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99mTc-DMSA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1초

급성신우신염 환아에서 DMSA 스캔상 발견된 신결손의 예후 인자 (Prognostic Factors of Renal Defects on the Initial DMSA Scan in Children with Acute Pyelonephritis)

  • 서영선;권덕근;신윤혜;배기수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4권2호
    • /
    • pp.195-202
    • /
    • 2010
  • 목 적 : 요로감염 환아에서 영구적 신장손상을 예측하기 위하여, 연령, 발열기간 및 농뇨 지속기간, 방광요관역류나 수신증 여부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방 법 : 2000년 1월부터 2005년 1월까지 아주대학교 병원에서 요로감염으로 입원한 환아 중 DMSA에서 신장 결손을 보인 160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6개월 후 추적 DMSA에서 회복된 회복군과 반흔이 남은 반흔군으로 나누어 각각의 특징을 비교분석하였다. 결 과 : 전체 대상 환아 160명 중 106명이 추적 DMSA에서 회복을 보였고, 54명이 반흔이 남아 33.8%의 발생률을 보였다. 반흔군에서 처음 진단 당시의 나이가1세 이상인 환자가 회복군에 비해 많았고(P=0.01), 발열기간, 농뇨지속 기간 등이 회복군에 비해 길었으며, 발열의 기왕력이 있었다. VCUG, Ultra-sound sonography에서도 반흔군이 회복군에 비해 비정상적 결과를 보인 경우가 많았다. 결 론 : 급성신우신염을 앓은 소아에서 감염당시 환아의 나이가 많을수록, 발열 기간이나 농뇨 지속 기간이 오래 될수록, 방광요관역류나 초음파검사 이상소견이 있는 초기 신결손이 신반흔으로 고착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잦은 발열 기왕력이 있는 경우 신손상 발생률이 높은 것을 볼 때, 이는 임상에서 미처 진단되지 못한, 혹은 잘 못 진단된 급성신우신염이 있음을 시사해 준다.

방광요관역류와 신반흔 (Vesicoureteral Reflux and Renal Scar)

  • 남희영;신준헌;이준호;최은나;박혜원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0권2호
    • /
    • pp.201-212
    • /
    • 2006
  • Purpose : Vesicoureteral reflux(VUR) is the major risk factor of urinary tract infection(UTI) in children and may result in serious complications such as renal scarring and chronic renal fail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UR and renal scar formation, the usefulness and correlation of various imaging studies in reflux nephropathy, and the spontaneous resolution of VUR.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06 patients with VUR with no accompanying urogenital anomalies in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Bundang CHA Hospital during the period from Jan. 1996 to Mar. 2005. Ultrasonography and $^{99m}Tc$-dimercaptosuccinic acid(DMSA) scan were performed in the acute period of UTI. Voiding cystourethrography(VCUG) was performed 1 to 3 weeks after treatment with UTI. Follow-up DMSA scan was performed 4 to 6 months after treatment and a follow-up VCUG was performed every 12 months. Results : The mean age at detection of VUR was $13.8{\pm}22.2$ months and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2:1. The incidence of renal scarring showed a tendency of direct correlation between severity of VUR(P<0.001) and abnormal findings of renal ultrasonography(P<0.01). 63.2%(24 of 38 renal units) of renal parenchymal defects present in the first DMSA scan disappeared on follow-up DMSA scans. Follow-up DMSA scans detected renal scars in 7(14%) of 50 renal units with ultrasonographically normal kidneys. Meanwhile, ultrasonography did not show parenchymal defects in 7(36.8%) of 19 renal units where renal scarring was demonstrated on a follow-up DMSA scan. The spontaneous resolution rate of VUR was higher(75%) in cases with low grade(I to III) VUR(P<0.01). Conclusions : The presence and severity of VUR and abnormal findings of renal ultrasonography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enal scar formation. DMSA scan was useful in the diagnosis of renal defects. Meanwhile renal ultrasonography was an inadequate method for evaluating renal parenchymal damage. Therefore, follow-up DMSA scans should be performed to detect renal scars even in children with low-grade VUR and normal renal ultrasonography.

  • PDF

암 치료를 위한 188Re(V)-DMSA에 관한 연구: 방사성동위원소 표지와 생체내 분포 (Study of 188Re(V)-DMSA for Treatment of Cancer: Radiolabeling and Biodistribution)

  • 김영주;정재민;장영수;이동수;정준기;이명철;고창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81-88
    • /
    • 1998
  • 암 치료용 방사성의약품으로 $^{188}Re(V)$-DMSA의 사용가능성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DMSA 키트($NaHCO_3$ 1.5 mg, meso-2,3-dimercaptosuccinic acid 1.0 mg, L(+)-ascorbic acid 0.7 mg, $SnCl_2{\cdot}2H_2O$ 0.34 mg, pH 2.9)를 제조하였다. 이 키트에 $^{188}ReO_4{^-}$ 5 mCi/2 ml을 넣어 $100^{\circ}C$에서 3시간 반응시킨 후 7% $NaHCO_3$을 사용하여 pH를 7.5로 조절하였다. $^{188}Re(V)$-DMSA의 표지효율은 98% 이상이었으며, $^{188}Re(V)$-DMSA의 안정성을 실온에서 측정한 결과 48시간 동안 95%이상으로 나타났다. 혈청 내에서의 안정성 시험 결과 $^{188}Re(V)$-DMSA의 양은 6시간 후 82%, 48시간 후에 85%로 나타났다. 암육종(Sarcoma 180) 이식 마우스의 꼬리정맥에 $^{188}Re(V)$-DMSA(111~185 kBq/0.1 ml)을 주사하고 1, 3, 13, 24, 48시간 후 장기를 적출하여 감마선계측기로 각 장기에 섭취된 방사능을 측정하였다. 종양(Satcoma 180)의 섭취는 $^{188}Re(V)$-DMSA 투여 후 1 시간에 $0.66{\pm}0.15$, 3시간에 $0.51{\pm}0.10$, 24시간에 $0.19{\pm}0.05$, 48시간에$0.13{\pm}0.02%ID/g$로 이 실험에 시용한 Sarcoma 180에 대하여는 별로 높지 않았다. 그려나 여러 문헌에 보고된 바 있는 $^{99m}Tc(V)$-DMSA와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생체내분포가 유사하여 표지후 생성된 이성체 연구 및 표지방법의 개선 등 후속연구가 뒤따를 경우 암이나 뼈 전이 통증 등의 치료용으로 사용할 가능성이 있음을 알았다.

  • PDF

몇가지 $^{99m}Tc$ 즉석표식(卽席標識)킷트 제조(製造)를 위(爲)한 실험연구(實驗硏究) (Experimental Studies on the Preparation of Some $^{99m}Tc$ Instant Labelling Kits)

  • 김재록;오옥두;구현숙;박경배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3-20
    • /
    • 1981
  • Using stannous chloride, optimum conditions for $^{99m}Tc$ labelling of some scanning agents such as phytic acid (P A), dimercaptosuccinic acid (DMSA), and calcium diethylenetriaminepentaacetate (Ca-DPTA) were established. Methods of separ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labelled compounds were practiced by a paper- or thin layer- chromatography. Biodynamic studies of the compounds were also carried out.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molar ratios of the chelating agent and stannous chloride varies only with the concentrations of the chelating agents, and thus the amounts of the stannous chloride per labelling tube were nearly constant $(500\sim600{\mu}g)$ regardless the variation of the molar ratios. It suggests that the given experimental conditions require about $500{\mu}g$ of stannous chloride regardless of the chelating agents. Under alkaline pH, the labelling yields were drastically decreased due to the probable formation of colloidal tin compounds. Biodynamic data showed characteristic patterns with each compound indicating that they are all suitable for the relevant scanning applications.

  • PDF

요로감염 소아에서 입원 초기 시행한 DMSA 신 스캔 결과에 따른 임상양상의 차이에 대한 연구: DMSA 신 스캔의 임상적 의미 (Differences i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Urinary Tract Infec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99m}Tc$-Dimercaptosuccinic Acid Renal Scanning)

  • 김동욱;이상민;이정봉;고영빈;김수진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7권2호
    • /
    • pp.110-116
    • /
    • 2013
  • 목적: 본 연구는 요로감염 환아에게 시행하는 영상학적 검사인 신장 초음파, DMSA 신 스캔, VCUG 중 비교적 시행하기 쉬운 DMSA 신 스캔이 방관요관역류나 신 반흔을 얼마나 예측할 수 있는지 그리고 신장 초음파와 비교했을 때 얼마나 신뢰성을 갖는지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04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병원에 입원하였던 요로감염 환아 495명 중 입원 1주일 이내에 신장 초음파와 DMSA 신 스캔을 시행한 환아 142명을 선별하여 후향적 연구를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환자의 성별, 나이, 요로감염의 원인 균주, 혈중 백혈구 수치와 중성구 비율, 혈장 CRP, 발열기간, 입원기간, 신장 초음파 소견, DMSA 신 스캔 소견, VCUG를 시행한 경우 VCUG 소견을 SPSS for window version 17.0를 통해 통계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DMSA 신 스캔 양성군과 음성군을 비교했을 때 나이, 입원당시 백혈구 수, 호중구 비율, CRP, 입원기간, 신장 초음파와 VCUG에서 이상소견을 보인 경우가 양성군이 음성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 신장 초음파 양성군과 음성군의 비교에서는 나이, 호중구 비율, CRP, 입원기간, DMSA 신 스캔과 VCUG에서 이상 소견을 보인 경우가 양성군이 음성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 결론: DMSA 신 스캔에서 양성 소견이 신장 초음파와 비교하여 임상적으로 더 심한 요로감염을 시사하거나, 향후 신 반흔 형성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그러나 신장 초음파와 DMSA 신 스캔을 같이 시행하였을 때, 방광요관역류를 예측하는 데 민감도 및 음성 예측도를 증가시킬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