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형

검색결과 497건 처리시간 0.036초

규질 이암으로부터 Na-A형 제올라이트 수열합성 반응기구에 대한 연구 (Hydrothermal Mechanism of Na-A Type Zeolite from Natural Siliceous Mudstone)

  • 배인국;장영남;채수천;김병곤;류경원;이성기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23-229
    • /
    • 2007
  • 포항부근에 널리 분포하는 제3기 퇴적암인 규질이암(siliceous mudstone)으로부터 $Na_2O/SiO_2 =0.6,\;SiO_2/Al_2O_3 = 2.0,\;H_2O/Na_2O=119$ 몰 비의 수열조건에서 반응시간($10{\sim}70$시간)을 변화시켜 Na-A형 제올라이트를 합성하는 반응기구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각 조건에서의 합성상은 X-선회절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적외선 분광분석, 열분석 및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특성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규질이암으로부터 Na-A형 제올라이트의 단계별 반응기구는 초기에 규산 소다와 알루민산 소다의 반응에 의해 Na-A형 제올라이트가 1차적인 핵생성이 이루어진 후, 반응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잔여 알루민산 소다와 용해된 규질이암의 반응에 의해 Na-A형 제올라이트의 결정이 성장하였고 또한 하이드록시 소달라이트가 생성되었다. 그리고 반응 시간이 50시간의 장시간이 되면 Na-A형 제올라이트로부터 용해되면서 빠져나온 성분은 하이드록시 소달라이트와 반응에 의해 새로운 상인 Na-P형 제올라이트가 생성되는 일련의 과정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병원행정직의 조직헌신, A형행동유형 및 우울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분석 (Analysis of Convergent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Questionnaire, Type A Behavior Pattern and Depression on Job Burnout among Hospital Administrative Staff)

  • 배상윤;김승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345-351
    • /
    • 2018
  • 병원행정직 근무자들의 조직헌신, A형행동유형 및 우울과 직무소진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직무소진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을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은 임의로 선정된 J지역 9개 종합병원의 재직자 201명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7년 7월 3일부터 2017년 7월 29일까지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직무소진은 A형행동유형 및 우울과는 양의, 조직헌신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공분산구조분석 결과, 우울은 조직헌신 및 A형행동유형보다 직무소진에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A형행동유형 및 우울이 높아질수록, 조직헌신이 낮아질수록 직무소진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병원행정직의 직무소진과 관련된 조직헌신, A형행동유형 및 우울을 관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분석결과는 병원행정직의 직무소진을 낮추는 조직인사관리에 활용될 수 있다. 추후연구에서는 병원행정직의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요인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정치망 고정용 닻의 파주력에 대한 모형실험 (The Model Experiment on Holding Power of the Anchors used in the Set Net)

  • 윤일부;이주희;권병국;김성훈;신정욱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7권2호
    • /
    • pp.95-105
    • /
    • 2001
  • 남해안에서 정치망 어구의 고정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닻가지(fluke)가 하나인 스톡형닻(A형), 닻가지 2개가 한 방향으로 달려 있는 스톡형닻(B형), 닻가지 2개가 좌우로 달려 있는 스톡형닻(C형) 세가지의 모형을 제작하여 들의 종류(펄, 모래, 모래펄)와 닻줄의 길이(수심의 2배, 2.5배, 3배, 3.5배, 4배)에 따른 모형별 장력, 파주력, 파주력계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모형실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장력과 파주력은 저질별로는 펄에서 가장 크고, 모래펄, 모래 순으로 작아진다. 닻줄의 길이에 따라서는 닻줄이 길어질수록 장력과 파주력이 커지는 현상을 보였고, 닻의 종류별로는 B형이 가장 크고, A형, C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2. 닻가지의 단위면책당 파주력은 닻줄이 짧을 때는 A형이 가장 크고, 길 때는 A형과 B형이 거의 비슷하며, C형은 모든 길이에서 A형과 B형에 비하여 거의 절반 수준이었다. 3. 파주력계수는 펄에서 가장 크고, 모래펄, 모래 순이며, 닻의 종류별로는 A형이 가장 크고, B형, C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4. 정치망 고정용 닻의 성능은 조류방향이 항상 일정한 어장에서는 A형이 우수하며, 이상조류가 발생하는 어장에서는 B형이 어구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하여 우수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직업운전자의 자극추구성향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A형 운전행동 패턴과 일의 의미의 조절된 매개효과 (How sensation seeking affects burnout: A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Type A driving behavior and meaning of work)

  • 박용욱;정은경;구현진;손영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2권1호
    • /
    • pp.19-3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직업운전자의 자극추구성향과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A형 운전행동 패턴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와 같은 매개경로를 일의 의미가 완충시키는 조절효과를 조절된 매개모형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운수업체에 재직 중인 운전자 188명을 대상으로 자극추구성향척도, A형 운전행동 패턴 척도, 직무소진 척도, 일의 의미 척도를 통하여 설문을 진행하였고, SPSS 21.0과 SPSS Macro PROCESS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의 자극추구성향이 직무소진으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A형 운전행동 패턴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둘째, 자극추구성향이 A형 운전행동 패턴을 통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일의 의미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매개경로가 일의 의미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남을 통해서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운전자의 심리적 건강 및 운전수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자극추구성향 성격특성과 A형 운전행동 패턴의 부정적인 측면, 그리고 이러한 부정적인 영향을 완충할 수 있는 일의 의미의 긍정적 효과를 논의하였다.

  • PDF

심혈관 질환과 인격 특성 (Cardiovascular Disease and Personality Trait)

  • 고영훈
    • 정신신체의학
    • /
    • 제14권2호
    • /
    • pp.81-87
    • /
    • 2006
  • 많은 연구들이 심혈관 질환의 병인과 병리적 기전에 있어 사회심리학적, 행동학적 위험요인의 역할을 조사해 왔다. A형 행동 유형과 심장 질환의 이환 및 사망과의 관련성을 확인한 여러 전향적 연구들을 바탕으로, A형 행동 유형은 관상동맥질환의 독립적인 위험요인으로 밝혀졌다. 또한 최근 제안된 새로운 성격유형인 D형 인격유형 역시 심혈관 질환의 이환율과사망률의 증가에 관여함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 이들과 관련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저자는 심혈관 질환과의 관련성에 대해 널리 연구, 보고되고 있는 A형 행동유형과 D형 인격유형에 초점을 맞추면서 지금까지의 연구 문헌을 정리 검토하여 향후 연구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 PDF

근육비대의 치료에 있어 보툴리눔 독소 B형의 유용성 (Therapeutic Implication of Botulinum Toxin B for Treatment of Muscle Hypertrophy from In Vivo Study)

  • 신터전;서광석;김현정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7-23
    • /
    • 2009
  • 배경: 보툴리눔 독소 A형은 강직성 질환을 비롯한 여러 질환의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 보툴리눔 독소 A형은 근육비대를 치료하기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보툴리눔 독소의 근육비대의 치료효과에 대해서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본 연구는 토끼 정강뼈 근육에 보툴리눔 A, B형을 주입 후 시간경과에 따른 근육의 위축을 확인하여 근육비대의 치료에 보툴리눔 B형이 효과적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36마리의 토끼를 4그룹으로 분류하였다(1 그룹: 생리식염수 주사: 2 그룹: 보툴리눔 독소 A, B - 2U, 3 그룹: 보툴리눔 독소 A, B - 5U, 4 그룹: 보툴리눔 독소 A, B - 10U). 정강뼈근육에 보툴리눔 독소 A, B형을 주입 후 1, 2, 4주에 정강뼈 근육의 부피를 측정하였다. 신경자극기를 이용하여 독소 주입 후 1, 2, 4주의 근육의 단일 수축을 확인하여 근육기능의 변화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보툴리눔 독소 B형을 주입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지만 A형에 비해 근육 부피의 감소가 관찰되었다(P>0.05). 반면, 근육의 단일 수축은 보툴리눔의 용량에 관계없이 B형을 주입한 근육에서 더 높게 관찰 되었다. 결론: 보툴리눔 독소 B형을 주입한 경우 근육 기능의 회복속도는 빠른 반면 근육의 위축은 A형에 비해 더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따라서 근육비대의 치료에 있어 보툴리눔 독소 B형이 A형보다 보다 더 효과적이라고 사료된다.

  • PDF

원발성 서자진전 A형 1예 (A Case of Primary Writing Tremor Type A)

  • 서만욱;김지성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2권2호
    • /
    • pp.130-134
    • /
    • 2000
  • 저자들은 최근 글을 쓰는 자세에서는 진전이 나타나지 않고 글을 쓸 때에만 진전이 나타나는 전형적인 원발성 진전 A형을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며, 본 증례를 통해 원발성 서자진전 A형은 표현 양상으로는 서로 다르나 병태생리적으로 서자경련과 유사한 질환임을 추정해 볼 수 있었다.

  • PDF

A형 간염에 동반된 흉막 삼출 1예 (A Case of Pleural Effusion Associated with Acute Hepatits A)

  • 김동일;박재옥;김창휘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8권2호
    • /
    • pp.243-246
    • /
    • 2005
  • 급성 A형 간염에서 흉막 삼출은 드물게 발생하는 합병증으로 불리한 예후인자는 아니며 대개는 양성의 경과를 취한다. 저자들은 전신쇠약과 황달로 내원한 12세 여아에게서 A형 간염에 동반된 흉막 삼출을 진단 하였고 특별한 치료 없이 안정 후에 호전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역학분야에서의 베이지안 공간시간 모델링: 한국 A형 간염 자료 (Bayesian Spatiotemporal Modeling in Epidemiology: Hepatitis A Incidence Data in Korea)

  • 최정순
    • 응용통계연구
    • /
    • 제27권6호
    • /
    • pp.933-945
    • /
    • 2014
  • 역학 분야에서 질병 자료들은 종종 시간과 공간에 따라 축적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들 자료의 시간과 공간 상관성이 복잡한 경우가 존재한다. 이런 공간과 시간의 복잡한 상관구조 때문에, 질병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최근에 베이지안 공간시간 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공간시간 상관성이 있는 질병 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공간시간 모델링에 관한 기본적인 개념을 소개하고, 베이지안 공간시간 모형들에 관해 소개하였다. 그리고, 국내 A형 간염 발생자 자료를 논문에서 소개된 통계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공간시간 모형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근접촉쌍성(NCBs)의 일반적 특성 (GENERAL PROPERTIES OF NEAR-CONTACT BINARIES)

  • 오규동;김호일;강영운;이우백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7권2호
    • /
    • pp.151-162
    • /
    • 2000
  • 근접촉쌍성을 분광형에 따라 A형과 F형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물리적 특성과 진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근접촉쌍성이 TRO 이론에 따른 진화 경로를 겪는다고 가정하면, F형이 A형에 비하여 더 접촉에 가까운 즉, W UMa형에 근접한 상태에 있을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NCBs의 질량-반경 관계, 질량-광도 관계 및 H-R도를 조사하였는데 그 결과 A형이 F형에 비하여 질량교환이 활발할 것으로 생각된다. 근접촉쌍성은 ZAMS와 평행하게 나타나며 접촉쌍성의 진화 위치와 거의 일치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