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885 species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韓國) 기록종(記錄種) 버섯 총목록(總目錄) (The Full List of Recorded Mushrooms in Korea)

  • 이태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33-259
    • /
    • 1990
  • This list contains all the species of mushrooms recorded in Korea and the Korean name for the species. Since the Korean Society of Mycology reported the mushroom name list of 588 species from 190 genera in 1978 for a unification of Korean name for mushrooms many papers and illustrated books have added the name of recorded mushrooms to the list. However, we have been confused with the scientific name and the Korean name for the fungi due to a inappropriate arrangement and an incomplete classification system of Korean mushrooms. Therefore, I rearranged 885 species from 261 genera, which have been reporeted in Korea, based on the recently published documents such as Ainsworth et al. (1973), Singer (1986) and Imazeki and Hongo (1987 and 1988).

  • PDF

삼척시산불지역에서의 나방류에 관한 종다양성 변화 (Changes of Species Diversity on Moth Communities at Forest Fire Region in Samcheok, Korea)

  • 배양섭;채도영;주영돈;배정훈;김종명;안능호;이철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7-14
    • /
    • 2011
  • 2000년 삼척 동해안산불이 나방군집에 미친 영향을 조사하였다. 조사는 3개의 조사지(지점1: 미피해지역, 지점2: 지표화 피해지역, 지점3: 수관화 피해지역)를 설정하여 2006부터 2009년 까지 1년에 4회 UV 라이트 트랩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3개의 조사지에서 30과 727종 3,804개체를 채집하였다(지점1: 27과 505종 1,727개체, 지점2: 24과 353종 1,193개체, 지점3: 25과 340종 885개체). 밤나방과, 명나방과, 자나방과와 잎말이나방과는 종수와 개체수가 3개의 조사지에서 상위를 점했다. 종수, 개체수, 종다양도(H') 모두 지점1에서 가장 높았다. 유사도(${\alpha}$-Index)는 2006년에는 지점2와 3이 더 높았지만, 2009년에는 지점1과 2가 더 높았다. 나방류를 유충기의 기주로 16개 카테고리로 나누어 군집변화를 분석하였다. 지점3에서 초본식성의 나방류의 개체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했지만, 목본식성의 개체수의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이 연구결과, 나방군집은 산불 이후 식생변화와 더불어 회복되었고 지표화 피해지역에서 나방군집의 재생은 수관화 피해지역보다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The complete chloroplast genome of Zoysia macrostachya (Poaceae): Insights into intraspecific variations and species delimitation of the Zoysia species

  • OH, Sung-Dug;LEE, Seong-Kon;YUN, Doh-Won;SUN, Hyeon-Jin;KANG, Hong-Gyu;LEE, Hyo-Yeon;XI, Hong;PARK, Jongsun;LEE, Bumkyu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326-331
    • /
    • 2021
  • The complete chloroplast genome of Zoysia macrostachya Franch. & Sav. isolated in Korea is 135,902 bp long (GC ratio is 38.4%) and has four subregions; 81,546 bp of large single-copy (36.3%) and 12,586 bp of small single-copy (32.7%) regions are separated by 20,885 bp of inverted repeat (44.1%) regions, including 130 genes (83 protein-coding genes, eight rRNAs, and 39 tRNAs). Thirty-nin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and 11 insertions and deletion (INDEL) regions were identified from two Z. macrostachya chloroplast genomes, the smallest among other Zoysia species. Phylogenetic trees show that two Z. macrostachya chloroplast genomes are clustered into a single clade. However, we found some incongruency with regard to the phylogenetic position of the Z. macrostachya clade. Our chloroplast genome provides insights into intraspecific variations and species delimitation issues pertaining to the Zoysia species.

Increasing the Flow of Protein from Ruminal Fermentation - Review -

  • Wallace, R.J.;Newbold, C.J.;Bequette, B.J.;MacRae, J.C.;Lobley, G.E.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6호
    • /
    • pp.885-893
    • /
    • 2001
  • This review summarizes some recent research into ways of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ruminal fermentation by increasing protein flow from the rumen and decreasing the breakdown of protein that results from the action of ruminal microorganisms. Proteinases derived from the plant seem to be of importance to the overall process of proteolysis in grazing animals. Thus, altering the expression of proteinases in grasses may be a way of improving their nutritive value for ruminants. Inhibiting rumen microbial activity in ammonia formation remains an important objective: new ways of inhibiting peptide and amino acid breakdown are described. Rumen protozoa cause much of the bacterial protein turnover which occurs in the rumen. The major impact of defaunation on N recycling in the sheep rumen is described. Alternatively, if the efficiency of microbial protein synthesis can be increased by judicious addition of certain individual amino acids, protein flow from ruminal fermentation may be increased. Proline may be a key amino acid for non-cellulolytic bacteria, while phenylalanine is important for cellulolytic species. Inhibiting rumen wall tissue breakdown appears to be an important mechanism by which the antibiotic, flavomycin, improves N retention in ruminants. A role for Fusobacterium necrophorum seems likely, and alternative methods for its regulation are required, since growth-promoting antibiotics will soon be banned in many countries.

새만금 방조제 내측과 외측 조하대 대형저서동물의 생태학적 연구 (An ecological study on subtidal macrobenthos inside and outside of Saemangeum dike)

  • 김종춘;마채우;복영욱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42-449
    • /
    • 2014
  • 본 연구는 새만금 지역에 서식하는 조하대 대형저서동물의 계절별 종조성과 양적 변화를 조사하여 저서동물의 주요 종 분포와 군집 변화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전체 종수는 총 64종이었으며, 분류군별로는 환형동물(Annelida)이 34종 출현하여 전체의 53.0%를 점유 하였으며, 절지동물(Arthropoda)과 연체동물(Mollusca)이 각각 12종 출현하여 18.8%을 차지하였으며, 기타동물(Other)이 6종으로 9.4%를 점유하였다. 개체수는 총 24,885개체로 단위 면적당 개체수는 4147.5개체/$m^2$였으며, 이중 환형동물이 19,805개체로 79.6%를 나타냈고, 연체동물이 4,620개체로 18.5%, 기타 295개체 1.19%, 절지동물 165개체 0.7%를 차지하였다. Bray-Curtis 유사도(Similarity)를 분석한 결과, 새만금방조제를 기준으로 내측과 외측의 2개 그룹(A, B)으로 구분되어 나누어졌다. 또한, nMDS분석 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서오염지수(BPI)를 이용한 저서동물의 군집 분석결과, 각 정점별 지리적 위치, 내측 및 외측에 있어 뚜렷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계절별로는 3월에 가장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천연활엽수림(天然闊葉樹林)의 세가지 조림작업종(造林作業種)에 따른 천연갱신(天然更新) 양상(樣相) (The Pattern of Natural Regeneration by Three Different Silvicultural Systems in a Natural Deciduous Forest)

  • 김지홍;양희문;김광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2호
    • /
    • pp.169-178
    • /
    • 1999
  • 이 연구는 세가지 조림작업종(이단림작업, 산벌림작업, 택벌림작업)이 적용된 후 세 번의 생장기간이 경과한 천연활엽수림에서 11가지 주요 유용 활엽수종의 천연갱신 양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현재 연구 대상 산림의 상층은 신갈나무의 우점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많은 수의 갱신 치수가 발생된 고로쇠나무와 물푸레나무의 상층으로의 약진이 기대되어 미래에는 신갈나무와 더불어 이들 두가지 수종의 상층 구성 비율이 증가될 것으로 판단된다. 갱신 벌채 후 발생한 치수량을 조사한 결과, 이단림에서는 3,145본/ha(상층목의 10배), 산벌림에서는 6,885본/ha(상층목의 9배), 택벌림에서는 2,275본/ha(상층목의 4배)의 치수 발생을 나타냈으며, 수종간 차이가 많았고, 전반적으로 맹아묘의 발생 비율이 높았다. 60~80%의 상층 울폐도와 60~70%의 하층 피복률에서 실생묘 발생률이 높았고, $25^{\circ}$ 이하의 경사도와 남서쪽에서 북서쪽에 이르는 사면에서 실생묘 발생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수종간 차이가 많았다. 그루터기 직경과 높이가 맹아 발생에 끼치는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Occurrence of Vesicular-Arbuscular Mycorrhizal (VAM) Fungi and Their Effect on Plant Growth in Endangered Vegetations

  • Selvaraj, Thangaswamy;Padmanabhan, Chellappan;Jeong, Yu-Jin;Kim, H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885-890
    • /
    • 2004
  • A survey for vesicular-arbuscular mycorrhizae (VAM) occurrence was undertaken in three endangered vegetation sites in the area of Kudankulam atomic power station. Fifteen VAM fungal species were isolated from the root-zone soils of fourteen different plant specie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observed between the number of spores and of percentage root colonization as exemplified by Phyllanthus niruri and Paspalum vaginatum (450, 95%; 60, 25%). Although VAM species are not known to be strictly site specific, the fact that Acaulospora elegans was observed only in site 1, Glomus pulvinatum in site 2 only, and Gl. intraradices in site 3 only, showed site-specificity in this study. To confirm the infection efficiency, two host plant species in the sites, P. niruri and Eclipta alba, were selected and inoculated in field with three selected VAM fungal spores. Gl. fasciculatum was found to be the most efficient VAM species in percentage root colonization, number of VAM spores, and dry matter content. When the nutrients in roots of P. niruri and E. alba were analyzed, there was higher uptake of K (4.2 and 3.4 times, respectively) and Ca (5.3 and 4.9 times, respectively), the analogues for $^{137}Cs$ and $^{90}Sr$, respectively. From the results, it might be concluded that VAM association helps the plants survive in a disturbed ecosystem and enhances uptake and cycling of radionuclides from the ecosystem.

마이크로채널 메탄 수증기 개질 반응기의 열 및 물질 전달 특성에 관한 수치해석 연구 (Numerical Study of Heat and Mass Transfer Characteristics in Microchannel Steam Methane Reforming Reactor)

  • 전승원;이규정;조연화;문동주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6권9호
    • /
    • pp.885-894
    • /
    • 2012
  • 마이크로채널 메탄 수증기 개질 반응기의 열 및 물질 전달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수치해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Rh-촉매의 메탄 수증기 개질 반응과 Pt-촉매의 메탄 연소 반응을 함께 모델링하였다. 화학 반응의 반응 속도를 해석 모델에 적용하였다. 접촉시간, 평행류 대향류 등 유동 패턴, 채널 크기 등이 개질 성능과 온도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평행류와 대향류는 서로 반대되는 온도 분포를 갖게 되고, 그로 인해 서로 다른 반응 속도와 화학종 몰분율을 나타낸다. 접촉시간이 짧아지고 채널 크기가 증가할수록 촉매층과 혼합물 유동 사이의 물질 전달이 제한되어 개질 성능은 감소하게 된다.

대전 3대 하천의 조류군집과 유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ird Communities and Similarity of Three Stream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 김인규;이한수;백운기;이준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47-156
    • /
    • 2010
  • 대전의 3대 하천인 갑천, 유등천, 대전천에 대하여 2002년 4월부터 2004년 3월까지와 2006년 1월부터 12월까지 3년간 조류분포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관찰된 조류는 총 13목 34과 126종 12,027개체(최대합계수)로 나타났다. 우점종은 흰뺨검둥오리, 쇠오리, 집비둘기, 참새, 쇠백로 등의 순서였다. 관찰된 조류는 크게 6개 분류군이었으며, 가장 많은 종이 관찰된 분류군은 교목성 산림조류로 54종이었고, 가장 적은 종이 관찰된 분류군은 잠수성 오리류로 7종이었다. 또한 개체수는 관목성 산림조류가 721개체로 가장 적었으며, 수면성 오리류가 4,974개체로 가장 많았다. 각 하천별 조류분포를 보면 갑천은 총 13목 34과 114종 14,885개체(최대합계수), 유등천은 총 12목 30과 90종 6,642개체(최대합계수), 대전천은 총 11목 28과 69종 4,202개체(최대합계수)가 관찰되었다. 각 하천별로 조사된 종수, 개체수, 종다양도, 종풍부도, 단위면적당 밀도 등의 조류군집분석 지수에 의한 하천별 유사성을 분석한 결과, 갑천과 유등천 그리고 유등천과 대전천은 서로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하천이며, 갑천과 대전천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하천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각 하천 구간별 상위 10위 우점종을 대상으로 유사성을 분석한 결과 각 하천의 상류는 산림성조류, 중류는 해오라기류와 수면성 오리류, 하류는 수면성 오리류와 일부 잠수성 오리류가 서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전 3대 하천에서 일부 구간이 자연형 하천으로 남아있는 갑천과 유등천이 도심지역인 대전천에 비하여 다양한 조류가 서식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각 하천의 상류와 하류가 조류의 서식에 적합하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향 후 도시하천의 정비나 활용에 있어 자연성이 유지되는 구간에 대한 보전 및 관리가 필요하였다.

An Aqueous Extract of a Bifidobacterium Species Induces Apoptosis and Inhibits Invasiveness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s

  • Ahn, Joungjwa;Kim, Hyesung;Yang, Kyung M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6호
    • /
    • pp.885-892
    • /
    • 2020
  • Chemotherapy regimens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have various adverse effects on the human body. For this reason, probiotics have received attention regarding their potential value as a safe and natural complementary strategy for cancer prevention. This study analyzed the anticancer effects of aqueous extracts of probiotic bacteria Bifidobacterium bifidum (BB), Bifidobacterium longum (BL), Bifidobacterium lactis (BLA), Bifidobacterium infantis 1 (BI1), and Bifidobacterium infantis 2 (BI2) on NSCLC cell lines. When the aqueous extracts of probiotic Bifidobacterium species were applied to the NSCLC cell lines A549, H1299, and HCC827, cell death increased considerably; in particular, the aqueous extracts from BB and BLA markedly reduced cell proliferation. p38 phosphorylation induced by BB aqueous extract increased the expression of cleaved caspase 3 and cleaved poly (ADP-ribose) polymerase (PARP), consequently inducing the apoptosis of A549 and H1299 cells. When the p38 inhibitor SB203580 was applied, phosphorylation of p38 decreased, and the expression of cleaved caspase 3 and cleaved PARP was also inhibited, resulting in a reduction of cell death. In addition, BB aqueous extracts reduced the secretion of MMP-9, leading to inhibition of cancer cell invasion. By contrast, after transfection of short hairpin RNA shMMP-9 (for a knockdown of MMP-9) into cancer cells, BB aqueous extracts treatment failed to suppress the cancer cell invasiveness. According to our results about their anticancer effects on NSCLC, probiotics consisting of Bifidobacterium species may be useful as adjunctive anticancer treatment in the future.