Kwon;Shin, Dong Bum;Heu, Suggi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2권6호
    • /
    • pp.575-579
    • /
    • 2016
  • Burkholderia glumae (bacterial grain rot),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bacterial leaf blight), and Acidovorax avenae subsp. avenae (bacterial brown stripe) are major seedborne pathogens of rice. Based on the 16S and 23S rDNA sequences for A. avenae subsp. avenae and B. glumae, and transposase A gene sequence for X. oryzae pv. oryzae, three sets of primers had been designed to produce 402 bp for B. glumae, 490 bp for X. oryzae, and 290 bp for A. avenae subsp. avenae with the $63^{\circ}C$ as an optimum annealing temperature. Samples collected from naturally infected fields were detected with two bacteria, B. glumae and A. avenae subsp. avenae but X. oryzae pv. oryzae was not detected. This assay can be used to identify pathogens directly from infected seeds, and will be an effective tool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three pathogens in rice plants.

Biosynthesis of Silver Nanoparticles by Phytopathogen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Strain BXO8

  • Narayanan, Kannan Badri;Sakthivel, Nataraj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9호
    • /
    • pp.1287-1292
    • /
    • 2013
  • Extracellular biogenic synthesis of silver nanoparticles with various shapes using the rice bacterial blight bacterium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BXO8 is reported. The synthesized silver nanoparticles were characterized by UV-Vis spectroscopy, powder X-ray diffractometry (XR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ry, and high-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HR-TEM). Based on the evidence of HR-TEM, the synthesized particles were found to be spherical, with anisotropic structures such as triangles and rods, with an average size of 14.86 nm. The crystalline nature of silver nanoparticles was evident from the bright circular spots in the SAED pattern, clear lattice fringes in the high-resolution TEM images, and peaks in the XRD pattern. The FTIR spectrum showed that biomolecules containing amide and carboxylate groups are involved in the reduction and stabilization of the silver nanoparticles. Using such a biological method for the synthesis of silver nanoparticles is a simple, viable, cost-effective,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process, which can be used in antimicrobial therapy.

Bacillus속과 Aspergillus oryzae로 만든 메주가 개량식 된장의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ju Shapes and Strain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oybean Paste)

  • 서정숙;한은미;이택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9
    • /
    • 1986
  • Aspergillus oryzae, Bacillus subtilis 및 Bacillus natto를 접종하여 만든 메주와 재래식메주로 된장을 각각 담금한 후 숙성과정중의 성분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미노태 질소함량은 Aspergillus oryzae구와 재래식 메주구가 Bacillus subtilis구와 Bacillus natto구에 비하여 월등히 높았다. 총당, 환원당은 재래식 메주구가 다소 많았고 pH는 Aspergillus oryzae구가 경시적으로 pH 5.0이상을 나타냈으나 Bacillus subtilis구는 4.5미만으로 pH저하가 심하였다. 숙성 90일 된장의 유리아미노산 중 Asp. Thr. Ser. Glu. Gly. Ala. Cys. Val. Met. Leu. Lys. His.은 Aspergillus oryzae구의 된장에서 Tyr. Arg. Pro.은 재래식구의 뒨장에서, Ileu. Phe.의 함량은 Bacillus subtilits구의 된장에서 각각 높게 나타났으며 유리아미노산의 총량은 Aspergillus oryzae구가 타시험구보다 월등히 높았다.

  • PDF

메탄올 살포와 Methylobacterium oryzae CBMB20 접종이 고추의 생육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thylobacterium oryzae CBMB20 Inoculation and Methanol Spray on Growth of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at Different Fertilizer levels)

  • ;이길승;이민경;임우종;이경자;김영상;정종배;사동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514-521
    • /
    • 2010
  • 지속가능한 친환경농업을 위해서는 비료와 함께 식물생장촉진 미생물 또는 생장조절물질을 적절히 혼합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는 Methylobacterium oryzae CBMB20의 근권토양접종과 메탄올 엽면살포에 따른 고추의 생육촉진 효과를 유기질 비료의 시용 수준별로 조사하였다. M. oryzae CBMB20의 근권토양접종과 메탄올 엽면살포는 각기 고추생육을 증대시켰다. 또한 이들을 동시에 혼합 처리하였을 경우에는 고추의 생장촉진 효과가 더욱 현저하게 나타났다. M. oryzae CBMB20의 근권토양접종과 메탄올 엽면살포에 따른 고추 생장촉진 효과는 유기질 비료의 시용수준이 낮은 경우에 더욱 현저하게 나타났다. M. oryzae CBMB20와 메탄올을 혼합 처리한 경우 권장시비수준 100%와 300% 처리 사이에 고추생육과 수량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시비량이 지나치게 많을 경우 생장촉진제의 처리효과를 거둘 수 없으며, 적정한 시비 수준에서 M. oryzae CBMB20와 메탄올을 혼합 처리함으로써 고추를 비롯한 작물의 생장과 수량을 유지하면서도 시비량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된장 koji 및 그 혼합에 따른 된장 숙성 과정중의 화학성분 변화 (Chemical composition changes in fermented Doenjang depend on Doenjang koji and its mixture)

  • 주현규;김동현;오균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5호
    • /
    • pp.351-360
    • /
    • 1992
  • 개량식과 재래식 된장의 기호와 향기의 단점을 제거하구 장점을 보완 유지하기 위한 기초실험으로서 당화력이 우수한 Aspergillus oryzae koji, Rh. delemar koji 및 재래메주의 배합을 달리하여 된장을 담그고, 된장 koji의 효소활성변화, 된장 숙성과정 중의 화학성분 변화 및 향기성분 분석 그리고 관능검사 등을 실시하여 적정 배합비율과 숙성 정도를 검토하였다. ${\alpha},\;{\beta}-Amylase$ 활성도는 Asp. oryzae koji가 각각 312, $235\;{\mu}g/ml$이고 Rh. delemar koji는 각각 16, 38 mg/ml이었다. 총 질소는 숙성과정 중 처음과 거의 같은 양이 유지되었고, 아미노테 질소함량은 Asp. oryzae+Rh. delemar koji Doenjang(D구), Asp. oryzae koji Doenjang(A구) 그리고 Asp. oryzae koji+Rh. delemar koji Doenjang(C구) 시험구가 숙성 40일에 각각 460, 444, 426gm%로 가장 많았고 Rh. delemar koji의 단용된장은 196mg%로 적었다. 총당은 숙성과정중 모두 점차 감소하였고, 환원당 함량도 숙성 20일까지는 증가하였다가 숙성 30일부터는 감소하였으며, 알콜함량은 Rh. delemar koji 단용된장인 Rh. delemar koji Doenjang(G구) 시험구가 3.42%로 가장 높았다. 유기산 함량은 citrate, malate, lactate, succinate acetate가 검출되었으며, 그중 Rh. delemar koji 단용된장에서 acetic 함량(171.6mg/g)이 가장 높았다. 향기 성분은 8종의 물질이 분리되었으며, 그중 주성분은 tetramethylpyrazine, 4-pyran-4one-3hydroxy-2methyl, 1-octen-3-ol로 전체의 80% 이상을 점유하고 있었다. 숙성 40일된 된장의 맛, 향, 색에 대한 관능검사 성적은 Asp. oryzae+Rh. delemar koji Doenjang(A구)와 Asp. oryzae koji Doenjang(B구) 시험구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그중 Asp. orzae+Rh. delemar koji Doenjang(C구) 시험구가 양호하였다.

  • PDF

국균(麴菌)의 효소생산(酵素生産) 및 생육(生育)에 미치는 고춧가루의 영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ffects of Red Pepper Powder on the Enzyme Production and Growth of Aspergillus Oryzae)

  • 이택수;박윤중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9권4호
    • /
    • pp.227-232
    • /
    • 1976
  • 고춧가루가 국균(麴菌)의 각종(各種) 효소생산(酵素生産) 및 균체생육(菌體生育)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할 목적(目的)으로 Aspergillus oryzae A (단모균)와 Aspergillus oryzae G(장모균) 균주를 고춧가루를 첨가한 밀기울 배지 및 Czapek-Dox 액체배지에 배양하여 그 효소력(酵素力), 건조균체중량 pH. 적정산도 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밀기울 고체배지에 $0.05{\sim}30%$ 농도(濃度)의 고춧가루를 첨가한 구에서는 무염기질(無鹽基質)에서의 중성 및 알카리 protease의 활성이 대조구(밀기울 단독 배양구)에 비하여 높았으나 Aspergillus oryzae G의 경우는 고춧가루 첨가시 무염기질(無鹽基質)에서의 산성 protease의 생성이 오히려 저하 되었다. 2. $0.05{\sim}10%$의 고춧가루 첨가시는 내염(耐鹽)기질에서의 중성 및 알카리 protease의 활성이 대조구에 비하여 높았다. 3. 고춧가루 첨가(添加)는 amylase활성(活性)에 별(別)로 효과(效果)가 없었다. 4. Cellulase활성은 밀기울 단독구에 비하여 고춧가루 첨가구(添加區)에서 전반적(全般的)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5. Czapek-Dox액체배지상(液體培地上)에서 각균(各菌)의 건조균체중량(乾燥菌體重量)은 고춧가루 첨가농도(添加濃度)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단모균은 장모균에 비해 그 증가 현상이 현저하였다. 6. 고춧가루는 Czapek-Dox 첨가배지((添加培地)의 pH를 저하(低下)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7. 고춧가루 첨가농도(添加濃度)가 증가함에 따라 Czapek-Dox 액체배지의 적정산도는 증가현상을 나타내었으며 장모균에 비하여 단모균의 경우 적정산도의 증가현상이 현저했다.

  • PDF

First Report of Rhizopus oryzae as a Postharvest Pathogen of Apple in Korea

  • Kwon, Jin-Hyeuk;Kim, Jin-Woo;Kim, Won-Il
    • Mycobiology
    • /
    • 제39권2호
    • /
    • pp.140-142
    • /
    • 2011
  • Soft rot in apple caused by Rhizopus oryzae was foun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men is given along with its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DNA sequence. The fungus was identified as Rhizopus oryzae based on the mycological characteristics, molecular data, and pathogenicity tes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