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SDU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4초

IEEE 802.11n에서의 2단계 프레임 집약 기법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Two-Level Frame Aggregation in IEEE 802.11n)

  • 송태원;양성열;백상헌;윤주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1175-1180
    • /
    • 2009
  • 차세대 무선랜 표준인 IEEE 802.11n에서는 MAC 계층에서의 처리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프레임 집약 (Frame Aggregation) 기법을 제안하고 있다. IEEE 802.11n의 프레임 집약 기법은 MSDU (MAC Service Data Unit) 단위의 집약 기법 (Aggregate MSDU: A-MSDU)와 MPDU (MAC Protocol Data Unit) 단위의 집약 기법 (Aggregate MPDU: A-MPDU)의 두 가지 기법을 제안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A-MSDU와 A-MPDU를 결합한 2단계 프레임 집약 (Two-Level Frame Aggregation) 기법의 성능을 분석한다. 성능 분석을 위해 마르코브 체인에 기반하여 2단계 프레임 집약 기법의 처리율을 모델링한 뒤 이를 이용하여 노드의 수와 채널 상태 등에 따른 프레임 집약 기법의 처리율 변화 추이를 분석한다. 그리고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최적의 프레임 집약 기법을 설계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IEEE 802.11n에서의 2단계 프레임 집약 기법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Two-Level Frame Aggregation in IEEE 802.11n)

  • 송태원;백상헌;윤주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73-476
    • /
    • 2009
  • 차세대 무선랜 표준인 IEEE 802.11n에서는 MAC 계층에서의 처리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프레임 집약 (Frame Aggregation) 기법을 제안하고 있다. IEEE 802.11n의 프레임 집약 기법은 MSDU(MAC Service Data Unit) 단위의 집약 기법 (Aggregate MSDU: A-MSDU)과 MPDU (MAC Protocol Data Unit) 단위의 집약 기법 (Aggregate MPDU: A-MPDU)의 두 가지 기법을 제안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A-MSDU와 A-MPDU를 결합한 2단계 프레임 집약 (Two-Level Frame Aggregation) 기법의 성능을 분석한다. 성능 분석을 위해 마르코브 체인에 기반하여 2단계 프레임 집약 기법의 처리율을 모델링한 뒤 이를 이용하여 노드의 수와 채널 상태 등에 따른 프레임 집약 기법의 처리율 변화 추이를 분석한다. 그리고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최적의 프레임 집약 기법을 설계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 PDF

IEEE 802.11a 무선 LAN의 MAC 계층DCF 처리율 분석 (DCF Throughput Analysis of the MAC Layer in the IEEE 802.11 Wireless LAN)

  • 정진욱;하은실;이하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509-515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1a 무선 LAN의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에서 DCF(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프로토콜의 처리율을 트래픽 량 및 MSDU(MAC SDU) 크기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IEEE 802.11a에서 필수사항으로 권고하고 있는 6, 12, 24Mbps와 최대속도인 54Mbps급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 전송속도가 작을 수록 처리율이 우수하며 MSDU의 크기가 클수록 처리율이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MSDU의 크기를 일정하게 할 때 처리율이 최대가 되는 최적 트래픽 양이 구해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IEEE 802.11n의 2-레벨 집적 방식에서 최소 MPDU 시작 간격을 이용하는 새로운 재전송 방법 (New Re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minimum MPDU starting Spacing in Two-level Aggregation of IEEE 802.11n)

  • 신인철;김동회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300-309
    • /
    • 2015
  • IEEE 802.11n 무선랜에서 높은 처리율을 지원하기 위하여 미디어 접근 제어(MAC) 계층은 A-MSDU(Aggregate-MAC Service Data Unit)와 A-MPDU(Aggregate-MAC Protocol Data Unit)을 채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A-MPDU는 선택적 재전송 기능을 사용하기 때문에 A-MSDU보다 높은 처리율 성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A-MPDU가 선택적 재전송 기능을 사용할지라도 A-MPDU 내부의 MPDU의 크기가 최소 MPDU 시작 간격 크기보다 작은 MPDU의 경우에는 더미(dummy) MPDU인 구분자(delimiter)의 추가로 인한 재전송 오버헤드 때문에 처리율의 저하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A-MPDU 내부의 MPDU의 크기가 최소 MPDU 시작 간격 크기보다 작은 경우에 A-MPDU 내부의 MPDU가 구분자로 채워지는 것이 아니라 A-MSDU로 채워지는 2-레벨(two-level) 집적 방식이 소개되었다. 상기의 2-레벨 집적방식에서, 기존 재전송 방법은 오직 A-MPDU에 대해서만 재전송을 수행하고 있지만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재전송 방법에서는 재전송 데이터의 크기가 최소 MPDU 시작 간격 크기보다 작은 경우에 신규 MSDU들과 재전송 MSDU들을 함께 집적하여 재전송을 수행한다. 따라서 제안한 재전송 방법이 기존의 재전송 방법보다 더 좋은 처리율 성능을 가진다.

IEEE 802.11n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협력적 프레임 집약 기법 (Cooperative Frame Aggregation in IEEE 802.11n Wireless Networks)

  • 송태원;백상헌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7C권6호
    • /
    • pp.485-490
    • /
    • 2010
  • 프레임 집약 기법은 MAC 계층에서의 처리율 향상을 위한 기법으로, 새로운 무선랜 표준인 IEEE 802.11n에서는 MSDU 단위의 집약기법(A-MSDU) 과 MPDU 단위의 집약기법 (A-MPDU)을 지원한다.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1n의 A-MPDU 기법을 릴레이 기반의 협력 통신환경에 적용하여 수신단에서 협력적으로 프레임을 복구할 수 있는 협력적 프레임 집약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협력적 프레임 기법은 채널 상태가 나쁜 경우에도 두 개 이상의 프레임을 수신하여 복구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 기법에 비해 처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성능 분석 모델을 통한 수치 분석 결과는 채널 상태에 따라 제안 기법이 기존의 릴레이 전송 기법 또는 직접적 전송 기법보다 성능이 더 좋아짐을 보여준다.

효율적인 멀티미디어 전송을 위한 분산방식 MAC 프로토콜 성능분석 (Performance Evaluation of Distributed MAC Protocol Algorithm for Efficient Multimedia Transmission)

  • 김진우;이성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573-581
    • /
    • 2014
  • The salient features of UWB(Ultra WideBand) networks such as high-rate communications, low interference with other radio systems, and low power consumption bring many benefits to users, thus enabling several new applications such as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WUSB) for connecting personal computers (PCs) to their peripherals and the consumer-electronics (CE) in people's living rooms. Because the size of multimedia data frame, WiMedia device must transmit the fragment of MSDU. However, when the fragment of MSDU is lost, WiMedia device maintains active mode for the time to complete the transmission MSDU, and there is a problem that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occurs. Therefore we propose new power management scheme to reduc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of WiMedia devices in the case that the fragment is lost.

Frame Aggregation 기법을 적용한 IEEE 802.11n 시스템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IEEE 802.11n System adapting Frame Aggregation Methods)

  • 이윤호;김주석;김경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515-527
    • /
    • 2009
  • IEEE 802.11n은 MAC 계층에서 100Mb/s이상의 데이터 처리량을 달성하므로 초고속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차세대 무선랜의 표준으로 각광받고 있다. IEEE 802.11n의 연구 동향은 크게 두 가지로 MAC 계층에서 패킷 간의 결합을 통하여 데이터 처리량을 높인 부분과 PHY 계층에서 다중 안테나 기법을 적용하여 데이터 전송속도를 높인 부분으로 정리된다. 그러나 전자는 무선 채널을 고려하지 않음으로 현실성이 결여되어 있었고, 후자는 패킷 간의 결합을 간과함으로 현실적인 처리량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1n 시스템에서 MAC 계층과 PHY 계층의 연동을 고려하여 성능을 분석한다. 또한, MAC 계층에서는 멀티 서비스를 고려한 A-MPDU, A-MSDU기법을 적용하고, PHY 계층에서는 WLAN MIMO TGn 채널 모델 사용과 함께 SVD 기법을 적용함으로 다중 안테나 기법과 무선 채널을 모두 고려하면서 IEEE 802.11n 시스템의 현실적인 데이터 처리량을 분석한다. 시뮬레이터는 전 계층을 고려하여 Ns-2를 사용하기로 한다.

차세대 무선랜 구현을 위한 MAC 엔진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AC Engine for Next-Generation WLAN)

  • 이영곤;정용진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6권6호
    • /
    • pp.39-4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무선랜인 802.11n의 구현에 필요한 802.11 MAC을 두 가지 버전으로 설계하였다. 설계한 첫 번째 MAC 엔진은 송신과 수신블록, 백오프, 채널관리블록을 하드웨어로 설계하였고, 프로토콜 컨트롤 블록과 MLME, MSDU처리 블록을 소프트웨어로 설계하였다. 설계된 MAC 엔진은 40Mbps의 최대전송속도를 갖지만, SIFS 구간, ACK 프레임 전송과정에 소프트웨어 오버헤드로 인하여 실제 네트워크에서 정확한 동작을 보장하지 못하고 802.11n에 적용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한 두 번째 MAC 엔진은 MSDU처리블록, 프로토콜 컨트롤 블록을 포함한 프레임 전송에 관련된 블록들을 하드웨어로 설계하였다. 개선된 MAC 엔진은 802.11 환경에서 73Mbps의 최대 전송속도를 갖고, 802.11n 환경에서 프레임 Aggregation을 이용하면 129Mbps의 최대 전송속도를 갖는다. 본 논문에서 설계한 MAC 엔진은 차세대 무선랜에 적합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S-ARQ: A New Truncated ARQ for IP-Based Wireless Network

  • Choi, Young-Kyu;Oh, Seong-Jun;Choi, Sung-Hyun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2권2호
    • /
    • pp.174-180
    • /
    • 2010
  • Automatic Repeat reQuest (ARQ) is a very effective technique against transmission error at the medium access control (MAC) layer. An erroneous MAC protocol data unit can be typically retransmitted within a given limit. In order to improve the IP-level performance, which directly affects the user-perceived quality-of-service (QoS), we propose a new truncated ARQ strategy, called MAC service data unit-based ARQ (S-ARQ), where the finite number of opportunities for retransmissions are shared by multiple fragments out of an IP datagram. We describe how SARQ can be implemented in a practical system, and then propose another variant of S-ARQ employing a functionality called early detection of failure. Basically, we evaluate the performance of SARQ in two different manners. First, assuming i.i.d. error process, we analyze both the probability of the delivery failure and the average delay of IP datagram. Then, we assess the performance of S-ARQ via simulation over a 2-state Markov channel.

A Modified Switched-Diode Topology for Cascaded Multilevel Inverters

  • Karasani, Raghavendra Reddy;Borghate, Vijay B.;Meshram, Prafullachandra M.;Suryawanshi, H.M.
    •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 /
    • 제16권5호
    • /
    • pp.1706-1715
    • /
    • 2016
  • In this paper, a single phase modified switched-diode topology for both symmetrical and asymmetrical cascaded multilevel inverters is presented. It consists of a Modified Switched-Diode Unit (MSDU) and a Twin Source Two Switch Unit (TSTSU) to produce distinct positive voltage levels according to the operating modes. An additional H-bridge synthesizes a voltage waveform, where the voltage levels of either polarity have less Total Harmonic Distortion (THD). Higher-level inverters can be built by cascading MSDUs. A comparative analysis is done with other topologies. The proposed topology results in reductions in the number of power switches, losses, installation area, voltage stress and converter cost. The Nearest Level Control (NLC) technique is employed to generate the gating signals for the power switches.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tructure, simulation results are carried out by a PSIM under both steady state and dynamic conditions. Experimental results are presented to validate the simulation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