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549 cell line

검색결과 203건 처리시간 0.02초

가미팔미환(加味八味丸)의 elastase 유도성 A549 세포사멸에 대한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s of Gamipalmi-hwan on Elastase-induced Apoptosis of A549 Cells)

  • 오지석;박양춘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37-148
    • /
    • 2010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Gamipalmi-hwan (GPH) on elastase-induced lung cell injury. Materials and Methods: As an in vitro model of emphysema, the curr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potential activity of GPH in regulating injury responses of A549 human type II cell line mediated by elastase treatment. Results: GPH treatment increased the number of A549 cells which was reduced by elastase digestion. Elastin protein level, which was reduced by elastase treatment, was increased by GPH treatment. Labeling intensity with caspase 3 protein in elastase-treated cells was reduced by GPH treatment. Both Erk1/2 and Cdc2 protein levels, which were decreased by elastase treatment, were increased to a level similar to that of the normal cells. mRNA levels encoding IL-$1{\beta}$ and TNF-$\alpha$ were increased by elastase and then down-regulated by GPH. Conclusion: The present data suggest that A549 cells are subjected to inflammatory damage by elastase and can be recovered by GPH treatment. Further studies examining the protective activity of GPH in elastase-treated lung tissue would be useful for therapeutic strategies of emphysema treatment.

Cytotoxicity of Nigella Sativa Seed Oil and Extract Against Human Lung Cancer Cell Line

  • Al-Sheddi, Ebtesam Saad;Farshori, Nida Nayyar;Al-Oqail, Mai Mohammad;Musarrat, Javed;Al-Khedhairy, Abdulaziz Ali;Siddiqui, Maqsood Ahmed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호
    • /
    • pp.983-987
    • /
    • 2014
  • Nigella sativa (N sativa), commonly known as black seed,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to treat many diseases. The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N sativa extracts are well known.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anticancer activity of seed extract (NSE) and seed oil (NSO) of N sativa against a human lung cancer cell line. Cells were exposed to 0.01 to 1 mg/ml of NSE and NSO for 24 h, then percent cell viability was assessed by 3-(4, 5-dimethylthiazol-2yl)-2, 5-biphenyl tetrazolium bromide (MTT) and neutral red uptake (NRU) assays, and cellular morphology by phase contrast inverted microscopy. The results showed NSE and NSO significantly reduce the cell viability and alter the cellular morphology of A-549 cells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The percent cell viability was recorded as 75%, 50%, and 26% at 0.25, 0.5, and 1 mg/ml of NSE by MTT assay and 73%, 48%, and 23% at 0.25, 0.5, and 1 mg/ml of NSE by NRU assay. Exposure to NSO concentrations of 0.1 mg/ml and above for 24 h was also found to be cytotoxic. The decrease in cell viability at 0.1, 0.25, 0.5, and 1 mg/ml of NSO was recorded to be 89%, 52%, 41%, and 13% by MTT assay and 85%, 52%, 38%, and 11% by NRU assay, respectively. A-549 cells exposed to 0.25, 0.5 and 1 mg/ml of NSE and NSO lost their typical morphology and appeared smaller in size. The data revealed that the treatment of seed extract (NSE) and seed oil (NSO) of Nigella sativa significantly reduce viability of human lung cancer cells.

약침용 봉독성분 melittin의 영향에 의한 인체 폐암세포의 apoptosis 유도 (Melittin-induced Aapoptosis is Associated with Inhibition of COX-2 and hTERT Expression in Human Lung Carcinoma A549 Cells)

  • 안창범;임춘우;윤현민;박수진;최영현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0권5호
    • /
    • pp.93-106
    • /
    • 2003
  • Objective : To investigate the possible molecular mechanism(s) of melittin as a candidate of anti-cancer drug, we examined the effects of the compound on the growth of human lung carcinoma cell line A549. Methods: MTT, morphological changes, DAPI staining, Western blot, RT-PCR and in vitro prostaglandin E2 (PGE2) accumulation assays were performed. Results: The anti-proliferative effect by melittin treatment in A549 cells was associated with morphological changes such as membrane shrinking and cell rounding up. Melittin induced apoptotic cell death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which was associated with inhibition or degradation of apoptotic target proteins such as ${\beta}$-catenin, poly(ADP-ribose) polymerase(PARP) and phospholipase $C-{\gamma}1(PLC-{\gamma}1)$. Melittin treatment inhibited the expression of cyclooxygenase-2(COX-2) and accumulation of PGE2 in aconcentration-dependent fashion. In addition, Melittin treatment induced the down-regulation of telomerase reverse transcriptase(hTERT) and proto-oncogene c-myc expression of A549 cells. Conclusions: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elittin-induced inhibition of human lung cancer cell proliferation is associated with the induction of apoptotic cell death via regulation of several major growth regulatory gene products, and melittin may have therapeutic potential in human lung cancer.

  • PDF

폐 대식세포주에서 벤젠에 의한 세포 사멸 효과와 산화성 스트레스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Cell Death and Oxidative Stress in the effect of benzene in Cultured Lung Epithelial Cells)

  • 임재청;김종춘;박수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21-426
    • /
    • 2010
  • 벤젠은 농약 노출 및 새집 증후군시에 나타나는 중요한 물질로 천식 및 알러지 등의 호흡 질환을 일으키는 물질로 알려져 있으나 폐 상피세포에 대한 자세한 효과는 알려져 있지 않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폐 상피세포인 A549 세포를 이용하여 벤젠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벤젠은 세포 생존율을 감소 시켰으며, 이러한 반응은 항산화제인 vitamin C 및 NAC 처리 시 차단되었다. 실제로 벤젠 처리시 산화성 스트레스 지표인 lipid peroxide 형성이 증가하였으며 이들 반응 역시 항산화제들에 의해 차단되었다. 한편 벤젠 처리시 세포 사멸 촉진 단백질인 Bax 발현은 증가하였으며 세포 사멸 억제 단백질인 Bcl-2의 발현은 억제 되었으며 세포 사멸 실행 단백질인 casapse-3의 활성형 역시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벤젠은 폐 상피세포에서 산화성 스트레스 증가를 통해 세포 사멸을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체폐암세포의 성장에 미치는 위경장의 영향에 관한 연구 (Induction of Cdk Inhibitor p21 and Inhibition of hTERT Expression by the Aqueous Extract of Wikyung-tang in Human Lung Carcinoma Cells)

  • 최해윤;박철;최영현;박동일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553-560
    • /
    • 2004
  •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aqueous extract of Wikyung-tang(WKT) on the growth of human lung carcinoma cell line A549. WKT treatment declined the cell viability and proliferation of A549 cell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 anti-proliferative effects by WKT treatment in A549 cells was associated with morphological changes such as membrane shrinking and cell rounding up. WKT treatment induced an inhibition and/or degradation of apoptotic target proteins such poly(ADP-ribose) polymerase (PARP) and phospholipase C-γ1 (PLC-γ1). WKT treatment did not affect the levels of other Bcl-2 family gene products, such as Bcl-2, Bax and Bad. Western blot analysis and RT-PCT data revealed that the levels of tumor suppressor p53 and 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 p21 were induced by WKT treatment in A549 cells. Additionally, WKT treatment induced the down-regulation of telomerase reverse transcriptase mRNA (hTERT) expression of A549 cells, however, the levels of other telomere-regulatory gene products were not affected.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WKT-induced inhibition of human lung cancer cell proliferation is associated with the induction of apoptotic cell death via regulation of several major growth regulatory gene products and WKT may have therapeutic potential in human lung cancer.

마늘껍질 70% 에탄올 추출물의 인간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 (Antiproliferation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garlic peels on human cancer cell lines)

  • 손대열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89-293
    • /
    • 2017
  • 버려지는 마늘껍질의 자원으로써의 활용 가치를 확인하기 위해 마늘껍질 70% 에탄올 추출물(GPE)을 이용하여 인체에서 유래된 폐암 세포(A549), 위암 세포(AGS), 유방암 세포(MCF-7), 간암 세포(Hep3B) 및 대장암 세포(HT-29)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폐암 세포(A549)의 경우 $200{\mu}g/mL$의 저 농도에서는 A549 세포의 생존율이 100%로 증식 억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500{\mu}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A549 세포의 생존율이 10% 이하로 떨어지면서 우수한 폐암 세포 증식 억제활성이 확인되었다. 위암 세포에 대한 조사에서는 $1,000{\mu}g/mL$의 농도에서 55%의 생존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최고 $2,000{\mu}g/mL$의 농도에서 71%의 위암 세포 증식 억제활성이 확인되었다. 유방암 세포(MCF-7)의 경우 $200{\mu}g/mL$의 저 농도에서 78%, $500{\mu}g/mL$ 이상의 농도 처리 결과에서는 모두 90% 전후의 유방암 세포 증식 억제활성이 확인되었다. 간암 세포의 경우 $100{\mu}g/mL$의 저 농도에서도 57%의 억제 활성이 확인되어, GPE의 매우 우수한 간암 세포 증식 억제 활성이 확인되었고, 처리되는 GPE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500{\mu}g/mL$ 농도까지 농도 의존적으로 간암 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 활성은 증가되어 간암 세포의 생존율이 13%까지 저하되었다. 대장암 세포(HT-29)의 경우 $200{\mu}g/mL$의 저 농도 처리에서 15%, $500{\mu}g/mL$ 농도 처리에서 85%, $1,000{\mu}g/mL$의 고농도 처리에서 93%의 간암세포 증식 억제율이 확인되었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간암 세포에 대한 생장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마늘껍질 70% 에탄올 추출물 GPE는 조사된 제일 낮은 농도($100{\mu}g/mL$)에서도 간암 세포의 증식을 57% 억제하는 우수한 활성이 확인되었고, $200{\mu}g/mL$의 저 농도 범위에서는 유방암과 간암 세포의 증식을 72-78% 억제하는 높은 활성이 확인되었으며, $500{\mu}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위암 세포를 제외한 조사된 4종류의 암세포(폐암, 유방암, 간암 및 대장암 세포)의 증식을 85-90% 억제하는 우수한 활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마늘 가공 과정에서 쓰레기로 버려지고 있는 마늘껍질은 70% 에탄올 추출을 통해 유방암(MCF-7), 폐암(A549), 위암(AGS), 유방암(MCF-7) 및 간암(Hep3B)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활성 물질로서의 재활용 가치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브로콜리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Broccoli Extract on Inhibition of Cancer Cell Proliferation)

  • 박정숙
    • 디지털정책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1-35
    • /
    • 2023
  • 본 연구는 암세포 증식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Broccoli Extract를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세포주는 3종으로 호흡기계에 대표적인 폐암세포 A549와 소화기계의 간암세포 SNU-182, 담도암세포 SNU-1196 로 인체 유래 암세포 주를 사용하였으며, 암세포의 증식 억제는 세포의 증식정도를 측정하는 CCK-8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Broccoli Extract 1000ug/mL, 100ug/mL, 10ug/mL 에 대한 암세포 증식 억제를 살펴본 결과 Broccoli Extract은 대부분의 암세포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식을 억제하였으며, 특히 폐암세포 A549, 간암세포 SNU-182는 Broccoli Extract 1000ug/mL에서 유의한 증식 억제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 브로콜리 추출물은 세포실험을 통해서 증명된 종양억제기전들이 암 예방 및 치료제로서 잠재력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Effect of Embelin on TRAIL Receptor 2 mAb-induced Apoptosis of TRAIL-resistant A549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s

  • Jiang, Lei;Hao, Jin-Li;Jin, Mu-Lan;Zhang, Yun-Gang;Wei, Pi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0호
    • /
    • pp.6115-6120
    • /
    • 2013
  • Introduction: Some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tumor cells are insensitive to tumor necrosis factor-related apoptosis-inducing ligand (TRAIL) -based therap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embelin on the sensitivity of the A549 NSCLC cell line to TRAIL receptor2 (TRAILR2) monoclonal antibodies an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mechanisms. Materials and Methods: A549 cells were treated with embelin, TRAILR2 mAb or a combination of both. Cell viability was measured using ATPlite assay and apoptosis rates were determined by flow cytometry with AnnexinV-FITC and propidium iodide staining, with the expression levels of proteins analyzed by Western blotting. Results: The cell survival rate of separate treatments with 100 ng/ml TRAILR2 antibody or 25 uM embelin were $81.5{\pm}1.57%$ and $61.7{\pm}2.84%$, respectively. Their combined use markedly decreased cell viability in A549 cells to $28.1{\pm}1.97%$ (P<0.05). The general caspase inhibitor Z-VAD-FMK could inhibit the embelin-enhanced sensitivity of A549 cells to TRAILR2 mAb ($75.97{\pm}3.17%$)(P<0.05). Both flow cytometry and cell morphological analysis showed that embelin was able to increase TRAIL-induced apoptosis in A549 cells. Combined treatment with embelin and TRAILR2 mAb augmented the activation of initiator caspases and effector caspase. In addition, A549 cells showed increasing levels of TRAILR2 protein and decreasing levels of Bcl-2, survivin and c-FLIP following the treatment with embelin+TRAILR2 mAb. Conclusions: Embelin could enhance TRAIL-induced apoptosis in A549 cells. The synergistic effect of the combination treatment might be due to modulation of multiple components in the TRAIL receptor-mediated apoptotic signaling pathway, including TRAILR2, XIAP, survivin, Bcl-2 and c-FLIP.

비소세포폐암 세포주에서 COX-2억제제(Nimesulide)의 세포독성 (Cytotoxicity of COX-2 Inhibitor (Nimesulide)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 Line)

  • 박찬범;전현우;진웅;조규도;김치경;왕영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4호
    • /
    • pp.263-270
    • /
    • 2005
  • 최근 고령화 사회가 진행되어 가면서 폐암환자에서도 수술에 적응이 되지 않는 고령의 환자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독성이 적은 치료방법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항암제에 비하여 비교적 안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는 선택적인 COX-2 억제제인 Nimesulide를 처치하여 COX-2 발현 유무와 COX-2 억제제가 비소세포폐암에 미치는 세포독성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A549, H1299 비소세포폐암 세포주에서 COX-2 단백질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 색을 시행하였으며, Nimesulide 처치후 XTT 분석, FACS 분석, Hoechst 33258 염색을 시행하였다. 결과: COX-2 단백질의 면역조직화학염색결과 A549 비소세포폐암 세포주는 COX-2 단백질에 강한 발현을 나타낸 반면, H1299 비소세포폐암 세포주는 발현을 나타내지 않았다. XTT 분석결과 Nimesulide의 A549, H1299 비소세포폐암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은 유사하였으며, Nimesulide의 $IC_{50}$은 A549 비소세포폐암 세포주에서는 $70.9 {\mu}M$이었으며, H1299 비소세포폐암 세포주에서는 $56.5 {\mu}M$이었다. FACS 분석에서는 각각의 세포군에서 $G_0/G_1$ 기에서 세포주기의 지연이 관찰되었으며, S기의 세포는 감소되었다. Hoechst 33258 염색에서는 양군에서 세포핵의 주변부 농축 현상 및 핵 분절을 가진 많은 사멸세포가 관찰되었다. 걸론: 선택적인 COX-2억제제인 Nimesulide는 비소세포폐암 세포주에서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함을 알 수 있었으며, 암세포증식 억제의 기전은 세포자멸사의 유도와 $G_0/G_1$기에서 세포주기의 지연임을 알 수 있었으며, COX-2의 발현유무와 세포독성은 차이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Nimesulide와 같은 선택적인 COX-2 억제제는 다양한 항암제나 방사선치료와 병행하여 고위험군의 폐암환자에서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건조방법에 따른 모시잎의 항산화 활성 및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Effects of Ramie Leaf according to Drying Methods on Antioxidant Activity and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Cancer Cells)

  • 김아라;강수태;정은;이재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82-689
    • /
    • 2014
  • 본 연구는 모시잎의 건조방법에 따른 항산화 및 암세포 증식억제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80% 에탄올로 추출한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건조방법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열풍건조 모시잎이 동결건조 모시잎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1,000 ppm에서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77.74%와 77.29%의 비슷한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으며, Rancimat으로 측정한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의 항산화지수는 각각 1.38과 1.32로 BHT, BHA 및 비타민 C에 비해서는 낮았으나 시료를 미첨가한 음성대조군보다는 높은 항산화력을 보였다. 위암(AGS), 간암(Hep G2) 및 폐암(A549) 세포에 대한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알아본 결과,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암세포의 증식 억제 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었다. 건조방법에 따른 항암활성은 비슷한 경향이었으며 가장 높은 농도인 $800{\mu}g/mL$에서 80% 이상의 간암 및 폐암세포의 증식 억제 활성을 보였고, 위암세포에서는 75%이상의 증식 억제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은 in vitro에서 항산화효과와 암세포의 증식 억제효과를 보였고, 건조방법에 따른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은 비슷한 경향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