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 mongholicus Bunge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36초

한국산 황기의 분류학적 위치 및 유전적 분화 (Taxonomic position and genetic differentiation of Korean Astragalus mongholicus Bunge)

  • 최인수;김소영;최병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2-2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제주황기(Astragalus nakaianus)의 분류학적 위치를 명확히 하고 한국산 재배황기(A. mongholicus cultivar)의 올바른 학명을 부여하기 위하여 외부형태형질과 ITS 그리고 5구간의 cp non-coding DNA의 염기서열을 조사하였다. 또한 9개의 마이크로새털라이트 마커를 이용하여 3집단 61개체에 대한 유전적 구조가 분석되었다. 그 결과, 남한산 재배황기와 A. mongholicus var. dahuricus 사이에서는 형태와 ITS 염기서열상에서 유의한 차이점이 없었다. 제주황기는 A. mongholicus var. mongholicus 그리고 var. dahuricus와 줄기의 습성, 식물체의 길이, 엽축의 길이, 소엽의 길이 등에서 형태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ITS와 cp non-coding 구간 염기서열에서 제주황기는 황기(A. mongholicus)와 차이점을 보이지 않았지만, 마이크로새털라이트 분석에서 제주황기와 남한산 재배황기간에 뚜렷하게 구분된 구조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보았을 때, 한국산 재배황기는 A. mongholicus var. dahuricus로 처리해야 하며 제주황기는 A. mongholicus의 변종으로서 취급되어야 한다.

황기류 식물 3종의 세포유전학적 분석 (Cytogenetic Analyses of Astragalus Species)

  • 김수영;최혜운;김찬수;성정숙;이중구;방재욱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50-254
    • /
    • 2006
  • 황기속 식물 3종 (황기, 제주황기, A. mongholicus)을 대상으로 핵형 분석과 45S와 5S rDNA를 이용한 bicolor-FISH를 수행하였다. 체세포 염색체 수는 모두 2n=2x=16으로 관찰되었고, 염색체의 평균 길이는 $2.19{\sim}5.73\;{\mu}m$이였다. 황기의 염색체는 4쌍의 중부염색체 (염색체 3, 5, 6, 7)와, 차중부 염색체 (염색체 1, 2, 4, 8)로 구분되었다. 제주황기는 2쌍의 중부 염색체 (염색체 4, 8)와 6쌍의 차중부 염색체 (염색체 1, 2, 3, 5, 6, 7)로 A. mongholicus는 2쌍의 중부 염색체 (염색체 7, 8)와 6쌍의 차중부 염색체 (염색체 1, 2, 3, 4, 5, 6)로 각각 구분되었다. bicolor-FISH 기법을 이용하여 45S와 5S rDNA의 염색체상의 위치를 확인한 결과, 황기와 A. mongholicus에서는 1쌍의 45S와 5S rDNA가 8번과 7번 염색체의 동원체 부위에서 각각 관찰되었다. 제주황기의 경우 1쌍의 45S rDNA는 8번 염색체의 동원체 부위와 2쌍의 5D rDNA는 7번과 8번 염색체에서 각각 관찰되어 세포유전학적 차이를 보였다.

황기와 몽고황기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Nitric Oxide 생성능 (Antioxidant Activity and Nitric Oxide Production of Ethanol Extracts from Astragali membranaceus Bunge and A. membranaceus Bunge var mongholicus Hisiao)

  • 이광재;박민희;박유화;임상현;김경희;김영국;안영섭;김희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2호
    • /
    • pp.1793-1796
    • /
    • 2011
  • 기원식물별, 재배연수별 황기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NO 생성능을 측정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몽고황기 2년근, 4년근 및 6년근이 각각 45.3 mg/g, 71.3 mg/g 및 78.0 mg/g으로 황기에 비해 더 많은 양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또한 총 폴리페놀 함량과 마찬가지로 몽고황기가 더 많은 양의 총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었다. 기원식물별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측정 결과, 황기에 비해 몽고황기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이 높았으며, 재배 연수별로는 몽고황기 4년근이 가장 활성이 높았고($IC_{50}$=3.54 mg/mL), 기원식물별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2년근을 제외한 4년근 및 6년근에서는 몽고황기의 $ABTS^+$ radical 소거활성이 높았다. 기원식물에 따른 NO 생성능은 재배기간이 동일한 경우 황기에 비해 몽고황기에서 NO 생성능이 더 높았다. 몽고황기는 모든 연근에서 무처리구에 비해 NO 생성량이 많았으며 특히, 6년근 에탄올 추출물의 NO 생성능이 2년근 및 4년근에 비해 높았으나, 황기는 재배연수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