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 elata

검색결과 207건 처리시간 0.023초

열처리와 한약재 추출물이 발아현미의 GABA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at Treatment and Selected Medicinal Plant Extracts on GABA Content after Germination)

  • 전건욱;이미영;윤재민;장성호;정미리;정헌상;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54-15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현미 발아 시 침지 및 발아 조건에 따른 GABA 함량의 변화를 분석하고 효과적으로 GABA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처리조건을 살펴보았다. 발아 현미의 GABA 함량 증가를 위해 침지 전 열처리를 실시하였으며, 한약재로 널리 쓰이는 오미자와 용안육, 구릿대, 천마를 침지수와 발아수로 이용하였을 때의 GABA 함량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45^{\circ}C$에서의 열처리군이 3977.3 nmol/g로 무처리군에 비해 약 1.4배 정도의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한약재를 침지 및 발아수로 이용한 결과 용안육은 3% 추출물을 발아수로 이용하였을 경우가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여주었으며, 오미자는 5% 추출물을 발아수로 이용한 경우가 대조군보다 2.1배로 가장 높은 GABA 함량을 나타내었다. 천마 추출물의 경우는 5% 추출물을 침지수와 발아수로 이용했을 경우 약 2.5배의 증가율을 보여 실험한 한약재 중 가장 높은 효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점차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발아현미 연구에 있어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쌀 소비촉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햇순나물비빔밥 개발 및 영양성 평가 (Development of Haetsun Bibimbab and Its Nutritional Estimation)

  • 김민하;장혜림;김남조;장세영;정용진;윤경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91-19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두릅, 엄나무순, 오가피순을 이용하여 고부가가치의 지역향토 음식, 햇순나물비빔밥을 개발하고 영양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햇순나물 이외 비빔밥의 부재료를 선정하기 위하여 503명을 대상으로 비빔밥 재료에 대해 기호도를 조사였으며, 관능검사를 통해 선정된 재료와 햇순나물의 비율, 그리고 햇순나물간의 비율을 결정하였다. 기호도 조사결과, 표고버섯, 콩나물, 애호박, 당근을 부재료로 선정하였으며, 햇순나물과 부재료의 비율은 1:1. 햇순나물간의 비율은 오가피순:두릅:엄나무순의 비율을 1:1:1로 결정하였다. 햇순나물비빔밥의 영양성을 평가한 결과, 총 중량은 404 g이며, 열량 463.7 kcal, 단백질 16.48 g, 지방 13.99 g, 탄수화물 75.93 g으로 나타났다. 조섬유와 무기질의 함량을 살펴보면, 조섬유 3.1 g, 칼슘 97.11 mg, 인 133.81 mg, 철 2.66 mg, 나트륨 1314.65 mg, 칼륨 444.79 mg으로 나타났다.

식용 식물자원으로부터 활성물질의 탐색 - XXV. 식용 식물 추출물의 면역증강 효과 (Deve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Edible Plant Sources - XXV. Immunostimulating Effect of Edible Plant Extracts)

  • 류하나;박미현;홍성길;이대영;한경민;유종수;김세영;노영덕;백남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708-714
    • /
    • 2007
  • 식품 소재의 국내산 약용식물인 163가지 천연물에서 메탄올로 추출한 시료를 이용하여 in vivo에서 10, 100, 500, $1000\;{\mu}g/mL$의 4가지 농도에서 대식세포 면역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42개의 시료에서 면역증진반응을 보였으며, 그 중 20개의 시료는 음성대조군에 대하여 20% 이상 면역 활성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중 2가지 농도에서 면역증진반응을 보이는 시료는 총 19개, 3가지 농도에서 면역증진효과를 나타내는 시료는 총 3개[골파(Allium schoenoprasmum), 두릅(Aralia elata),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였으며, 특히 마(Dioscorea batatas)는 각 농도에서 활성을 나타내었을 뿐 아니라 양성대조군과 비슷하거나 높은 활성을 나타내어 면역증진활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천마 추출물의 신경세포 보호 및 항산화 효과 (Neuroprotective and Anti-oxidant Effects of Gastrodiae Rhizoma Extracts against Hydrogen Peroxide-induced Cytotoxicity in SH-SY5Y Cells)

  • 권강범;김하림;김예슬;박은희;최한별;류도곤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209-212
    • /
    • 2022
  • We recently reported that Gastrodia elata extracts (GEE) had an effects to protect against lipopolysaccharide-induced cognitive impairment in vivo model.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neuroprotective effects and the mechanism of action of GEE in hydrogen peroxide (H2O2)-induced cell death of SH-SY5Y human neuroblastoma cell. The SH-SY5Y cell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including control(non-treated group), 100 μM H2O2, 100, 200, 500 ㎍/㎖ GEE+ 100 μM H2O2 groups. Pre- and co-treatment with GEE prevented cell death induced by 100 μM H2O2 for 24 h in SH-SY5Y cells. Our findings also showed that anti-oxidants enzymes (Cu/Zn superoxide dismutase, Mn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were up-regulated by 100 μM H2O2. But GEE suppressed H2O2-induced anti-oxidants enzymes decrease in a dose-dependent manner. Treatment with GEE also inhibited phosphorylation of eukaryotic initiation factor-2α (eIF-2α) and p38 by H2O2. Taken together, the neuroprotective effects of GEE in terms of recovery of antioxidant enzymes expression, down-regulation of eIF-2α and p38 phosphorylation, and inhibition of cell death are associated with reduced oxidative stress in SH-SY5Y cells.

천마 비가림시설을 활용한 단기재배기술 개발 (Development of Short-term Cultivation Technology Using the Rain Shelter Greenhouse of Gastrodia elata Blume)

  • 김창수;서상영;안민실;이은숙;송영은;최소라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2-82
    • /
    • 2022
  • 천마(天麻, Gastrodia elata Blume)는 난초과(蘭草科, Orchidaceae)에 속하는 식물로 잎과 뿌리가 없어 탄소동화능력이 없으며, 뽕나무버섯균과 공생하는 기생식물이다. 주요 함유된 성분은 gastrodin, 4-hydroxylbenzyl alcohol, vanillin, vanillyl alcohol, ergothioneine 등이 있고, 주로 진정(鎭靜), 진경(鎭痙), 통락(通絡)의 효능이 있으며, 두통, 반신불수, 언어장애, 현훈(眩暈), 고혈압 등에 사용되고 있다. 천마는 노지 재배에 따른 안정생산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혹한, 폭우 등 기상환경에 따른 연차간 수량성 차가 673~1,175kg/10a로 크고, 정식 후 원목·종균·자마의 공생관계 형성이 늦어져 자마 생존율이 70% 이하로 낮으며, 18개월 장기 재배 시 생육 환경이 불량해져 썩음병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비가림시설, 종균 선(先) 접종 배양목 및 20g 이상의 자마를 사용하여 재배기간을 18개월에서 12개월로 6개월을 단축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실험은 종균 선접종 배양목 생산을 위해 원목의 종균 접종 시기는 4월 하순, 6월 상순, 7월 중순으로 40일 간격으로 처리하였고, 이렇게 생산된 배양목을 활용하여 정식은 이듬해 4월 상순, 수확은 그 이듬해 3월 하순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종균 선접종 배양목을 활용한 천마의 정식 시기는 3월 상순, 4월 상순, 5월 상순으로 30일 간격으로 처리하였고, 수확 시기는 이듬해 2월 하순, 3월 하순, 4월 하순으로 설정하여 천마의 생육상황 및 생산성을 조사하였다. 원목의 종균 접종시기를 검정한 결과, 자마 생존율은 4월 하순과 6월 상순 처리가 무처리에 비해 15%가 높았고, 천마 수량은 무처리 대비 4월 하순과 6월 상순 처리구에서 각각 2.07배, 1.64배 높았다. 천마의 정식 시기를 검정한 결과, 천마의 유효적산온도는 2,400℃로 3월 상순 처리구는 2,446℃로 충족하였고, 4월 중순 처리구는 2,375℃로 거의 충족하였으나, 5월 상순 처리구는 2,178℃로 222℃가 부족하였다. 자마 생존율은 3월 상순 처리 시 95%로 가장 높았고, 정식 시기가 늦어질수록 자마 생존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수량성은 5월 상순 처리 대비 3월 상순이 3.56배, 4월 상순이 3.43배 높았다. 따라서, 자마 생존율, 유효적산온도, 천마 수량성 등의 결과에 따라 원목의 적정 종균 접종 시기는 4월 하순과 6월 상순 사이고, 천마의 적정 정식 시기는 3월 상순과 4월 상순 사이며, 비가림시설, 종균 선접종 배양목 및 우량자마를 활용하면 재배기간을 노지 대비 6개월 이상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천마 연작지의 토양 미생물상 분석 (Analysis of Soil Microbes in Continuous Cropping Fields of Gastrodia elata)

  • 김창수;이은숙;정현수;유정현;최소라;송영은;서상영;안민실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년도 임시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36-36
    • /
    • 2023
  • 천마(天麻, Gastrodia elata Blume)는 난초과(蘭草科, Orchidaceae)에 속하는 식물로 잎과 뿌리가 없어 탄소동화능력이 없으며, 뽕나무버섯균과 공생하는 기생식물이다. 천마는 노지 재배에 따른 안정생산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혹한, 폭우 등 기상환경에 따른 연차간 수량성 차가 673~1,175kg/10a로 크고, 연작에 따른 수량성이 연작 1회 시 29%, 연작 2회 시 68%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천마의 연작에 따른 토양내 미생물상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실험은 초작지, 연작 1회지, 연작 2회지 및 자생지의 각각 3곳에 대한 토양을 Metagenome 분석법을 활용하여 미생물상을 분석하였다. metagenome 분석 결과, 초작지 3곳의 시료를 이용하여 확보한 총 read는 699,221개였으며, 이 중에서 Eukaryota로 분류되지 않은 read는 1,377개(0.2%), no hit, not assign된 read는 10,510개 (1.5%), Bacteria로 분류된 read는 342,916개(49.0%), Eukaryota로 분류된 read는 총 344,418개(49.3%)였다. 그리고 천마의 생육에 영향을 주는 Fusarium 속과 종은 3곳 포장에서 고르게 분포하고 있으며, 총 11,242 read로 전체의 3.3%를 차지하였다. 연작 1회지 3곳의 시료를 이용하여 확보한 총 read는 655,097개였으며, 이 중에서 Eukaryota로 분류되지 않은 read는 1,694개(0.3%), no hit, not assign된 read는 18,985개(2.9%), Bacteria로 분류된 read는 312,201개(47.7%), Eukaryota로 분류된 read는 총 322,217개 (49.2%)였다. 그리고 천마의 생육에 영향을 주는 Fusarium 속과 종은 3곳 포장에서 고르게 분포하고 있으며, 총 11,597 read로 전체의 3.6%를 차지하였다. 연작 2회지 3곳의 시료를 이용하여 확보한 총 read는 651,624개였으며, 이 중에서 Eukaryota로 분류되지 않은 read는 1,753개(0.3%), no hit, not assign된 read는 7,995개(1.2%), Bacteria로 분류된 read는 307,178개(47.1%), Eukaryota로 분류된 read는 총 334,698개(51.4%)였다. 그리고 천마의 생육에 영향을 주는 Fusarium 속과 종은 총 43,877 read로 전체의 13.1%를 차지하였다. 자생지 3곳의 시료를 이용하여 확보한 총 read는 731,719개였으며, 이 중에서 Eukaryota로 분류되지 않은 read는 2,828개(0.4%), no hit, not assign된 read는 585개(0.1%), Bacteria로 분류된 read는 356,690개(48.7%), Eukaryota로 분류된 read는 총 371,616개(50.8%)였다. 그리고 천마의 생육에 영향을 주는 Fusarium 속과 종은 MJH01 자생지에서만 전체의 0.2%(총 660 read)로 극히 일부가 분리되었다. 따라서, 천마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Fusarium 속과 종은 초작지 3.3%, 연작 1회지 3.6%, 연작 2회지 13.1%, 자생지 0.2%로 나타났으며, 연작 2회 시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Pharmacopuncture for Cervicogenic Dizziness

  • Kim, Yunna;Cho, Seung-Hun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41-248
    • /
    • 2018
  • Objectives: Pharmacopuncture is a treatment that medicinal fluid including herbal extract is injected in body under qi/flavor theory and meridian theories. There are a number of studies investigating the efficacy of pharmacopuncture for cervicogenic dizziness but its usage differs in each study. This study aimed to review previous studies of pharmacopuncture treatment for cervicogenic dizziness to navigate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Methods: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studies aimed at pharmacopuncture for cervicogenic dizziness. The randomized controlled studies which assessed the efficacy of pharmacopuncture on cervicogenic dizziness were selected. The studies were searched in Pubmed, RISS, OASIS and CNKI. After selecting eligible studies, the authors read the articles and summarized the points those are necessary in pharmacopuncture treatment for cervicogenic dizziness. Results: Twenty seven studies and 2,709 participants were included. The diverse solutions were used and the most popular were Salvia miltiorrhiza, Angelica gigas, a compound in Gastrodia elata, Panax notoginseng saponins. Some studies investigated the efficacy of conventional medical compounds (lidocaine, vitamin B, dexamethasone) injected in acupoints. Adopting acupoints and combining with body acupuncture have shown the tendency to enhance the cure rate. Pharmacopuncture could improve the efficacy of conventional treatment for cervicogenic dizziness. Conclusion: As the solution and injection method varies, principles of pharmacopuncture for dizziness should be investigated.

Anti-Inflammatory, Anti-Angiogenic and Anti-Nociceptive Activities of 4-Hydroxybenzaldehyde

  • Lim, Eun-Ju;Kang, Hyun-Jung;Jung, Hyun-Joo;Kim, Kyung-Hoon;Lim, Chang-Jin;Park, Eun-Hee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6권3호
    • /
    • pp.231-236
    • /
    • 2008
  • The current work was designed to assess novel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4-hydroxybenzaldehyde (HD), a major phenolic constituent of various natural products of plant origin, such as Gastrodia elata Blume. HD exhibited a significant inhibition in the chick chorioallantoic membrane (CAM) angiogenesis. HD also displayed an inhibitory effect in acetic acid-induced permeability in mice. Anti-nociceptive activity of HD was convinced using the acetic acid-induced writhing test in mice. HD was able to suppress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and induct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in the lipopolysaccharide (LPS)-activated RAW264.7 macrophages. HD also diminished the reactive oxygen species (ROS) level elevated in the LPS-activated macrophages. In brief, HD exhibits anti-angiogenic, anti-inflammatory and anti-nociceptive activities possibly via down-regulating iNOS and/or COX-2, which may be partly responsible for pharmacological efficacies of various natural products.

골프장 식생과 주둥무늬차색풍뎅이 (Adoretus tenuimaculatus Waterhouse)가해 기주식물의 지역적 차이 (Vegetation of Golf Courses and Local Difference of Feeding Host Plant to Adoretus tenuimaculatus Waterhouse)

  • 이동운;추호렬;정재민;이상명;허진;성영탁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16
    • /
    • 1998
  • Vegetation of golf courses and local difference of feeding host plants of brown chafer, Adoretus tenuimaculatus Waterhouse(Coleoptera: Scarabaeidae) were investigated in golf courses. Yongwon country club in Chinhae and Tongdo country club in Yangsan Gyeongnarn, Dongrae Benest golf club in Kumjeunggu Pusan and Daegu country club in Gyeongsan Gyeongbuk province from 1995 to 1997. Vegetation and species of feeding host plant were different depending on observed place. Damaged rate of host plants were concerned with ornamental trees and natural growing host plants, and Oenothera odorata, Achyranthes japonica, Aralia elata, Viburnum awabuki, Chenapadium album var. cent rorubrum, Cornus officinalis, and Rhododendron mucronulatum were newly recorded as host plant of A. tenuimaculatus in this study. Thus, host plants of A. tenuimaculatus were 193 kinds in 48 families. Key words: Brown chafer, Adoretus tenuimaculatus, host plant, vegetation, insect-plant interaction, biological control, golf courses.

  • PDF

유용 자원식물의 진균성 신병해(III) (New Fungal diseases of Economic Resource Plants in Korea (III))

  • 신현동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97-209
    • /
    • 1995
  • This paper is a third report about the new fungal diseases of economic resource plants in Korea. It contains short descriptions on symptoms, occurrence conditions, pathogen, and some phytopathological notes for each of 10 fungal plant diseases. They are angular leaf spot of Achyranthes japonica by Cercospora achyranthis causing leaf spot and defoliation in the shade of plants, leaf spot of Armoracia lapathifolia by Cercospora armoraciae causing leaf spot to blight from the rainy season to autumn, hypophyllous mold of Dioscorea tokoro by Distocercospora pachyderma causing leaf spot and yellowing, hypophyllous mold of Artemisia spp.by Mycovellosiella ferruginea causing leaf spot and yellowing, angular leaf spot of Aralia elata by Pseudocercospora araliae causing velvety leaf spot and defoliation, hypophyllous mold of Lycium chinense by Pseudocercospora chengtuensis causing velvety leaf spot and defoliation from the rainy season to autumn, angular leaf spot of Diospyros lotus by Pseudocercospora disospyri-morrisianae causing leaf spot and defoliation from summer to autumn, brown leaf spot of Impatiens textori by Pseudocercospora nojimae causing leaf spot to blight from the rainy season, leaf spot of Cephalonoplos segetum by Ramularia cirsii causing leaf spot to blight throughout the growing season, and white mold of Leonurus sibiricus by Ramularia leonuri causing leaf spot to blight mostly in autum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